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91170410874
· 쪽수 : 188쪽
· 출판일 : 2021-10-1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장 뉴스를 믿지 말라고요?
01 지구촌을 뒤흔든 가짜뉴스
02 역사 속 가짜뉴스
03 가짜뉴스와 뉴미디어의 만남
2장 바야흐로 뉴미디어 시대
01 우리의 삶이 된 뉴미디어
02 스타보다 더 스타, 인플루언서
03 뉴미디어는 언어폭력의 장?
04 뉴미디어 시대 현대인의 3대 증후군
3장 규제의 도마 위에 놓인 소셜미디어
01 비상 걸린 소셜미디어
02 소셜미디어 잡는 기업들
4장 규제냐 자유냐, 그것이 문제로다!
01 소셜미디어는 잘못이 없어요!
02 미디어 규제가 가진 더 큰 문제들
03 디지털 빅 브러더 현상
5장 청정 미디어를 위한 백신, 미디어 리터러시
01 뉴미디어 리터러시
02 외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03 대한민국의 미디어 리터러시
04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키우기
6장 언택트 시대, 내일은 우리 모두 크리에이터
01 일상생활의 언택트 혁명
02 올바른 크리에이터 되기
03 우리 힘으로 지키는 청정 미디어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확증편향’이란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관심 있는 정보만 골라서 받아들이려는 사고방식을 말합니다. 미디어 이용자인 우리에게는 이러한 확증편향이 흔히 있습니다. 즉 우리가 보고 싶은 정보, 듣고 싶은 정보만 쏙쏙 골라서 흡수하는 것이죠. 이런 확증편향을 가진 미디어 이용자들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정보만 흡수한 채 그것을 진짜라고 믿게 됩니다. 가짜뉴스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하기 어렵고, 가짜뉴스를 식별하는 능력을 갖추기 어렵게 되는 것이죠.
SNS에 올리는 ‘저격 글(특정 인물을 비난하거나 비하하는 목적으로 작성한 글)’이나 욕설이 포함된 댓글뿐 아니라, 채팅방에서 주고받은 대화, 사진, 동영상, 심지어 카카오톡의 프로필 메시지 문구 한 줄도 학교폭력 사안의 명백한 피해 또는 가해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청소년들 사이에서 스마트폰과 SNS 사용이 그만큼 일상화됐다는 뜻입니다. 문제는, 이같이 빠르게 발전하여 우리 삶에 일상화된 과학기술, 즉 ‘물질문화’에 비해 청소년들이 SNS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이나 태도인 ‘비물질문화’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했다는 점입니다.
‘리터러시(literacy)’란 본래 ‘글을 읽고 쓸 줄 아는 능력’,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이제 우리 삶에서 각종 미디어는 필수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미디어 콘텐츠를 제대로 이해하고 사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러한 능력을 ‘미디어 리터러시’라고 부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