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187634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1-04-15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19세기 후반 영국 왕립지리학회의 만주와 백두산 탐사 _ 배성준·13
I. 머리말·14
II. 왕립지리학회의 만주 및 백두산 탐사·16
III. 만주 여행기의 시선·28
IV. 만주와 백두산의 근대적 재구성·41
V. 맺음말·54
2장 ‘제국’ 변강과 ‘지식 정치’: 근대 중일의 만몽논술 _ 린츠홍·59
I. 머리말·60
II. ‘변강’에 대한 중일의 다른 인식·62
III. 정치적 요소 속의 만몽 서술·74
IV. ‘공간’ 지식과 권력의 경쟁·90
V. 맺음말·103
3장 동경제국대학 동양사학과의 만주사 및 조선사, 만선사 연구: 시라토리
구라키치·이케우치 히로시 관계 문서를 중심으로 _ 이노우에 나오키·111
I. 머리말·112
II. 동경제국대학 동양사학과 성립·114
III.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만주사 및 조선사, 만선사 연구:
만선 역사 조사부 및 도쿄제국대학에서의 활동·117
IV. 이케우치 히로시의 만주사 및 조선사, 만선사 연구·126
V. 맺음말·142
4장 만주건국대학에서 이루어진 역사 연구 _ 정상우·147
I. 머리말·148
II. 1930년대 일본 역사학계의 동향과 건국대학의 사명으로서 ‘만주국학’·152
III. 건국대학에서의 역사 연구·162
IV. 맺음말과 향후의 과제·183
5장 ‘동양문화’ 연구와 경성제국대학: 핫토리 우노키치와 동양학 강좌들_ 정준영·193
I. 핫토리 우노키치와 경성제국대학의 설립·194
II. 외부이자 내부인 ‘조선’과 일본 동양학의 딜레마·198
III. 경성제국대학 ‘동양문화’ 강좌의 제도적 윤곽·206
IV. 식민지 관학의 동양학자들과 학풍: 도쿄 학지의 이식과 학술교류의 동양학·216
V. 맺음말·227
6장 1930년대 조선의 대중잡지에 표출된 만주 이미지 _ 이병인·239
I. 머리말·240
II. 현실 인식의 공간, 만주·243
III. 역사적 ‘실체’와 허구적 ‘이상향’, 만주·251
IV. 맺음말·265
찾아보기·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