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
· ISBN : 9791173182860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5-04-15
책 소개
목차
여는 글: 중독, 우리 시대의 숨겨진 이야기
제1부 중독에 빠지는 그녀들
제1장. 불안: 인간 심성의 숨겨진 동력
제2장. 지각된 몸: 중독을 향해 내달리는 몸
제3장. 관계의 그림자: 관계성이 만들어 낸 상처
제2부 중독된 여성들을 주목해야 할 이유
제1장. 사회는 어떻게 중독을 키우는가
제2장. ‘완벽한 여성’이라는 신화
제3장. 결핍이 만들어 낸 과몰입과 의존
제3부 중독된 여성들의 초상
제1장. 탐닉의 뿌리: 네 여성의 이야기
제2장. 탐닉의 탄생과 회복의 길
제4부 회복을 향해 나아가기
제1장. 그녀들의 목소리
제2장. 함께 걷는 치유의 길
나가는 글: 회복의 새로운 지평을 향해
추천의 글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이 글은 도파민을 찾아 헤매다 중독에 빠지는 현대인들의 근원적 기분을 ‘불안’에서 찾았다. 그리고 이 불안에 먼저 달려가 반응하는 우리 자신의 몸을 ‘지각된 몸’으로 이해했다. 특히 이 글은 중독 여성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독자인 세상 사람들과 함께 사회적으로 공명하고 싶다는 작은 소망에서 출발했다. 왜냐하면 현대 여성들이 처한 삶의 압력이 남성들과 비교해 전혀 가볍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 그녀들은 남성과 다를 바 없이 혹은 더 불안정하게 노동시장 내 치열한 경쟁 관계에서 살아남아야 한다. 또한, 아름다운 얼굴과 관능적 몸매에 대한 사회적 압력 또한 훨씬 더 강하게 받는 존재이다. 어디 그것뿐이겠는가? 자녀의 임신과 출산, 양육 그리고 다른 가족구성원에 대한 돌봄 압박도 여전히 남성보다 더 큰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현재의 이 세계는 왜 이토록 중독에 취약해졌을까? 우리 몸은 왜 죽을 줄 알면서도 불구덩이를 향해 달려드는 불나방처럼 중독을 향해 질주해 나가는 것일까?
현대인들의 삶은 불안과 두려움의 연속이다. 성과 위주의 경쟁 사회에서는 불안이 순간순간 엄습해 온다. 또한 필연적으로 두려움을 마주해야만 할 때도 있다. 이러한 순간들은 지금까지 쌓아왔던 공든 탑이 순식간에 무너질 수도 있다는 아찔한 상상이나 경험에 압도되게 한다. 그래서 그 혹은 그녀들은 이를 감추기 위해 혹은 벗어나기 위해 고군분투하게 된다. 그럼에도 그 분투의 감옥에 갇혀버린 개인은 삶이 짓누르는 무게감을 잠시나마 회피하고자 중독을 촉진하는 자극제가 있는 길로 진입해 간다.
그렇다면 이러한 쇼핑중독 현상 이면에 숨겨진 내적 심리가 무엇인지를 유추해 보아야 할 것이다. 아마도 그녀가 직장 여성이라면 그녀의 쇼핑중독에는 직장이 주는 스트레스, 그리고 부담감 등에서 벗어나고 싶은 내적 욕망이 존재할 수 있다. 또 그녀가 배우자나 자녀의 무관심 혹은 갈등으로 상처받고 있다면 그 상처를 메우기 위해 쇼핑중독에 빠져들 수도 있다. 그녀는 직장이나 가정이 주는 스트레스, 부담감, 상처, 우울을 회피해 보고자 쇼핑 행위에 매달렸지만, 그럴수록 그 쇼핑 행위는 또 다른 직장과 가정 내 문제를 일으킨다. 이로 인해 그녀가 강박적으로 몰입한 쇼핑이라는 ‘터널 비전’은 오히려 다른 관계를 파탄 내 버리는 역설로 그녀를 몰아갈 것이다. 이처럼 안전장치가 사라져 버린 불확실한 사회가 만들어 내는 불안감을 견뎌내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현대인들에게는 이 불안감을 회피하거나 억압하기 위한 수단으로 특정한 생각, 대상, 행위에 집착하는 강박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