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91171980116
· 쪽수 : 155쪽
· 출판일 : 2024-10-02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3
1. 연구 배경 3
2. 연구 목적 4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5
1. 연구 범위 5
2. 연구 방법 7
제2장 예술분야 고용의 수급현황 분석 11
제1절 예술분야 고용의 공급현황 분석 13
1. 분석 개요 13
2. 예술 고등학교의 예술인 공급현황 15
3. 예술관련 전문대학의 예술인 공급현황 17
4. 예술관련 대학교의 예술인 공급현황 23
5. 예술관련 대학원의 예술인 공급현황 29
제2절 예술분야 고용의 수요현황 분석 35
1. 분석 개요 35
2. 예술분야 고용의 전체 수요 현황 38
3. 예술분야 고용의 직종별 수요 현황 41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61
1. 결과 요약 61
2. 시사점 66
제3장 예술분야 첫 일자리 특성 분석 69
제1절 예술분야 첫 일자리 진입 현황 71
1. 분석 개요 71
2. 예술전공생의 첫 일자리 진입 현황 72
3. 예술분야 직종의 전공별 분포 현황 77
4. 예술분야 직종의 첫 일자리 특성 분석 80
제2절 예술분야 첫 일자리 이행 및 특성 82
1. 분석 개요 82
2. 기초통계 분석 83
3. 첫 일자리 이행 분석 87
4. 고용(임금수준) 안정성 분석 94
제3절 소결 및 시사점 99
1. 결과 요약 99
2. 시사점 102
제4장 예술분야 고용의 장애요인 분석 105
제1절 조사개요 107
제2절 조사결과 109
1. 예술현장과 정규교육 간의 간극 109
2. 경력개발 정보 부족과 예술역량 강화의 필요성 112
3. 폐쇄적 인력채용의 한계와 고용정책의 부족 119
제5장 예술분야 고용 개선을 위한 정책방안 제언 125
제1절 예술분야의 고용환경 및 특성 연구요약 127
1. 예술분야 고용의 수급현황 연구요약 127
2. 예술분야 첫 일자리 특성 연구요약 129
3. 예술분야 고용의 장애요인 연구요약 130
제2절 예술현장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정책적 지원 133
1. 예술현장과 정규교육 간의 간극을 최소화시킬 중간다리 지원 강화 133
2. 예술현장 진출 활성화를 위한 예술 역량강화 프로그램 지원 138
3. 실무형 교육 및 직업확장을 위한 지원 프로그램의 확대 144
4. 예술현장 고용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높은 사업의 확대 148
5. 예술단체 및 기업 성장을 통한 예술인 고용기회 확대 150
참고문헌 / 153
ABSTRACT / 1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