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내 마음속 차 향기여! 해와 달을 품고 있네

내 마음속 차 향기여! 해와 달을 품고 있네

한재 이목 (지은이), 원학 (옮긴이)
불광출판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내 마음속 차 향기여! 해와 달을 품고 있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내 마음속 차 향기여! 해와 달을 품고 있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91172611767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25-06-23

책 소개

고전과 현대, 문학과 수행, 사유와 실천이 하나로 어우러진 특별한 책이다. 차를 수행의 일환으로 삼아 살아온 수행자이자 다인(茶人)인 원학 스님이 「다부」의 각 구절을 옮기고 풀어내었다.

목차

∙ 머리말

차(茶)는 맛을 즐기고 느껴야 한다
다성(茶性)을 만나면 보배를 얻는 것
다명(茶名)과 품종(品種)을 밝히다
다명(茶名)에 대해 밝히다
차나무가 생산되는 지명(地名)을 말하다
차나무는 열악한 환경에서 자란다
봄은 찻잎을 깨우는 신(神)이다
달여진 차 맛은 어떤 맛일까
차향(茶香)과 미감(味感)을 표현하다
다성(茶性)에 다섯 가지 다덕(茶德)이 있다
다성(茶性)의 본성에는 여섯 가지 덕(德)이 있다
다인(茶人)들은 다향(茶香)을 어떻게 즐겼을까
다성(茶性)을 만난 기쁨을 노래하다

∙ 한재(寒齋) 이목(李穆)의 연보(年譜)
∙ 번역과 해설을 끝내며

저자소개

한재 이목 (지은이)    정보 더보기
(1471~1498) 조선 성종~연산군 연간의 절조 있는 선비이자 차인으로 호는 한재寒齋, 시호는 정간공貞簡公이다. 공주 충현서원과 전주 황강서원에 배향되었으며, 현존하는 한국 최고最古의 전문다서인 <다부茶賦>의 저자로서, 한국의 ‘다부茶父’ 또는 ‘다선茶仙’으로 추앙되고 있다.
펼치기
원학 (옮긴이)    정보 더보기
주변으로부터 정인군자(正人君子)란 말을 듣는 원학 스님은 수행자다운 곧은 기개와 계행, 정연한 논리와 달변, 문화적 예술성을 지니고 있는 등 신언서판(身言書判) 모두가 반듯하다는 평을 듣는다. 원학 스님은 해인사로 출가한 해인승가대학 12기로 ‘해인승가상’과 ‘해인승가대상’을 수상했고, 해인승가대학 총동문회장을 역임했다.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 수료하였다. 조계종 총무원 재정국장, 문화부장, 총무부장, 중앙종회 사무처장, 제10·11·12·15대 중앙종회의원, 봉은사·조계사·봉국사·진주 연화사·대구 용연사 주지 등을 역임해 종무 행정에 두루 밝다. 2009년 총무부장으로 일할 때 스스로 ‘삼이(三耳)’란 호를 지었다. “총무원 소임은 봉사하는 자리. 즉 머슴살이와 같은데 귀 밝은 머슴이 되기 위해서는 귀가 세 개쯤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했다. 이 외에 ‘무위(無爲)’, ‘세석(洗石)’이라는 자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1994년 종단 개혁 당시에는 개혁회의 재정분과 위원장으로 조계종 개혁에 앞장 섰다가 1998년 종단사태 때 깊은 좌절의 수렁에 빠지고 말았다. 이후 제주도로 내려가 ‘청묵예원’을 설립하고 묵향에 빠져 인고의 세월을 보내기도 했다. 그러나 스님은 당시를 하심(下心)과 인욕(忍辱)을 수행하는 귀중한 시기였다고 되새긴다. 국무총리실 소속 ‘10·27 법난 피해자 명예회복 심의위원장’으로서 종단과 피해자 스님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국방부 차관(당시 장수만)을 설득한 끝에 1,500억 원의 국회 예산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2008년에는 종교편향종식 범불교도대회의 봉행위원장으로서 성공리에 행사를 치루어 종정 예하로부터 표창패를 수여받았다. 또한 1997년 총무원 문화부장 시절 종교문화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종교예술제’를 창설하여 제1회 운영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전통문화와 문화재에 대한 관심과 전문성으로 2012년 불교중앙박물관장·해인사성보박물관장과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 문화재위원을 역임하였다. 남종화의 본맥을 잇고 있는 원학 스님은 남종화의 거장 의재 허백련 선생의 수제자인 우계 오우선 화백에게 전통산수화를, 국전심사위원장을 지낸 청남 오제봉 선생에게서 서예를 40년 넘게 사사했다. 불교미술제 우수상(1974년), 국전, 동미술제 입선(1980년) 등을 통해 불교계 안팎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은 스님은 1977년 서울 중앙불교회관에서 열린 첫 번째 개인전을 시작으로 2015년 아라아트센터 등 모두 7번의 개인전을 가졌다. 1994년 초의 선사가 주석했던 해남 대흥사 부주지 소임을 볼 때 10여 년간 이어지던 사찰 분규를 종식시키고 오늘의 대흥사로 발전케 하는 토대를 만들었다. 또한 각계의 다인(茶人)들과 함께 ‘초의문화제’를 창립 발기하여 초의 선사의 다도 정신을 계승하였으며, 2014년에는 초의 선사의 『동다송(東茶頌)』을 번역, 해설한 『향기로운 동다여 깨달음의 환희라네』를 출간하였다. 차 문화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제22회 초의문화제 초의상을 수상했다. 2017년에는 1996년에 번역 해설한 금강경 야부송 『지혜로운 사람은 어리석음을 꾸짖지 않는다』를 윤문 보완한 개정판을 출간하였다. 현재 경산에 있는 삼화사 청묵예원에서 다도회 모임을 주관하고, 전통산수화 지도와 창작 활동에 몰두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생이 나그네라고 했을 때, 나그네의 시름을 달래 주는 것은 죽을 때까지 함께할 수 있는 벗이 최고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우(茶友)와 함께 좋은 풍광을 찾아 즐겁게 감상하고, 다우의 향기(香氣)로 깊은 맛을 느끼는 것만이 영원하다 했으며, 그것을 ‘완상(玩賞)과 미감(味感)’이라 하였다.
나그네의 삶에서 가는 곳마다 색다른 풍광을 즐겁게 감상하고, 곳곳에 새로운 맛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 나그네의 삶은 얼마나 힘들고 외롭겠는가.


한재는 자신이 일생 동안 벗으로 함께 즐기고 감상하며 맛을 느끼는 다성(茶性)이나, 이백의 명월(明月)이나, 유백륜의 술이나, 모두 같은 이치로 생각한 것이다.
이백이 밝은 달을 함께 사랑하고 즐겁게 생각하였듯이, 유백륜도 술에 취하는 마음에 일생을 즐겁게 살았다.
한재 또한 다성(茶性)의 즐거운 마음에 빠져 감상하고 인생의 맛을 느끼는 차 생활에 누구보다 절실하게 빠져들어 살아갔으니, 그 모두가 무정유(無情遊)의 이치를 터득하여 살아간 사람들이라고 하리라.


이렇게 여유로운 차(茶)가 선(禪)이 되고, 선(禪)이 차(茶)가 되는 것을 다선일미(茶禪一味)라고 하였다.
왜 다선(茶禪)을 한 맛[一味]으로 표현한 것일까.
인간의 삶이란 생명(生命)의 보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본래부터 부여한 생명의 향기를 발굴하고 맛으로 느끼는 삶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인(茶人)은 스스로의 본성에 깊이 있는 맛을 지니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다인(茶人)으로서 다성(茶性)의 깊이를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행다(行茶)의 몇 가지 예법(禮法)을 익히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경(茶經)』이나 깊이 있는 고전(古典)의 다시(茶詩)와 다송(茶頌) 등을 읽고 공부해야 하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72611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