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91170221692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9-03-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006
PART 1 창업: 1998~2004
제1장 소년: 천문학을 좋아한 포니 웹마스터 032
제2장 시작: 분명하지 않은 출발 062
제3장 생사: 거품이 사라지며 몸부림치다 090
제4장 몬터넷: 뜻밖의 구원투수 118
제5장 QQ쇼: 현실 세계의 그림자 140
제6장 상장: 협공 중의 ‘성인식’ 166
PART 2 출격: 2005~2009
제7장 조정: 원스톱 온라인 생활 186
제8장 MSN 전투: 명예와 운명 218
제9장 공간: 페이스북과 차별화된 소셜 모델 246
제10장 금광: ‘게임 왕’의 탄생 280
제11장 광고: 소셜 플랫폼의 역습 306
PART 3 거두: 2010~2016
제12장 이용자: 샤오마거의 제품 철학 324
제13장 전환: 3Q대전 346
제14장 개방: 새로운 도전과 능력 386
제15장 위챗: 모바일 인터넷 시대의 ‘입장권’ 410
제16장 젊음: 모바일 QQ의 자기 변혁 434
제17장 인터넷+: 범엔터테인먼트의 고리형 생태 450
제18장 통제 불능: 인터넷이 갈수록 대자연을 닮아간다 466
후기 496
책속에서
왜 다른 인터넷 기업이 아닌 텐센트가 현재 중국에서 시장가치가 가장 높고, 이용자가 가장 많으며, 수익성이 가장 높은 기업이 될 수 있었는가? 텐센트의 성공은 전략적인 기획의 결과인가, 아니면 우연의 산물인가?
텐센트는 왜 전례 없던 의혹에 시달려야 했을까? 텐센트가 직면한 혁신하지 않고 모방한다, 폐쇄적이고 개방하지 않는다는 '비난'은 어떻게 생겨났는가? 온화한 성품의 마화텅은 어쩌다 '공공의 적'이 되었을까?
중국 인터넷과 미국 인터넷의 차이는 무엇인가? 전자의 발전은 장기적인 추종의 여정인가, 아니면 자신만의 동양식 생존 방법인가?
위챗의 공식계정은 진정한 의미에서 중국식 혁신이라 할 수 있다. 플랫폼화된 방식으로 언론인과 판매자가 소셜 환경에서 수직적으로 침투할 수 있도록 했다. 4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개통된 공식계정의 누적 수는 2000만 이상으로, 100만 개 이상의 기업이 자신의 구독계정과 서비스계정을 만들었다. 거의 모든 매체가 공식계정 플랫폼에 최신 내용을 발표했으며, 더 많은 젊은 창업자가 낯설고도 신기한 1인 미디어를 체험했다. 중국시장에서 성공하길 원하는 사람 모두가 저도 모르게 이런 질문을 할지도 모른다. 나는 위챗과 어떠한 관계인가?
이후 QQ뮤직은 전속력을 내며 디지털 음원 정품화를 추진하고 회원의 배경 스킨 사용과 특권을 확대한다. 지금까지 그린다이아몬드 회원에게는 이미 39개 항목의 특권이 스킨마다 깔려있다. QQ뮤직과 판권의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회사는 200여 곳에 이른다. 1,500만 곡 이상의 정품 음원이 누적되었고, 유료 회원은 1,000만 명이 넘는다. QQ뮤직은 디지털 음반 발매와 온라인 콘서트 개최를 통해 새로운 생태를 모색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