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91173183027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5-04-18
책 소개
목차
저자소개
머리말
목차
제 1 장 미생물의 이해
1.1. 도입
1.2. 미생물의 물질대사
1.3. 미생물의 배양
1.4. 미생물의 증식
1.5. 배지
1.6. 멸균
1.7. 무균조작
1.8. 미생물의 서식지
1.9. 미생물의 분리
1.10. 미생물의 탐색과 응용
제 2 장 미생물 분류
2.1. 미생물 분류학
2.2. 종의 개념
2.3. 미생물 분류-형태학적 분석
2.4. 미생물 분류-생리생화학적 분석
2.5. 미생물 분류-수치분류학적 분석
2.6. 미생물 분류-화학분류학적 분자
2.7. 미생물 분류-분자분류학적 분석
2.8. 미생물 동정
2.9. 미생물 명명법
3.10. 신종 제안
제 3 장 토양미생물의 이해
3.1. 도입
3.2. 토양입단
3.3. 토양유기물
3.4. 논·밭토양 미생물
3.5. 토양효소
3.6. 토양 질소
3.7. 토양 인
3.8. 유용미생물
3.9. 토양과 근권에의 미생물의 정착
3.10. 토양DNA
제 4 장 식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
4.1. 식물과 미생물 공생의 기초
4.2. 식물 지상부의 미생물
4.3. 식물 내부의 미생물
4.4. 근권: 식물-토양-미생물 인터페이스
4.5. 식물-미생물 상호작용의 분자적 대화: 신호전달 및 반응 메커니즘
4.6. 균근: 상호 유익한 식물-미생물 관계
4.7. 질소고정: 상호 유익한 식물-미생물 관계
4.8. 식물 생장촉진 근권세균(PGPR)
4.9. 식물과 병원성 세균과의 상호작용: 방어전략에 대한 이해
4.10. 지속가능한 농업과 미생물의 중요성
제 5 장 농업에서의 환경미생물
5.1. 농업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미생물
5.2. 농업에서 유용한 미생물
5.3. 토양 원핵생물 종류와 질소 순환
5.4. 진핵생물과 바이러스
5.5. 부영양화와 그에 따르는 영향성
5.6. 미생물 생장 제어
5.7. 폐수처리와 미생물
5.8. 미생물을 이용한 폐기물 처리
5.9. 미생물에 의한 금속회수와 탈황
5.10. 환경미생물의 산업적 응용
제 6 장 유기?무기 오염지 토양의 정화
6.1. 토양오염과 미생물
6.2. 미생물 서식지로서의 토양
6.3. 토양오염물질과 오염원 정화방법
6.4. 토양오염에 영향을 주는 오염물질 인자
6.5. 미생물의 유기오염물질 분해(Biodegradation)
6.6. 미생물의 무기오염물질 안정화
6.7. 미생물 발효 Fermentation)
6.8. 미생물 퇴비화(Composting)
6.9. 식물복원(Phytoremediation)
6.10. 생물학적 오염토양 정화(Bioremediation)
제 7 장 광물과 미생물의 상호작용
7.1. 미생물과 광물 상호작용의 기초
7.2. 미생물과 광물 상호작용의 기초 분자 메커니즘
7.3. 미생물-광물 상호작용의 대사 경로: 에너지와 영양소 교환
7.4. 미생물-광물 상호작용이 생지화학적 순환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7.5. 미생물과 광물의 상호작용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7.6. 토양 광물 변환에서 미생물의 역할: 농업적 측면
7.7. 광물의 미생물 풍화
7.8. 금속의 독성과 미생물의 적응
7.9. 미생물-광물 상호작용의 기술적 응용
7.10. 미생물-광물 상호작용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 방향과 전망
제 8 장 미생물자원뱅크
8.1. 생물자원센터란?
8.2. 세계생물자원센터연맹
8.3. 세계미생물자원정보센터
8.4. 국내바이오소재클러스터
8.5. 국내미생물자원뱅크
8.6. 미생물 기탁 및 분양
8.7. 일반미생물 기탁 및 분양
8.8. 특허미생물 기탁 및 분양
8.9. 안전기탁 및 분양
8.10. 연구성과 기탁 및 분양
참고문헌
용어해설
찾아보기
책속에서
모든 미생물 실험에서 미생물을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무균조작」이라고 하는 방법과 기구 사용법을 익혀야 한다. 무균조작은 외부의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도록 배지나 시료를 다루는 방법으로 무균조작을 따르지 않으면 잡균이 혼입되어서 오염이 발생하여 실험을 진행할 수 없게 된다.
-24쪽, ‘1.7. 무균조작’
미생물은 고온, 저온, 호알칼리성, 극산성 등의 극한환경을 포함하여 어디에나 존재하는데, 농업과 관련된 생태계로는 논토양, 밭토양, 식물주변(근권, 종자권 등), 토양입단 등이 있다.
-26쪽, ‘1.8. 미생물의 서식지’
분류학(taxonomy)은 생물학의 한 분야이며, 살아있는 모든 생물을 기준에 따라 특성별로 유사한 것들로 묶어서 나누는 것으로, 분류, 동정, 명명을 포함한다.
-34쪽, ‘2.1. 미생물 분류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