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7040154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1-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집1. 성북동 골짜기의 단칸방(1958년 9월~12월)
사회 초년병
야간학교의 매력
도배지 한 장만 붙인 신방
혼례식
신혼여행 생략하기
꽃분홍 치마
자장면 파티
예고 없이 오신 손님
2) 집2. 삼선교의 북향 방(1959년 1월~3월)
방 두 개만 있는 일각대문집
어항이 얼어붙은 방
현대평론가협회
키 큰 손님
3) 대가족 이야기
유산과 가독권家督権
아버님의 공작새
그 집안의 어른들
그 집안의 효도 풍경
아버님의 기도
‘페닌슐라’에서 점심을
아버님의 노년
가는 정, 오는 정
4) 집3. 청파동 1가(1959년 3월~1960년 3월)
별채 같은 방
병든 여인의 모성
그 집에 온 손님들
남조 선생과의 만남
5) 집4. 청파동 3가의 이층집(1960년 3월~1961년 3월)
친구 집에 세 들기
셋방살이의 의미망
가난한 마님의 품위
장판 소동
4.19
6) 집5. 한강로 2가 100번지(1961년 3월~1963년 4월)
내 집 갖기
야밤에 들려온 총소리
교사와 학생 겸하기
텔레비전과 오디오
그 집에 온 문인 손님들
이 집 남자들 왜 이리 션찮아?
7) 집6. 신당동 304-194(1963년 4월~1967년 3월)
1963년 신당동
집수리
대궐 같은 집
남자아이의 엄마 되기
경이로운 신세계
1963년의 4중고
세 번째 아이
부록: 『흙속에 저 바람 속에』
그 집에 온 손님들
일터에서 만난 친구들
- 은인 같은 친구: 정금자
- 보호자 같던 연상의 친구: 김함득
- 갈대같이 하늘거리는 여인의 균형 감각: 서정혜
- 타고난 훈장: 이정자
에필로그
8) 집7. 성북동 1가의 이층집(1967년 3월~1974년 12월)
언덕 위의 이층집
연탄으로 큰 집 덥히기
‘봉사와 질서’
이웃
그 집에 온 손님들
부록: 《신상新像》
에필로그
9) 집8. 평창동 이야기(1974년 12월~ )
소나무와 바위산
길이 넓어진 사연
파격적인 땅값
언덕 위의 하얀 집
하얀 집의 문제
그해의 산타클로스
1974년 평창동은……
다람쥐와 꾀꼬리
이웃
“어떤 새끼들이 이런 데서……”
항아님 같던 세배객들
집 허물고 박물관 만들기
‘오늘의 과업’과 ‘모든 날의 과업 ’
너와 나의 쉼터
강인숙 집필 연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둘 다 남편이나 아내 같은 건 되고 싶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다방에서 떠들다 헤어지는 관계가 훨씬 애틋하고 간결했기 때문이다. 결혼에는 성과 돈이 끼어들어 번거로워진다. 양가의 가족들과 뒤엉겨 삶이 복잡해지는 것도 달갑지 않다. 우리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비본질적인 변수가 자꾸 생겨나서 생활을 늪지대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이 있을 수 있는 공인된 방법이 결혼밖에 없으니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전통적인 보통 가정에서 자라나서 우리는 둘 다 관습과 규범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남 하는 의식을 생략하고 과감하게 동거 생활을 시작하는 흉내 같은 것은 낼 용기가 없는 상태니 결혼식을 올리는 것밖에 같이 있을 방법이 없었다. 우리는 그냥 계속 같이 있고 싶었고, 아기도 낳고 싶었다. 결혼은 그 두 가지가 용납되는 유일하게 합법적인 방법이었다. _‘집1. 성북동 골짜기의 단칸방’에서
연재는 한강로 집을 떠나기 전에 이미 시작되어서, 그는 수리를 하는 동안에도 계속 글을 써야 했다. 이사 간 다음 날도 그는 글을 썼다. 아기가 태어나던 날도 마찬가지다. 집수리가 덜 끝나서 한동안은 침대 매트리스를 이 방 저 방으로 끌고 다니면서 그 위에 밥상을 올려놓고 〈흙속에 저 바람 속에〉를 써야 했다. 그렇게 노상 글을 써야 해서 그에게는 서재가 필요했다. 내가 그의 서재를 치외법권 지대처럼 일상 세계와 격리시키려고 기를 쓰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어쩌면 나는 힘들고 번거로운 일을 대신 해서 그의 글 쓰는 시간을 늘려주기 위해 서둘러 결혼했는지도 모른다. 그는 학교에 나가면서 연재를 계속했기 때문에 언제나 피곤했던 것이다. _‘집6. 신당동 304-194’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