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72632946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25-04-02
책 소개
목차
INTRO 취준 전에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
1. 여러분의 강점을 극대화하시기 바랍니다!
- 정답이 뭔가요?
- 취업에 정답은 없습니다
- 정답은 나의 핵심역량에 있다!
- 여러분의 강점을 가장 빛나게 만드는 방법
- 이 책의 방향성
2. 토끼와 거북이의 시합, 그 결과는?
- 토끼와 거북, 승자는?
- 나는 토끼인가 거북이인가?
- 내가 누구인지 알아야 무엇을 잘할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3. 나도 내가 누군지 모르겠다…@.@
- 직무선택 잘못한 Case - P선배 사례
- 중요한 것은 결국 나의 강점이 무엇인지 아는 것
4. 합격률을 높이는 첫 단추, 직무선택
- 경쟁률, 신경 쓰이시죠?
- 합격하는 직무선택 방법
5. 자소서의 중요성
- 자소서 작성, 다 어려우시죠?
- 블라인드 채용
- 자소서는 면접의 꼬리표
1장 대기업 합격 자소서를 분석해보았습니다
1. 서류전형의 실제
- 심사위원에게 자소서란
- 서류평가 전에 회사에서는
- 기억에 남는 단 2%의 자소서
- 나머지 98%의 자소서 특징
-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자소서 작성법 연구
2. 합격한 자소서들의 10가지 특징
- 특징1. 필요역량과 보유역량의 매칭률이 높은 자소서
- 특징2. 본인의 경험이 서술된 자소서
- 특징3. 보유역량의 수준이 높은 자소서
- 특징4. STAR 기법으로 서술한 자소서
- 특징5. 구조화된 문제해결방식을 보여준 자소서
- 특징6. 행동과 결과의 인과관계가 높은 자소서
- 특징7. 과업적인 경험이 많은 자소서
- 특징8. 구체적으로 서술한 자소서
- 특징9. 가독성이 좋은 자소서
- 특징10. 최근 경험을 위주로 서술한 자소서
2장 상위 2% 자소서의 기본공식 10개
1. Five-Three Model
- 핵심역량의 개념
- 기업의 채용 기준과 핵심역량
- Five-Three Model의 구성과 적용
- 핵심역량 서술의 방법론: 경험사례와 STAR 기법
- 핵심역량 서술공식
2. 보유역량과 직무 매칭률
- 직무별 필요역량의 이해
- 지원 직무와 나의 핵심역량 매칭
- 구체적인 사례를 통한 매칭 검증
- 종합적 분석 및 전략적 접근
3. 본인의 경험이 기술되었는가?
- BEI 면접기법과 과거 경험의 중요성
- 미래형이 아닌 과거형 서술의 필요성
- 경험사례의 구체적 서술이 주는 효과
- 경험사례 서술의 필요성과 핵심 요약
- 지원동기에 대한 잘못된 접근 사례와 올바른 경험 서술
4. STAR 기법을 따랐나?
- 핵심역량 서술공식 재정리
- STAR 기법의 목적
- 구체적인 사례의 중요성
- STAR 기법의 네 가지 요소
- STAR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5. 역량레벨이 높은가?
- 역량에도 레벨이 있다
- 역량레벨1. 수동적 행동
- 역량레벨2. 통상적 행동
- 역량레벨3. 능동적 행동
- 역량레벨4. 창조적 행동
- 역량레벨5. 패러다임 전환적 행동
- 역량레벨링의 목표수준
6. 구조화 서술방식
- STAR 기법의 핵심: Action
- 구조화 서술방식의 중요성
- 문제 해결 과정의 체계적 접근
- 실행 계획 수립 및 피드백
7. 행동과 결과 사이의 인과관계의 충분성
- 인과관계의 기본 원리
- 객관적 평가의 필요성
- 지원자의 불안감과 흔한 오류
- 결과에 집착하지 말라는 메시지
8. 직무수행 관련성
- 개인적 관계문제 해결 사례의 한계
- 업무수행능력과 조직 내 관계
- 직무 중심 경험의 서술 필요성
- 개인적 목표 vs 팀 목표
9. 가독성이 좋은가?
- 서류심사위원의 상태는?
- 지원자 자소서의 검토 과정
- 정독의 어려움과 속독의 필요성
- 가독성이 좋은 자소서의 효과
- 소제목과 구체적 정보의 중요성
10. 구체적으로 서술했는가?
- 1단계: 일반적 표현의 한계
- 2단계: 구체적 용어의 기술로 향상된 표현
- 3단계: 구체적 정황의 완성도
3장 상위 2% 자소서의 추가공식 5개
1. 선호도 공식을 지켰는가?
- 심사위원의 선호도 이해
- 성과의 범위: 개인 < 팀 차원
- 시기의 중요성: 어린 시절 < 성인 이후 경험
- 업무관련성: 학업적 활동 < 과업적 활동 < 직무연관 활동
- 사례의 종류: 관계적 문제 해결 < 과업적 문제 해결
- 기업환경 유사성: 학교 < 기업 현장 경험
- 문제인식 범위: 개인적 니즈 < 집단 차원의 니즈
- 상황의 합리성: 예외적 사례 < 일상적 문제 상황
2. 지원동기 작성법
- 지원동기 작성이 어려운 이유
- 흔한 지원동기 두 가지 유형
- 두 가지 유형의 한계
- 효과적인 지원동기 작성법
3. 본인의 단점 작성법
- 단점 작성의 어려움
- 단점 작성의 솔루션
4. 효과적인 글자수 줄이기
- 글자수 제한의 이유와 기업의 평가 기준
- 글자수 조정 꿀팁: 어미 공략과 간결한 표현
- 어미가 길어지는 이유
5. 문항보다 나의 핵심역량에 집중했는가?
- 지원자의 부담감
- 관점 전환의 필요성과 그 효과
- 구체적 예시와 전략적 접근
- 핵심역량 중심의 자소서 작성
4장 표준자기소개서
1. 표준자기소개서?
2. 표준자기소개서를 작성해야 하는 이유
- 합격률과 효율성
- 전체 합격률을 높이는 부스터
- 직무 선택의 중요성
3. 표준자기소개서 작성하기
- 핵심역량 선정: 7가지 강점 정리
- 과거 경험 정리: 활동 이력 작성
- STAR 기법을 활용한 표준자소서 작성
4. 표준자기소개서 활용방법
- 커스터마이징
- 업종과 기업문화 검토하기
- 문항에 맞는 핵심역량 선택하기
- 자소서 최적화와 효율성
- 빠르고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핵심 전략
5. 이제는 여러분이 평가해봅시다!
- 심사위원의 관점으로
5장 ChatGPT와 자소서
1. 채용 시장에서 ChatGPT가 가지는 한계
2. ChatGPT를 자소서에 제대로 활용하기
3. ChatGPT 활용 시 주의사항
4. 자소서의 완성도와 ChatGPT
6장 면접관의 몇 %가 내 자소서를 읽을까?
1. 심사위원의 시간적인 제약
2. 일면식도 없는 심사위원
3. 서류심사의 실제적인 환경 이해
4. 심사위원의 상황을 고려한 자소서 작성 전략
5. 심사위원 관점의 이해
6. 실전 자소서 작성 팁
7장 자소서 관련 Q&A
1. 소제목, 꼭 써야 하나요?
- 소제목 안 쓰면 불합격?
- 소제목이 주는 추가적인 장점
- 소제목을 활용하는 두 가지 방식
- 소제목 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점
- 소제목의 사용여부
2. 지원동기는 어떻게 써야 하나요?
- 지원동기 작성의 잘못된 방식
- 올바른 지원동기 작성 방법
- 지원동기 작성 예시
3. 꼭 결과가 좋은 사례만 써야 할까요?
- 결과보다 중요한 것은 과정입니다
- 결과가 부족해도 합격하는 자소서의 특징
- 실패한 프로젝트를 성공적인 자소서로 만드는 방법
- 결과보다 과정이 더 중요합니다
4. 자소서 잘 썼다고 생각하는데 번번히 떨어집니다...ㅠㅠ
- 자소서 자체의 완성도가 부족한 경우
- 자소서가 뛰어나더라도 불합격할 수 있는 이유
- 자소서 전략: 전체 합격률을 높이는 접근법
- 포기하지 않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5. 글을 쓰다 보면 문장이 꼬이고 길어져요…ㅠㅠ
- 단문을 사용하면 가독성이 높아집니다
- 비문을 줄이는 효과
- 읽기 쉬운 글을 만드는 원리
- 단문 사용을 위한 실전 팁
- 실제사례: 단문 사용의 효과
6. 글자수를 맞추는 방법은 뭐가 있나요?
- 불필요한 어미를 줄이기
- 장황한 표현을 직관적인 문장으로 변환
- 중복된 내용 제거하기
- 능동형 문장을 활용하여 간결한 표현 만들기
- 숫자와 구체적인 정보를 활용하기
- 유사한 의미를 지닌 단어 정리하기
- 핵심 정리
8장 자주 하는 실수 모음
1. 치명적인 단점의 노출
- 위험한 단점 서술의 예시
- 단점을 효과적으로 서술하는 방법
- 단점 서술 시 반드시 피해야 할 요소
- 단점 서술의 원칙
2. 회사소개서
- 회사 정보 나열의 문제점
- 잘못된 자소서 예시
- 올바른 자소서 작성 방법
- 회사정보를 활용하는 올바른 방법
3. 인생사
- 인생사 중심의 자소서가 위험한 이유
- 잘못된 자소서 예시
- 올바른 자소서 작성 방법
4. 합격수기나 언어극복사례
- 합격수기는 왜 부적절한가?
- 언어극복 사례는 왜 적절하지 않은가?
- 어떻게 ‘어려움을 극복한 사례’를 효과적으로 작성할 것인가?
5. 사례가 없는 자소서
- 주장만 있고, 근거는 없다
- 사례 없는 자소서 vs 사례가 포함된 자소서
- 주장이 아닌 ‘증명’이 핵심이다
6. 동일한 어미의 반복
- 동일한 어미 반복이 왜 문제가 되는가?
- 동일한 어미 반복을 피하는 방법
- 단조로움을 피하고 가독성 높이기
7. 비문
- 비문이란 무엇인가?
- 비문이 자소서에서 문제 되는 이유
- 비문을 피하는 방법
- 비문 없는 자소서를 위한 실전 예시
- 비문 없는 자소서가 경쟁력을 높인다
9장 상위 2% 자소서를 완성하는 마지막 단계
1. 지금까지의 과정을 돌아보며
2. 자소서는 단순한 글이 아니다
- 평범한 자소서 vs 차별화된 자소서
3. 완벽한 자소서를 만들기 위한 마지막 점검 리스트
4. 자신감을 가지고 도전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