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 지은 집

글로 지은 집

(구십 동갑내기 이어령 강인숙 부부의 주택 연대기)

강인숙 (지은이)
열림원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7개 5,000원 >
G마켓 직접배송 1개 8,93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3,300원 -10% 660원 11,310원 >

책 이미지

글로 지은 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 지은 집 (구십 동갑내기 이어령 강인숙 부부의 주택 연대기)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70401544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3-01-13

책 소개

빈손으로 시작해 원하는 서재를 갖춘 집을 갖기까지 이어령 강인숙 부부의 주택 연대기다. 신혼 단칸방부터 이어령 선생이 잠든 지금의 평창동 집에 이르기까지, 더 나은 집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투쟁의 역정이 담겼다.

목차

머리말

1) 집1. 성북동 골짜기의 단칸방(1958년 9월~12월)
사회 초년병
야간학교의 매력
도배지 한 장만 붙인 신방
혼례식
신혼여행 생략하기
꽃분홍 치마
자장면 파티
예고 없이 오신 손님

2) 집2. 삼선교의 북향 방(1959년 1월~3월)
방 두 개만 있는 일각대문집
어항이 얼어붙은 방
현대평론가협회
키 큰 손님

3) 대가족 이야기
유산과 가독권家督権
아버님의 공작새
그 집안의 어른들
그 집안의 효도 풍경
아버님의 기도
‘페닌슐라’에서 점심을
아버님의 노년
가는 정, 오는 정

4) 집3. 청파동 1가(1959년 3월~1960년 3월)
별채 같은 방
병든 여인의 모성
그 집에 온 손님들
남조 선생과의 만남

5) 집4. 청파동 3가의 이층집(1960년 3월~1961년 3월)
친구 집에 세 들기
셋방살이의 의미망
가난한 마님의 품위
장판 소동
4.19

6) 집5. 한강로 2가 100번지(1961년 3월~1963년 4월)
내 집 갖기
야밤에 들려온 총소리
교사와 학생 겸하기
텔레비전과 오디오
그 집에 온 문인 손님들
이 집 남자들 왜 이리 션찮아?

7) 집6. 신당동 304-194(1963년 4월~1967년 3월)
1963년 신당동
집수리
대궐 같은 집
남자아이의 엄마 되기
경이로운 신세계
1963년의 4중고
세 번째 아이
부록: 『흙속에 저 바람 속에』
그 집에 온 손님들
일터에서 만난 친구들
- 은인 같은 친구: 정금자
- 보호자 같던 연상의 친구: 김함득
- 갈대같이 하늘거리는 여인의 균형 감각: 서정혜
- 타고난 훈장: 이정자
에필로그

8) 집7. 성북동 1가의 이층집(1967년 3월~1974년 12월)
언덕 위의 이층집
연탄으로 큰 집 덥히기
‘봉사와 질서’
이웃
그 집에 온 손님들
부록: 《신상新像》
에필로그

9) 집8. 평창동 이야기(1974년 12월~ )
소나무와 바위산
길이 넓어진 사연
파격적인 땅값
언덕 위의 하얀 집
하얀 집의 문제
그해의 산타클로스
1974년 평창동은……
다람쥐와 꾀꼬리
이웃
“어떤 새끼들이 이런 데서……”
항아님 같던 세배객들
집 허물고 박물관 만들기
‘오늘의 과업’과 ‘모든 날의 과업 ’
너와 나의 쉼터

강인숙 집필 연도

저자소개

강인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학평론가, 국문학자. 1933년 10월 15일(음력 윤 5월 16일) 사업가의 1남 5녀 중 3녀로 함경북도 갑산에서 태어나 이원군에서 살다가 1945년 11월에 월남했다. 경기여자 중·고등학교를 나와 서울대 문리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숙명여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65년 『현대문학』을 통해 평론가로 데뷔했으며, 1958년 대학 동기 동창인 이어령과 결혼하여 2남 1녀를 두었다. 건국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하며 평론가로 활동하다가 퇴임 후 영인문학관을 설립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둘 다 남편이나 아내 같은 건 되고 싶지 않았는지도 모른다. 다방에서 떠들다 헤어지는 관계가 훨씬 애틋하고 간결했기 때문이다. 결혼에는 성과 돈이 끼어들어 번거로워진다. 양가의 가족들과 뒤엉겨 삶이 복잡해지는 것도 달갑지 않다. 우리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비본질적인 변수가 자꾸 생겨나서 생활을 늪지대로 만들어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같이 있을 수 있는 공인된 방법이 결혼밖에 없으니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전통적인 보통 가정에서 자라나서 우리는 둘 다 관습과 규범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남 하는 의식을 생략하고 과감하게 동거 생활을 시작하는 흉내 같은 것은 낼 용기가 없는 상태니 결혼식을 올리는 것밖에 같이 있을 방법이 없었다. 우리는 그냥 계속 같이 있고 싶었고, 아기도 낳고 싶었다. 결혼은 그 두 가지가 용납되는 유일하게 합법적인 방법이었다. _‘집1. 성북동 골짜기의 단칸방’에서


연재는 한강로 집을 떠나기 전에 이미 시작되어서, 그는 수리를 하는 동안에도 계속 글을 써야 했다. 이사 간 다음 날도 그는 글을 썼다. 아기가 태어나던 날도 마찬가지다. 집수리가 덜 끝나서 한동안은 침대 매트리스를 이 방 저 방으로 끌고 다니면서 그 위에 밥상을 올려놓고 〈흙속에 저 바람 속에〉를 써야 했다. 그렇게 노상 글을 써야 해서 그에게는 서재가 필요했다. 내가 그의 서재를 치외법권 지대처럼 일상 세계와 격리시키려고 기를 쓰는 이유도 거기에 있다. 어쩌면 나는 힘들고 번거로운 일을 대신 해서 그의 글 쓰는 시간을 늘려주기 위해 서둘러 결혼했는지도 모른다. 그는 학교에 나가면서 연재를 계속했기 때문에 언제나 피곤했던 것이다. _‘집6. 신당동 304-194’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0409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