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유아교육학
· ISBN : 9791170751960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5-08-29
책 소개
목차
Orientation 출발하기에 앞서
Chapter 1. 사회교육의 시작점
1. 내가 경험한 사회교육 꺼내어 보기
1) 나의 성장기에 경험한 사회교육
2) 예비 교사로서 경험한 사회교육
2.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사회교육의 양상 살펴보기
3. 유아사회교육의 독특한 특성 파악하기
제1부 유아사회교육의 방향 찾기
Chapter 2. 교사: 민감한 사회교육 지원자
1. 사회적 요구 파악하기: 제4차 산업혁명 시대, 미래 소양
1)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유아교사
2) 미래 소양과 유아교사
2. 사회교육 역량 함양하기
1) 사회적 지식 함양하기
2) 사회적 기술, 태도, 가치 함양하기
Chapter 3. 유아: 유능한 사회적 존재
1.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인식하기
2. 유아의 사회적 관계 살펴보기
1) 관계를 통해 발달하는 사회성
2) 유아의 사회적 관계 파악을 위한 노력 기울이기
3.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기술 지원하기
제2부 사회적 발달과 유아교사의 역할
Chapter 4. 사회화 이론과 교사의 역할
1. 사회화: 평생의 과정
2. 사회화를 돕는 교사 vs 손상시키는 교사
3. 사회화를 바라보는 네 가지 관점
1) 첫 번째 관점: 성숙주의 이론과 유아의 사회화
2) 두 번째 관점: 사회학습 이론과 유아의 사회화
3) 세 번째 관점: 정신분석 이론과 유아의 사회화
4) 네 번째 관점: 인지발달 이론과 유아의 사회화
Chapter 5. 사회화 관련 요인과 교사의 역할
1. 자아존중감
2. 성역할 개념
3. 도덕성
4. 정서지능
5. 공감 능력
Chapter 6. 사회과학적 지식과 교사의 역할
1. 과거의 사회과학적 접근
2. 현대적 관점으로 사회과학적 지식 접근하기
1) 지리교육 다시 보기: ‘공간과 장소의 과학 교육’
2) 역사교육 다시 보기: ‘역사의식과 자아정체감 형성 교육’
3) 민주시민교육 다시 보기: ‘시민학·정치학 관련 교육’
4) 다문화교육 다시 보기: ‘모든 유아를 위한 기본 교육’
5) 경제교육 다시 보기: ‘합리적인 경제 능력 배양 교육’
6) 환경교육 다시 보기: ‘자연과 인간에 대한 경이감 교육’
7) 사회적 시사교육 다시 보기: ‘새 소식(NEWS) 이해 교육’
3. 미래를 준비하며 새롭게 접근하기
제3부 유아사회교육과정과 교수·학습
Chapter 7. 국가 수준의 유아사회교육과정
1. 국가 수준의 유아교육과정이란?
2.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사회관계 영역
Chapter 8. 유아사회교육 교수·학습 방법
1. 환경 조성: 새 소식을 통한 사회적 관심 확대
1) 우리 교실 적용 방안
2. 사회적 자원: 지역사회 기관 및 인사와의 연결
1) 우리 교실 적용 방안
3. 가정연계: 교실-가정의 협력적 교육 운영
1) 우리 교실 적용 방안
4. 토의·토론: 서로 다른 생각에 대한 논리적 소통
1) 우리 교실 적용 방안
5. 문학적 접근: 사회 관련 그림책 활용
1) 우리 교실 적용 방안
6. 극놀이: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상상과 표현
1) 우리 교실 적용 방안
제4부 유아사회교육 실제
Chapter 9. 교실 속 ‘시민교육’ 이야기
1. 유아시민교육이란?
2. 유아시민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와 유아의 준비
1) 교사의 준비
2) 유아의 준비
3. 사례 들여다보기: 우리가 만드는 종이컵마을
4. 미래 나의 교실 적용 계획 세우기
Chapter 10. 교실 속 ‘환경교육’ 이야기
1. 유아환경교육이란?
2. 유아 환경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준비
3. 사례 들여다보기: 세상을 움직이는 생각 ‘환경위기’
4. 미래 나의 교실 적용 계획 세우기
Chapter 11. 교실 속 ‘경제교육’ 이야기
1. 유아경재교육이란?
2. 유아경재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준비
3. 사례 들여다보기: 우리들마트
4. 미래 나의 교실 적용 계획 세우기
Chapter 12. 교실 속 ‘역사교육’ 이야기
1. 유아 AI·디지털 교육이란?
2. 유아 AI·디지털 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준비
3. 사례 들여다보기: 시선을 사로잡다
4. 미래 나의 교실 적용 계획 세우기
Chapter 13. 교실 속 ‘AI·디지털 교육’ 이야기
1. 유아역사교육이란?
2. 유아역사교육 실천을 위한 교사의 준비
3. 사례 들여다보기: 국보
4. 미래 나의 교실 적용 계획 세우기
Chapter 14. 세상을 바꾸는 실천가로서의 교사
1. 교사, 변화를 만들어 가는 사람
2. 체인지메이커(Changemaker)가 되어 볼까?
3. 세상을 바꾸는 예비 교사 이야기
4. 결국, 바뀐 것은 바로 ‘나’!
1) 1차 사회적 실천프로젝트 결과
: 주도성과 자율성을 기반으로
2) 2 차 사회적 실천 프로젝트 결과
: 관심이 머무는 우리 사회 한 자락으로부터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