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88961879651
· 쪽수 : 383쪽
· 출판일 : 2023-08-25
목차
책머리에 4
1부 제국의 논리와 중국
1장 '내선일체 역사학'과 일선동조론
김성률의 『사실로 본 내선일체』를중심으로 _홍종욱
Ⅰ. 머리말 . 18
Ⅱ. 일선동조론과 만선 사관, 그리고 투란주의 21
Ⅲ. 중일전쟁과 내선일체 역사학 28
Ⅳ. "사실로 본 내선일체』의 구성과 특징 34
Ⅴ. 내선일체 역사학을 둘러싼 갈등 42
Ⅵ. 맺음말 50
[부록] 『사실로 본 내선일체』(1940)의 구성 52
2장 민족우월성의 '과학'
다나카 간이치의 민족별지능검사와 비교의 지평 _김인수
Ⅰ. 머리말 68
Ⅱ. 지능검사의 역사적 배경 71
Ⅲ. 다나카 간이치 지능검사의 과정과 실제 76
Ⅳ. 맺음말 97
3장 '중국사'에서 '만주사'를 떼어내기
20세기 전반 일본인 역사가들의 '만주사' 연구 _정상우
Ⅰ. 머리말: 식민주의 역사학의 전개와 만주사 연구 102
Ⅱ. 만주사 체계화를 위한 조망과 통사 서술의 시도 107
Ⅲ. 문화민족으로서 만주의 민족들 120
Ⅳ. 맺음말 133
[부록] 만주사에 대한 주요 통사들의 목차 139
2부 중국 민족주의 역사학의 흥성
4장 중일전쟁 시기(1932~1945) 민족주의 사학의 사유 및 발전 _린츠홍
Ⅰ. 머리말 152
Ⅱ. 중일전쟁 이전 중국 역사학의 개관 153
Ⅲ.전쟁으로 인한 민족주의 사관의 격화 557
Ⅳ. 논쟁 중의 '민족'과 사학사상 164
Ⅴ. 맺음말 171
5장 민국 시기 푸쓰녠 사학의 흥쇠
과학주의와 민족주의의연쇄 오병수
Ⅰ. 머리말 176
Ⅱ. 신화로서 과학적 역사학의 기원 180
Ⅲ. 과학적 역사학의 제도화 및 체계화: 사어소의 설립과 고대사 연구 189
Ⅳ. 과학주의와 민족주의의 긴장 및 연쇄 200
Ⅴ. 맺음말 206
6장 구제강(顧?剛)의 역사지리 인식과 변강학 연구 _박장배
Ⅰ. 머리말 222
Ⅱ. 구제강의 역사지리 인식과 1930년대 중국 학계의 강역 연구 추세 225
Ⅲ. 구제강의 변강학 연구 239
Ⅳ. 맺음말 254
7장 민국 시기 문화 보수주의와 역사 연구
동남국학(東南國學)의 사지지학(史地之學)을 중심으로 _전인갑
Ⅰ. 머리말: 중국 근대 학문, 또 하나의 길 262
Ⅱ. 문화 보수주의 사조와 동남국학: 학맥 266
Ⅲ. 동남국학과 역사 연구의 제도화 279
Ⅳ. 동남국학과 신고(信古): 문이재도(文以載道)에서 과학으로 291
Ⅴ. 맺음말 300
8장 중국에서의 몽원사(蒙元史) 전통과 신경향
원조사에서 제국사로 나아가는 이행과 지체 _설배환
Ⅰ. 머리말 306
Ⅱ. 원조의 탄생: 한화론의 원형과 중화의 대칸 만들기 313
Ⅲ. 허약한 한화론의 장기 지속 324
Ⅳ. 칭기즈칸릉과 근대 민족 영웅의 발명 334
Ⅴ. 세계사체제 속 원조사의 지속과 대원사 모색 355
Ⅵ. 맺음말 366
찾아보기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