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국어교육 전공
· ISBN : 9791173111150
· 쪽수 : 298쪽
· 출판일 : 2024-10-07
책 소개
목차
1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개념 명료화
◆ 교과 역량 체계화 1단계-역량 개념 명료화
1장 역량의 개념과 특성 탐색
1. 역량의 일반적인 개념
2. 역량의 특성
3. 교육 분야에서 역량의 개념
4. 교과별 의사소통 역량의 개념
2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구조화
1.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재개념화
2.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범주와 요소
3.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세부 요소
4.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지표
2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평가 절차 마련
◆ 교과 역량 체계화 2단계-역량 평가 절차 마련
3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진단과 분석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4장 개인 변인에 따른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차이 및 연관성 분석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5장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3부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교육 실행
◆ 교과 역량 체계화 3단계-역량 함양 학습 경험 설계
6장 이해 중심 교육과정 기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설계: ‘토의하기’ 중심으로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7장 이해 중심 교육과정 기반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실행: 생성형 AI를 활용한 ‘토의하기’ 중심으로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8장 국어과 듣기·말하기 교육과정 실행: ‘진로 탄력성 교육’과의 연계를 중심으로
1. 연구 배경
2. 연구 기반
3. 연구 설계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