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22-2024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2022-2024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기초연구 2021-02)

차민경 (지은이)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22-2024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22-2024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기초연구 2021-02)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책/행정/조직
· ISBN : 9788960359000
· 쪽수 : 291쪽
· 출판일 : 2021-12-15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3
1. 연구배경 3
2. 연구목적 4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5
1. 연구범위 5
2. 연구방법 6

제2장 지난 문화예술 트렌드의 지속성 분석 17

제1절 개요 19
제2절 지난 트렌드의 발현도 및 지속성 분석 22
1. 발현도 및 향후 지속성이 높은 2019-2021 트렌드 22
2. 발현 정도와 향후 지속발전 가능성이 보통인 2019-2021 트렌드 28
3. 발현도 및 지속성이 낮은 2019-2021 트렌드 33

제3장 2019-2021 범사회 환경 주요 변화 37

제1절 정치 분야 39
1. 국내 정치 39
2. 국제 정치/외교 41
제2절 경제 분야 47
1. 주요 경제 지표 추이 47
2. 산업구조/경제성장/투자/기업노동환경 53
3. 경제활동인구/소비여건/패턴 57
제3절 사회/문화 분야 62
1. 인구구조/사회구조 62
2. 가치변화(사회심리)/인권/윤리 65
3. 문화예술/문화산업 69
제4절 기술 분야 72
1. IT/BT/ET 72
2. CT/AI 74
제5절 환경 분야 78
1. 환경/생태 분야 78
2. 건강/질병 분야 81

제4장 2022-2024년 10대 문화예술 트렌드 분석 및 전망 85

제1절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문화예술 가치사슬의 확장 87
1. 디지털비대면 전환 가속화와 문화예술분야 ‘뉴 노멀’의 등장 87
2. 뉴 노멀 시대를 가능하게 한 디지털 기술의 진화와 새로운 세대의 등장 97
3. 온라인-오프라인에 확대형성되는 문화예술분야 가치사슬 100
제2절 문화예술 분야의 새로운 위협으로 다가오는 급격한 디지털 전환의 양면성 117
1. 급속한 디지털 전환과 함께 대두되는 신종 범죄 문제 117
2. 생존과 연결되는 디지털 리터러시 122
3. 문화예술계 디지털 윤리 및 역량 강화 필요성 증가 126
제3절 구독경제와 경험경제의 활성화, 문화예술분야의 다양하고 합리적 소비 촉진 132
1. 취향 맞춤형 된 특별한 경험의 추구, 구독경제와 경험경제 132
2. 디지털에 기반을 둔 합리적인 개인맞춤형 소비 138
3. 문화예술분야의 다양하고 합리적인 소비문화 가치 확장 141
제4절 불안사회, 건강하고 안전한 문화예술을 위한 불편의 일상화 147
1. 코로나 19로 인해 심화된 사회적 불안과 변화된 일상 147
2. 안전한 환경과 휴식에 대한 가치 인식 변화 150
3. 문화예술, 편안한 불안보다 불편한 안전으로 151
제5절 필(必)환경 시대의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에 대한 논의 확대 153
1. 국제사회의 환경 위기 대응 본격화 153
2. ESG 패러다임의 등장과 개인의 실천적 움직임 155
3. 환경의, 환경에 의한, 환경을 위한 (Of the environment, By
the environment, For the environment) 158
제6절 위기의 시대,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및 역할 증대 167
1. 위기시대 속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의 재조명 167
2. 위기시대 속 개인과 사회의 우울과 분노 172
3.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및 역할의 증대 176
제7절 문화예술분야의 느슨한 연대 확대 182
1. 확장된 개인주의와 새로운 관계맺기, ‘느슨한 연대’ 182
2. 세대 간 가치관 차이와 인간관계의 변화 186
3. 문화예술분야의 느슨한 연대 확대 190
제8절 팬덤(Fandom),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소셜 공동체로 진화 195
1. 아이돌 팬덤에서 글로벌 소셜 공동체로 성장 195
2. 한국 문화예술 및 대중문화 콘텐츠의 지속 성장과 글로벌 플랫폼의 확대 201
3. 글로벌 소셜 공동체로 진화한 팬덤과 영향력 확대 204
제9절 멀티 페르소나, 탈물질주의 시대의 다양한 자아를 찾는 여정의 진행 209
1. 다중적인 ‘나’에 대한 탐구의 즐거움 209
2. 탈물질주의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포용적 자아의 출현 213
3. 정체성을 탐구하는 진지한 문화예술 활동 참여 증가 220
제10절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ing), 문화예술의 주요 주체로
부상한 노년층 224
1. ‘액티브(active)’에서 ‘크리에이티브(creative)’로, 노년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 224
2. 고령화와 인구감소, 사회변화의 또 다른 이름 230
3. 문화예술의 주요 주체로 부상한 노년층 235

제5장 결론 239

제1절 시사점 241
1.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문화예술 가치사슬의 확장 241
2. 문화예술 분야의 새로운 위협으로 다가오는 급격한 디지털 전환의 양면성 242
3. 구독경제와 경험경제의 활성화, 문화예술분야의 다양하고 합리적 소비 촉진 244
4. 불안사회, 건강하고 안전한 문화예술을 위한 불편의 일상화 246
5. 필(必)환경 시대의 지속가능한 문화예술에 대한 논의 확대 246
6. 위기의 시대,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및 역할 증대 248
7. 문화예술 분야의 느슨한 연대 확대 249
8. 팬덤(Fandom),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소셜 공동체로 진화 250
9. 멀티 페르소나, 탈물질주의 시대의 다양한 자아를 찾는 여정의 진행 252
10. 크리에이티브 에이징(Creative Aging), 문화예술의 주요 주체로
부상한 노년층 254
제2절 맺음말 256
참고문헌 / 261
ABSTRACT / 265
부록: 전문가 델파이 조사 설문지 / 267

표 목차
<표 1-1〉 범사회적 트렌드 분류기준 8
<표 1-2〉 문화예술 환경변화 스캐닝 분류 기준 8
<표 1-3> 자문회의 개요 10
<표 1-4〉 도출된 트렌드 후보군 11
<표 1-5> 전문가 델파이 조사 개요 12
<표 1-6> 응답자 현황 및 활동 기간 13
<표 1-7> 델파이 조사 참여 전문가 리스트 13
<표 1-8> 전문가 좌담회 참여자 15
<표 1-9〉 10대 트렌드의 도출 과정 15
<표 2-1> 2020 문화예술트렌드 발현정도 및 지속발전 가능성 20
<표 2-2> ‘1인 크리에이터, 전문가로 인정받다’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23
<표 2-3> ‘시민감성의 시대 여가를 즐기자’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24
<표 2-4> ‘일상 속 생활문화, 스며들다’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26
<표 2-5> ‘혐오가 가져온 토론문화, 우리의 다양성을 드러내다’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28
<표 2-6> ‘문화분권, 지방자치분권의 길을 열다’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29
<표 2-7> ‘긱 이코노미와 예술인이 일하는 법’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30
<표 2-8> ‘새 예술정책 시대로의 과도기’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31
<표 2-9> ‘예술가는 젠트리파이어? 예술가의 생존법 찾기’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33
<표 2-10> ‘실패자가 아니에요. 문화적 응원’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34
<표 2-11> ‘남북교류, 문화교류에서 남북합작으로’ 발현 정도 및 지속 가능성 35
<표 3-1> 미중 무역 분쟁 주요 일지 42
<표 3-2> 미국 대선 일정 44
<표 3-3> 정치 분야 변화 관련 주요 이슈 흐름 44
<표 3-4> 국내 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48
<표 3-5> 최근 5년간 주요국가 경제성장률 48
<표 3-6>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50
<표 3-7> 소비자심리지수 51
<표 3-8> 최근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52
<표 3-9> OECD 주요국의 최근 실업률 53
<표 3-10> 경제/산업 분야 변화 관련 주요 이슈 흐름 59
<표 3-11> 사회 분야 변화 관련 주요 이슈 흐름 67
<표 3-12> 문화 분야 관련 주요 이슈 흐름 70
<표 3-13> 기술 분야 변화 관련 주요 이슈 흐름 76
<표 3-14> 환경생태 분야 변화 관련 주요 이슈 흐름 80
<표 3-15> 코로나19 발생 경과 82
<표 4-1>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발현 가능성 101
<표 4-2>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방향성 101
<표 4-3> ‘온라인의 새로운 예술인에게 기회제공’ 이슈의 방향성 105
<표 4-4> ‘문화예술 분야 가치사슬, 온라인을 중심으로 재편’ 이슈의 발현 가능성 105
<표 4-5>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발현 가능성 106
<표 4-6>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방향성 106
<표 4-7>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방향성 109
<표 4-8> ‘문화예술 분야 가치사슬, 온라인을 중심으로 재편’ 이슈의 방향성 110
<표 4-9>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발현 가능성 113
<표 4-10> ‘문화예술 향유의 비대면, 디지털화’ 이슈의 발현 가능성 113
<표 4-11> ‘메타버스, 문화예술 분야 주요 플랫폼으로 등장’ 이슈의 발현 가능성 115
<표 4-12> ‘메타버스, 문화예술 분야 주요 플랫폼으로 등장’ 이슈의 방향성 (시나리오 1) 115
<표 4-13> 新투자 풍속: 대체투자의 다양화 120
<표 4-14> ‘디지털 범죄의 증가가 문화예술 분야 종사자들에게 미칠 피해’ 이슈의 발현 가능성 127
<표 4-15> ‘디지털 범죄의 증가가 문화예술 분야 종사자들에게 미칠 피해’ 이슈의 방향성 127
<표 4-16> ‘디지털 범죄의 증가가 문화예술 분야 종사자들에게 미칠 피해’ 이슈의 발현 가능성 130
<표 4-17> ‘디지털 범죄의 증가가 문화예술 분야 종사자들에게 미칠 피해’ 이슈의 방향성 130
<표 4-18> ‘문화예술분야 구독경제의 비스니스 기회와 확장’ 이슈의 발현 가능성 141
<표 4-19> ‘문화예술분야 구독경제의 비스니스 기회와 확장’ 이슈의 방향성 142
<표 4-20> ‘경험경제, 문화예술 향유 영역의 확대’ 이슈의 발현 가능성 145
<표 4-21> 경험경제, 문화예술 향유 영역의 확대’ 이슈의 방향성 145
<표 4-22> 안전과 관련된 비즈니스 사례 149
<표 4-23> ‘불안사회, 안전에 대한 욕구 증가’ 이슈의 발현 가능성 151
<표 4-24> ‘불안사회, 안전에 대한 욕구 증가’ 이슈의 방향성 152
<표 4-25> 유네스코 문화 2030 지표 154
<표 4-26> ‘필(必) 환경 시대, ‘친환경’이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담론으로’ 이슈의 발현 가능성 159
<표 4-27> ‘필(必) 환경 시대, ‘친환경’이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담론으로’ 이슈의 방향성 159
<표 4-28>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증대’ 이슈의 발현 가능성 176
<표 4-29>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증대’ 이슈의 방향성 177
<표 4-30>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증대’ 이슈의 발현 가능성 179
<표 4-31>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 증대’ 이슈의 방향성 180
<표 4-32> ‘느슨한 연대 확대’ 이슈의 발현 가능성 192
<표 4-33> ‘느슨한 연대 확대’ 이슈의 방향성 193
<표 4-34> ‘팬덤, 문화예술 분야의 창작, 유통, 소비 전반 영향력’ 이슈의 발현 가능성 204
<표 4-35> ‘팬덤, 문화예술 분야의 창작, 유통, 소비 전반 영향력’ 이슈의 방향성 206
<표 4-36> ‘한국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확대와 세계 문화소비의 주류 등극’
이슈의 발현 가능성 207
<표 4-37> ‘한국 콘텐츠 글로벌 경쟁력 확대와 세계 문화소비의 주류 등극’
이슈의 방향성 208
<표 4-38> ‘멀티 페르소나 개념의 일반화로, 공적인 나와 사적인 나를 구분하는
현상 증가’ 이슈의 발현 가능성 221
<표 4-39> ‘멀티 페르소나 개념의 일반화로, 공적인 나와 사적인 나를 구분하는
현상 증가’ 이슈의 방향성 222
<표 4-40> ‘멀티 페르소나 현상의 문화예술 소비행태 영향 가능성과 자아표현 수단’
이슈의 발현 가능성 223
<표 4-41> ‘멀티 페르소나 현상의 문화예술 소비행태 영향 가능성과 자아표현 수단’
이슈의 방향성 223
<표 4-42> 시니어의 특징 변화 231
<표 4-43> 노년층의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기여 가능성 235
<표 4-44> ‘노년층의 문화예술 창작과 소비’ 이슈의 방향성 236
<표 4-45> 인구구조의 변화가 문화예술 창작유통소비의 감소로 발현될 가능성 237
<표 4-46>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문화예술 산업 변화’ 이슈의 방향성 238

그림 목차
[그림 1-1] 단계별 연구방법 7
[그림 1-2] 이머징 이슈 도출 및 군집화 과정 9
[그림 1-3] 미디어 스캐닝 및 이슈 추출(예시) 10
[그림 1-4] 주요 키워드별 이슈 분류(예시) 10
[그림 3-1] 국내 총생산 및 경제성장률 47
[그림 3-2]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49
[그림 3-3] 소비자심리지수 50
[그림 3-4] 최근 실업자 및 청년실업자 추이 51
[그림 3-5] 최근 실업률 및 청년실업률 추이 52
[그림 3-6] OECD 주요국의 최근 실업률 53
[그림 4-1]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코로나19 극복 온라인 희망 콘서트’ 92
[그림 4-2] 제페토에서 진행한 블랙핑크 가상 팬사인회(좌), 제페토와 구찌 협업(우) 95
[그림 4-3] 온라인 게임 '포트나이트'에서 벌어진 트레비스 스캇의 온라인 콘서트 장면 95
[그림 4-4] 청와대가 어린이날 행사로 공개한 마인크래프트 내 청와대 투어 97
[그림 4-5] 오큘러스 퀘스트2 98
[그림 4-6] ‘대한민국 어게인’ 나훈아 공연 (사진:KBS) 102
[그림 4-7] 온라인에서 개최된 '700년 전, 신안보물선의 침몰' 전시회 풍경 104
[그림 4-8] A.R.P.Y 1편 ‘스물여섯, 서른하나’, 금속조각가 낙(NAKK) 출연 104
[그림 4-9] 굿을 미디어아트로 재해석한 ‘당클매다’ 109
[그림 4-10] 무용 ‘루시드 드림 II’ 109
[그림 4-11] 국립국악원 단원이 ‘홍주의’를 입는 장면을 ‘브이로그(vlog)’로 촬영 112
[그림 4-12] ‘유명하면 못나오는 클래식쇼’의 한 장면 112
[그림 4-13] 코로나 19로 인한 고령층의 인터넷 이용량 변화 124
[그림 4-14] 가정에 자신만 사용하는 디지털 기기를 보유한 학생 비율 125
[그림 4-15] 사용 기기가 낡아 온라인 수업 참여에 방해를 많이 받는다는 학생 비율 125
[그림 4-16] 오픈갤러리의 그림 렌탈 서비스 135
[그림 4-17] ‘2020춘계 서울패션위크‘ 모습. 국립중앙박물관(좌), 국립현대미술관(우) 137
[그림 4-18] 기후위기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커뮤니티와의 만남을 통해
예술 작업을 진행하는 블루밍루더스의 사진 161
[그림 4-19] 안선화 작가가 작업한 정크아트 팝업북 163
[그림 4-20] LED 몰입형 미디어 아트 미술관 뮤지엄 다:의 ‘수퍼네이처’전 내부 전경(왼쪽)과
부산현대미술관에 전시된 코시마 폰 보닌의 ‘만약 짖는다면 4’(오른쪽) 165
[그림 4-21] 2020년 키트체험형 비대면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결과전시회 일부 169
[그림 4-22] 웹툰 ‘헬퍼2’의 한 장편. 네이버 웹툰 캡처 171
[그림 4-23] 편견과 혐오의 인류사를 다룬 APov 전시 ‘너와 내가 만든 세상’
포스터(좌), 성립 작가의 ‘익명의 사람들’(우) (사진:티앤씨 재단) 178
[그림 4-24] 아메리칸스 포 디 아츠 시민예술단체가 발표한 <예술의 사회적 영향 탐구표> 181
[그림 4-25] Culture+Economy 인싸(인사이더)챌린지 (출처: 한화자산운용) 183
[그림 4-26] 세대 인식 조사 결과- 20대가 보는 50대, 50대가 보는 20대 186
[그림 4-27] 세대 인식 조사 결과- 사회계층 이동 가능성 188
[그림 4-28] 브레이브걸스 유정을 오리온 과자 '꼬북칩' 모델로 합성한 사진(좌),
자신을 꼬북칩 마케터라고 소개한 팬이 올린 사진(우) (사진: 온라인 커뮤니티) 198
[그림 4-29] 강다니엘 팬클럽 기부 사례 199
[그림 4-30] 아미들의 자발적 번역활동(좌), 이를 집중 조명한 뉴욕타임즈 기사(우) 201
[그림 4-31] 주요 5개 국가 물질주의자 및 탈물질주의자 비교
(한국, 미국, 일본, 스웨덴, 멕시코) 214
[그림 4-32] 세계가치관조사(2017-2020) 주요 5개 국가 물질주의 및
탈물질주의 인덱스 (한국, 캐나다, 미국, 중국, 일본) 215
[그림 4-33] 뉴욕 ‘플루이드 프로젝트(The phluid project)’의 젠더 프리 마네킹 218
[그림 4-34] 한국 최초의 젠더 뉴트럴 메이크업 브랜드 ‘라카’(LAKA)의 광고 218
[그림 4-35] 성 소수자 인권 전문 시사 뉴스레터 ‘뉴닉’과 캐릭터 고슴이 220
[그림 4-36] 영국 배링문화재단의 ‘창의적 나이듦’에 대한 한국어 번역집 227
[그림 4-37] ‘문화로 청춘’ 사업 중 ‘서로 세대 간의 친구 이야기 프로젝트’ 228
[그림 4-38]‘경자씨와 재봉틀’ 현장사진 228
[그림 4-39] 밀라논나 Milanonna 유튜브 썸네일 229
[그림 4-40] 배우 윤여정, 지그재그 모델로 발탁 229
[그림 4-41] 우리나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변화 추이 (1967-2047) 232
[그림 4-42] 2020년 사상 첫 인구 데드크로스 진입 233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