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빈곤/불평등문제
· ISBN : 9791173351440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5-09-01
책 소개
양극화인가 하류화인가
"하류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당신 기준으로 살면 절대 안 된다. 정신 차려라."_<세이노의 가르침> 중에서
학력·소득·직업의 수준뿐 아니라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 비혼 청년, 고립된 노인, 돌봄 부담을 짊어진 중년 여성 등. 이들은 더 이상 일시적 불황의 피해자가 아니다. 구조적으로 '하류'에 고착된, 회복 불가능한 상태의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 책은 하류화가 개인의 실패가 아닌 사회 전체의 기능 부전임을 지적한다. 또한 하류사회의 확산이 일본이라는 국가의 소비력, 생산력, 나아가 미래 자체를 잠식하고 있음을 날카롭게 경고한다.
『하류사회』는 일본 사회를 꿰뚫는 결정적인 한 단어, '하류(下流)'라는 개념을 통해 사회 계층의 붕괴와 하향 이동의 실태를 밝힌 책이다. 저자 미우라 아츠시는 일본의 소비 구조·노동시장·가족형태 등 전방위적 변화 속에서, 새로운 계급이 형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통계와 구체적 사례로 입증한다.
『하류사회』는 일본의 중산층이 어떻게 하층으로 추락했는지를 설문 조사 데이터와 생생한 인터뷰 사례를 통해 보여 준다. 학력, 고용 형태, 가족 구조, 소비 행태 등 다양한 지표를 종합 분석해, '하류화'가 단지 경제적 문제에 그치지 않고 인간의 자존감과 관계, 심지어 국가의 존립 기반까지 흔드는 현상임을 날카롭게 진단한다.
사회 전반에 스며든 신자유주의적 사고, 가족 해체, 기업의 고용 회피가 맞물리며 "일하면 잘살 수 있다"는 신화는 무너졌다. 그리고 그 자리를 대신한 것은 '노력해도 안 되는 사회'에 대한 절망과 체념이다.
이 책은 일본을 경유해 한국을 비춘다. 무너진 사다리, 포기한 청춘, 희미한 미래. 『하류사회』는 독자로 하여금 질문하게 만든다.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이 사회는, 과연 괜찮은가?"
《하류사회》는 일본 사회가 탄탄한 중산층을 바탕으로 한 고도 소비 사회의 영광을 잃고, 중산층에서 하층으로 내려가는 거대한 흐름을 해부한 책이다. 저자 미우라 아츠시는 방대한 통계와 현장 인터뷰를 통해, 소득·학력·직업의 격차가 소비, 연애·결혼, 주거, 교육까지 어떻게 파고드는지를 집요하게 추적한다.
이 책은 단순한 경향 보고서가 아니다. 저자는 계층 이동의 사다리가 무너진 사회에서 개인이 어떻게 기회를 잃어 가는지, 그리고 이를 복원하기 위해 어떤 구조적 변화를 만들어야 하는지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하류사회》는 '현실 직시'가 얼마나 불편한 일인지를 깨닫게 하고, 그 불편함 속에서 변화를 고민하게 만든다.
2005년 일본에서 출간된 이 책은 '하류사회'라는 신조어를 널리 퍼뜨리며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중산층의 하류화', '계층에 따른 소비의 분열', '연애·결혼·출산의 포기' 같은 주제는 일본뿐 아니라 현재의 한국 사회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경고로 읽힌다.
오늘날 재조명되는 이유는 분명하다. 계층의 사다리가 무너지고, 생활양식과 미래 전망이 계층에 따라 재생산되는 현실은 이미 한국에도 깊숙이 스며들었다. 《하류사회》는 냉정한 현실 진단과 함께, 계층 간 단절을 완화하고 사회 이동을 복원하기 위한 구조적 변화를 촉구한다.
읽는 순간, 당신이 속한 계층과 그 미래를 직시하게 될 것이다.
당신의 소비 습관과 주거지, 가치관, 취향, 인간 관계와 교육에 대한 태도까지도 당신이 선택한 것이 아닐 수 있다.
'당신은 하류인가?' 이 책의 서문에서 지금 바로 하류도 테스트를 해 보길 권한다.
목차
서문
*세대 용어 해설
*조사의 개요
제1장 중류화에서 하류화로
제2장 계층화로 인한 소비자의 분열
제3장 단카이 주니어의 하류화는 계속된다!
제4장 연봉 300만 엔으로는 결혼할 수 없는가?!
제5장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것은 하류인가?
제6장 하류 남성은 히키코모리, 여성은 노래하고 춤춘다
제7장 하류의 성격, 식생활, 교육관
제8장 계층에 따른 거주지 고착화가 일어나고 있는가?
맺음말
후기
하류 사회를 고찰하기 위한 문헌 가이드
책속에서
-당신은 하류인가? 먼저, 당신의 하류도를 점검해 보자. 다음 문장에서 절반 이상 해당된다면, 당신은 상당히 하류적이다.
1. 연 수입이 나이의 100배이다(예: 30세 연봉 3천만 원)
2. 그날그날을 편하게 살고 싶다고 생각한다
3. 나답게 사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4.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살고 싶다
5. 무엇이든 귀찮아하고, 생활이 너저분하며, 외출을 꺼리는 성격이다
6. 혼자 있는 것을 좋아한다
7. 수수하고 눈에 띄지 않는 성격이다
8. 패션은 자신만의 스타일을 고수한다
9. 가끔 먹는 것이 귀찮다고 생각할 때가 있다
10. 과자나 패스트푸드를 자주 먹는다
11. 하루 종일 집에서 TV 게임이나 인터넷을 하며 보내는 경우가 많다
12. 미혼이다(남성 33세 이상, 여성 30세 이상인 경우)
-계층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소득 격차가 심화되면서 학력 격차로 이어지고, 그 결과 계층 간 이동이 어려워지며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나아가 ‘희망 격차’로까지 확대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서문 중에서
-신인류 세대는 인구학적으로 명확히 정의된 세대가 아니며, 일반적으로도 고정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 세대이다. -서문. 세대 용어 해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