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고령사회의 웰에이징과 웰다잉

초고령사회의 웰에이징과 웰다잉

(한국과 일본의 지혜와 경험을 나누다)

가마타 도지, 다니야마 요조, 사사키 슌스케, 도미자와 기미코, 가타오카 류, 김용해, 이진현, 홍경자, 강선경, 김진욱 (지은이), 김용해 (엮은이)
모시는사람들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5% 0원
1,00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초고령사회의 웰에이징과 웰다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고령사회의 웰에이징과 웰다잉 (한국과 일본의 지혜와 경험을 나누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66292064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4-08-31

책 소개

일본과 한국이 마주한 초고령화 사회라는 공통된 도전을 배경으로, 웰에이징(Well-Aging)과 웰다잉(Well-Dying)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담아낸다. 초고령화 사회에서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할 뿐 아니라, 웰에이징과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제고하고, 개인적인 통찰을 거두는 데 이바지할 수 있다.

목차

제1부 웰에이징(Well-Aging)
가이바라 에키켄의 시각에서 본 웰에이징(Well-Aging) / 사사키 슌스케
1. 머리말
2. 가이바라 에키켄(貝原益軒)에 대하여
3. 에키켄의 장수 축하설(賀壽說)
4. “늙어서는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권하는 중간 역할을 하게 된다”―‘낙(樂)’의 사상
5. 맺음말―장수를 축하하는 풍경을 상상해 본다
논평 / 박병준
웰에이징(Well-Aging) 프로그램 개발 / 강선경
1. 머리말
2. 이론적 논의
3. 한국의 웰에이징 프로그램 사례 분석 및 선행연구 검토
4. 웰에이징 프로그램 개발
5. 맺음말
논평 / 이인자
논평에 대한 답변 / 강선경
커뮤니티와의 연결로 늙음을 빛나게 / 도미자와 기미코
1. 머리말―연구의 관점
2. 아마미를 조명하다―역사에 의해 형성된 정체성
3. 초고령자의 자립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4. 아마미 초고령자의 노년적 초월(인터뷰 조사)
5. 아마미 섬의 유대(紐) 환경―집락구장(集落長) 설문조사
6. 맺음말―아마미 연구를 통해 전달할 수 있는 것들
논평 / 강선경
논평에 대한 답변 / 도미자와 기미코
초고령사회에서 웰에이징(well-aging)에 대한 철학상담적 고찰 / 홍경자
1. 문제제기
2. 혐오 개념의 이해
3. 세계관 해석을 활용한 웰에이징에 대한 철학상담적 방안
논평 / 우노 아카리
논평에 대한 답변 / 홍경자
낯선 나를 만나다 / 가타오카 류(片岡龍)
1. 머리말
2. 70세의 인터뷰에서
3. ‘반복해서 출발하는’ 생명
4. 한일 양국에 불어오는 해풍
5. ‘좋은 아침! 오늘의 나’
6. 맺음말
논평 / 차명희
논평에 대한 답변 / 가타오카 류

제2부 웰다잉(well dying)
죽음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 김용해
1. 머리말
2. 죽음에 대한 존재론적 해석
3. 맺음말
논평 / 다카하시 하라
논평에 대한 답변 / 김용해
임종 케어에서 슬픔 케어로 / 다니야마 요조
1. EOL 케어, 지역 포괄 케어, 컴패션 커뮤니티
2. 영적(Spiritual) 케어과 종교적 케어
3. 채플린, 임상 종교사
4. 슬픔 케어
5. 누구를 위한 케어인가?
논평 / 이규성
웰다잉(Well-dying), 초고령사회를 맞는 한국 사회복지의 새로운 패러다임 / 김진욱
1. 늙어 가는 대한민국, 초고령사회의 그늘
2. 한국 복지국가의 발전과 웰빙(Well-being) 패러다임
3. 사회복지학에서의 죽음 논의
4. 초고령사회를 맞는 한국 복지체계의 대응 방향―죽음의 질과 웰다잉
논평 / 다나카 유키
논평에 대한 답변 / 김진욱
암 경험을 통해 이야기하는 웰다잉 / 가마타 도지
1. 제140회 함께 공공(公共)하는 생명개신미학(生命開新美学)을 함께 디자인하는 워크숍
2. 가마타 도지 씨, 암과 마주하며 지은 「신화(神話)와 시(詩)」
3. 남은 생을 걱정할 겨를이 없다―슬픔 케어 전문가가 암 4기 진단을 받고
논평 / 김영훈
좋은 죽음을 돕는 이들을 위한 안내 / 이진현
1. 머리말
2. 예수회 임종사목, 이냐시오와 초기 동료들의 유산
3. 『선종봉사지침』 개요
4. 지침서의 성경적·신학적·영성적 바탕
5. 맺음말
논평 / 이시가미 린타로
논평에 대한 답변 / 이진현

저자소개

김용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법학, 철학, 신학, 사회학, 심리학을 공부하고, 독일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2002)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로서 사회철학, 윤리학, 인간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생명문화연구소(Institute of Life and Culture) 소장(2008-13)을 역임하였고, 사회와 철학회, 동학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Zur Begruendungder Menschenwuerde und Menschenrechte auf einer interreligionen Metaebene(종교 간의 대화를 통한 인권과 인간존엄성의 근거 Frankfurt a. M. (London 2005), 『젊은이의 행복학』(서광사 2014), 『인간존엄성의 철학』(서강대학교 출판사 2015), 역서로 『일반윤리학』(Friedo Ricken 저, 서광사 2006), 『알프레드 델프』(시와 진실 2011)와 철학과 종교 관련 논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강선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사회복지공제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정신보건사회복지사로 임상경험을 쌓았으며, 2015년을 기점으로 4대 중독(도박·마약·알코올·인터넷)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였다. 생애주기에 맞춘 서베이 및 질적연구를 통해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 노년 세대가 직면하는 도박·마약·알코올·스마트폰·SNS 중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파악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4대 중독의 한국형 치유모델 개발연구』 (한국학술정보, 2020), 『초고령 사회의 웰에이징과 웰다잉』(모시는 사람들, 2024), 「중년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음주의 구조적 관계: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한국과 세계, 2024), 「여성 알코올의존자의 재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문화와 융합,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홍경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철학과 교수. 현재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철학상담치료학회 부회장 및 교육이사와 철학상담 수련감독으로 있다. 한양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대학교에서 〈카를 야스퍼스와 게오르크 짐멜의 비극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고찰Eine Untersuchung uber Begriff und Theorie des Tragischen bei Karl Jaspers und Georg Simmel〉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철학상담 방법론》(공저), 《아픈 영혼을 철학으로 치유하기: 철학상담을 위한 공감적 대화와 초월기법》(공저), 《코로나 블루, 철학의 위안》(공저), 《서양고전 속의 삶과 죽음》(공저), 《피로 철학상담》(공저), 《철학 II: 실존조명》(공역) 등이 있다. 〈자살자 유가족의 ‘수치심’에 대한 철학상담적 고찰〉, 〈철학상담적 관점에서 고찰한 자살자 유가족의 ‘죄책감’ 문제〉, 〈자살에 대한 실존론적 해석과 철학상담: 야스퍼스의 자살론을 중심으로〉, 〈자살자 유가족을 위한 애도의 철학상담〉, 〈철학상담에서 고찰한 ‘자유’의 문제〉 등 다수의 논문을 집필했다.
펼치기
가마타 도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교토대학 명예교수
펼치기
다니야마 요조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호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교수
펼치기
사사키 슌스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도호쿠대학 대학원 문학연구과 연구조수
펼치기
도미자와 기미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리쓰메이칸대학 기누가사 종합연구기구 객원연구원
펼치기
이진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펼치기
김진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펼치기
김용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법학, 철학, 신학, 사회학, 심리학을 공부하고, 독일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2002)를 취득하였다. 현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로서 사회철학, 윤리학, 인간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생명문화연구소(Institute of Life and Culture) 소장(2008-13)을 역임하였고, 사회와 철학회, 동학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Zur Begruendungder Menschenwuerde und Menschenrechte auf einer interreligionen Metaebene(종교 간의 대화를 통한 인권과 인간존엄성의 근거 Frankfurt a. M. (London 2005), 『젊은이의 행복학』(서광사 2014), 『인간존엄성의 철학』(서강대학교 출판사 2015), 역서로 『일반윤리학』(Friedo Ricken 저, 서광사 2006), 『알프레드 델프』(시와 진실 2011)와 철학과 종교 관련 논문 다수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여기서 주목할 것은 늙어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늙으면 같은 것을 반복하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자각적인 경계의 필요성을 언급한 후, 노인은 주변 사람들에 대해 ‘즐거움’(타인과 함께 하는 것: 仁樂 / 천지만물과 함께 하는 것: 天樂)을 깨달을 수 있도록 중재할 것을 언급한다. 여기에 에키켄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늙음’의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것은 또한 앞 절에서 확인한 장수 축하에서 ‘늙음’의 모습과 상통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에키켄이 생각한 ‘늙음’은 장수(長壽)를 체득한 자임과 동시에 생의 즐거움을 타인과 함께 누리고자 하는 안내자이기도 했다. 에키켄이 생각하는 장수를 축하하는 공간이란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 천지·부모에게 부여받은 생의 시간을 온전히 누릴 수 있도록 기원하는 그런 공간이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급속한 노인 인구 증가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낳았다. 이는 지금도 계속되는 문제이다. 정부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연금, 일자리 등의 분야를 재정비하기 위한 노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럼에도 한국 노인의 현실은 OECD 자살률 1위, 빈곤율 1위라는 국제 데이터가 대변해주고 있다. 노인 인구 1,000만 명이 다가오는 ‘노인 사회’에서 노인을 둘러싼 환경적 구조뿐만 아니라 개인적 요인을 간과하는 것은 앞서 살펴본 노인의 어두운 현실을 가속화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노년에 대한 세상의 시각이 변화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먼저 고령에 따른 무능력, 질병, 쓸모없음, 죽음 등으로 혐오를 유발하는 노인 차별의 현상인 연령주의에 맞서 자신을 지키는 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의존적이고 취약한 노인들은 무용하고 비인간적인 존재라는 경직되고 고정된 세계관에서부터, 충분히 존중받아야 할 보편적이고 정상적인 인간이며, 존엄한 인간으로서의 위상과 가치를 지닌 고유한 존재라는 세계관으로의 관점 전환이 이루어질 때 노인 스스로가 내면화한 고정관념에서 빠져 나와 사회의 위계적 질서를 깨뜨리고 차별과 배제에 저항할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가질 수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