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72638689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24-12-16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가깝고도 먼 도시
건축과 상징의 두 얼굴, 평양시
- 평양시 입문
- 버들이 우거지고 꽃이 만발한 땅
- 화려한 건축(建築) 뒤의 두 영혼
- 사회주의 지상낙원에서 자본주의 시장화로
- 평양의 또 다른 그림자를 찾아서
동서해의 물류 중심에서, 평성시
- 평성시 입문
- 수도 평양을 보위하는 성채(城砦)
- 자발적 수공업과 시장화의 모체(母體)
- 동서해를 잇는 물류 중심 도시의 미래
남북 횡단 교통의 중심, 사리원시
- 사리원시 입문
- 유구(悠久)한 역사와 문화의 도시
- 봉산탈춤과 북한 국화의 고향
- 남북을 횡단하는 교통의 중심에서
- 황해도 시장화의 관문 도시로 거듭나다
수양산이 전하는 역사 문화, 해주시
- 해주시 입문
- 민족의 영웅 안중근의 고향, 수양산
- 3대 자원(역사, 관광, 농수산)의 보물고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NLL, 그 중심에서
- ‘서해평화협력지대’의 꿈, 그리고 미래
분단-평화공존의 완충 도시, 개성시
- 개성시 입문
- ‘신(新)해방 지구’에서 개성특급시로
- 만월대에 올라 역사 속으로
- 접경 지역에서 남북 교류의 초국적 공간으로
- 분단-통합의 완충 시범도시, 경험과 한계
제2장 항구도시의 낮과 밤
화학공업의 미래, 함흥시
- 함흥시 입문
- 비날론과 함흥냉면의 고향
- 대륙 침략 병참기지에서 핵미사일 병참기지로
- ‘전인민적 소유’에 진정한 주인은?
철의 도시, 청진시
- 청진시 입문
- 푸른 바위의 고장, 청진
- 철강산업과 해상무역의 중심에서
- 열악한 도시에서 전국 시장의 생명선으로
서해관문의 국제항구, 남포시
- 남포시 입문
- 평양 서해의 관문, 그리고 제2의 수도
- 북한 ‘사회주의 경제관리’ 모델의 고향
- 남북경협이라는 끈질긴 시선과 배타적인 그것들
- 사회주의-반사회주의가 교차하는 국제시장
동해안의 진주, 원산시
- 원산시 입문
- ‘매시달’ 그 역사 속 항구도시
- ‘동해안의 진주’ 관광 문화도시
- 천연자원-천연항이 품고 있는 주요 경제
- 환동해권 에너지·물류 중심 도시로 도약하기까지
국제항구-산업도시, 김책시
- 김책시 입문
- 성진에서 김책으로
- 잊힌 동해안의 국제항구, 그리고 제강 산업
- 이색적인 외화벌이로 자화생존(磁化生存)
동해의 황금어장, 신포시
- 신포시 입문
- 남북한 최대의 명태 황금어장
- 최대 수산기지에서 핵전략 잠수함 기지로
- 영변 핵시설과 경수로의 맞교환, 그 이후
- 희망은 어디에
제3장 국경이란 무엇일까
백두산의 관문, 혜산시
- 혜산시 입문
- 국경 경비 요충이자 산림자원의 보고(寶庫)
- 민족의 영산이 ‘혁명의 성산’으로
- 북중 무역과 시장화의 선두에서
- 통일 혜산시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
황금의 삼각주(三角洲)? 나선시
- 나선시 입문
- 나선시 지명과 잦은 변천
- 오락가락 나진경제무역지대의 개발 전략
- RP1350 프로젝트, 그리고 미래
- 자유경제무역지대의 득과 실
북중친선의 냉온 교두보, 신의주시
- 신의주시 입문
- 대륙 횡단의 교두보, 그 역사 속으로
- 북중 교류 및 특구 전략의 불협화음
- 한반도 신경제 지도의 딜레마, 그 전후
- 북한 시장화의 명맥, 불꽃 튀는 생존 경쟁
압록강 기슭의 국경도시, 만포시
- 만포시 입문
- 북부내륙의 전략적 요새, 만포진
- 군수공업과 민간공업의 이면에서
- 북중 합작 경제 개발구, 꿈과 현실
- 남북협력에서 너무 먼 만포경제개발구
군수공업의 심장, 강계시
- 강계시 입문
- 압록강 연안의 교두보, 자강도의 중심
- 보이지 않는 요새, 그리고 ‘강계 사랑’
- ‘강계 정신’이 만든 ‘자력자강’
- 남북 교류의 또 다른 공백을 찾아서
백(白)살구의 고향, 회령시
- 회령시 입문
- 발해의 도시, 그 흔적을 찾아서
- ‘회령 3미(美)’를 보다
- 혁명전통의 거점도시, 그 뒤의 빛과 그림자
제4장 금은보화에 가려진 그림자들
기간산업의 생명, 순천시
- 순천시 입문
- 대동강의 중심에서
- 무분별한 외화벌이, 그리고 불법시장의 빛과 그림자
- 오색빛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 남북 산업 거버넌스의 미래
연풍호반에 비낀 안주시
- 안주시 입문
- 남이흥 장군과 안주성, 그리고 안주시
- 무진장한 부존자원의 공유지(共有地)
- 열두삼천리벌(十二三千里㘺)의 생명수를 품다
- 그래도 희망은 싹튼다
‘검은 금’의 도시, 개천시
- 개천시 입문
- 검은 금의 태생과 태동, 그 역사 속으로
- 회색 도시에 이색적인 건강과 보물
- 개천-태성호 물길(수로)과 대동강의 불안한 동거
기계공업의 어머니, 희천시
- 희천시 입문
- 북부내륙의 전략적 요충지, 그 역사 속으로
- 기계공업의 어머니-보이지 않는 요새
- ‘희천 속도-희천 시간’이 탄생하기까지
- 기계제조공업의 미래 육성 도시로
미래 철강·기계산업의 왕, 송림시
- 송림시 입문
- 일제의 잔재에서 새로 태어나기까지
- 국제 수출가공구로 꿈틀대는 송림
- 남북관계, 국제관계에서의 협력네트워크
통일 광물자원의 보고, 단천시
- 단천시 입문
- 한반도에선 최장 길이의 도시 구획도
- 돌산(rock)에서 금산(gold), 그리고 돈산(money)으로
- 기술 왕국에 자원 공백, 그 이면에서
- 통일 시대 남북자원협력의 정치경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