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73570612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02-13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교양으로서 알아야 할 회계란?
CHAPTER 1 회계가 존재하는 이유
알고 싶은 것은 ‘이익의 발생 여부’
기업은 타인의 돈으로 운영된다
두 가지 회계: 귀족을 위한 회계와 선원을 위한 회계
회계기준의 종류와 일본의 현황
COLUMN 숫자를 세 자리마다 구분하는 이유
CHECK POINT 회계가 존재하는 이유
CHAPTER 2 재무제표의 기본 구조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
COLUMN ‘가액’과 ‘가격’
재무상태표의 구조
COLUMN ‘부자 아빠’는 진짜 자산에 돈을 쓴다
손익계산서의 구조
COLUMN 경상이익이 중요한 이유
이익은 어디로 가는가
COLUMN 상장기업의 무배당은 수치인가?
연결재무제표
COLUMN 구글의 ‘의결권 비율’
CHECK POINT 재무제표의 기본 구조
CHAPTER 3 회계의 기본 원칙
왜 원칙이 중요한가?
일반 원칙
손익계산서에 관한 원칙
재무상태표의 원칙
COLUMN ‘수익’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혼란
CHECK POINT 회계의 기본 원칙
CHAPTER 4 재무회계의 개별 논점
재고자산: 재고의 이점과 단점
감가상각: 이론적 근거와 경영적 효과
자산의 손상차손: 그 본질과 경영적 의의
영업권: 결혼한 이유를 묻는 것과 같은 것
충당금: “너는 이미 죽어 있다”
COLUMN 충당금 기준 강화의 계기가 된 부실채권 문제
CHECK POINT 재무회계의 개별 논점
CHAPTER 5 경영분석을 위한 재무지표
경영분석의 접근법
ROE: 여러모로 중시되는 지표
COLUMN 포스트자본주의 사회에서 주주 중심 경영은 바뀔까?
ROA: 종합적인 수익성 지표
COLUMN ROA는 하나가 아니다
자기자본비율: 안정성의 기본 지표
회전기간: 자금 회전 속도와 관련된 지표
CHECK POINT 경영분석을 위한 재무지표
CHAPTER 6 비슷한 듯 다른 세무와 회계
기업에 부과되는 세금
세무와 회계의 근본적인 차이
세금과 회계의 관계
법인세 등의 계산 과정
‘세무회계’가 따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COLUMN 법인세 신고서는 왜 ‘별표’라고 부르는가
CHECK POINT 비슷한 듯 다른 세무와 회계
CHAPTER 7 현금흐름표에서 알 수 있는 것
현금흐름표는 왜 필요한가?
이익과 현금은 왜 다른가?
현금흐름표의 구조
잉여현금흐름(FCF)
CHECK POINT 현금흐름표에서 알 수 있는 것
CHAPTER 8 경영관리에 필수적인 관리회계
관리회계는 의사결정에 공헌했을 때 비로소 쓸모가 있다
관리회계 특유의 비용 개념
원가 이하라도 수주해야 할까?
관리회계를 응용한 조직관리
CHECK POINT 경영관리에 필수적인 관리회계
색인
책속에서
회계는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그것이 하고자 하는 일은 매우 단순하고 명확합니다. 바로 기업이 돈을 얼마나 벌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지요. 돈을 벌었다는 것은 어떤 상황을 말할까요? 이렇게 물으면 대부분 이익을 얻었는지 아닌지를 떠올릴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익’이란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
개인이 돈을 벌었다는 표현은 자주 쓰지만, 개인이 이익을 냈다고 하면 왠지 어색합니다. 이는 개인에게는 무엇이 이익에 해당하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개인이 어떤 때 돈을 벌었다고 생각하는지 떠올려봅시다. 사람들은 복권을 사는 데 쓴 돈보다 더 많은 당첨금을 받으면 횡재했다고들 합니다. 경마처럼 돈이 걸린 경기도 마찬가지입니다. 구매한 마권의 금액보다 높은 배당금을 받았을 때 이득을 봤다고 생각하지요.
이러한 사례가 바로 ‘이익의 발생’입니다. 수중에 가지고 있던 돈이 불어났을 때 사람들은 돈을 벌었다고 생각합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이익의 발생이란 소유하고 있는 재산이 늘어난 상태를 말하는 것이지요.
【알고 싶은 것은 ‘이익의 발생 여부’】
회계, 특히 재무회계에서 중요한 것은 결산서입니다. ‘결산서’는 상장기업에서 흔히 재무제표라고 불리지요. 재무제표란 금융상품거래법에 등장하는 용어로, 여기서 말하는 ‘금융상품’이란 크게 주식을 뜻합니다. 따라서 금융상품거래법은 주식거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정된 법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식의 원활한 거래는 상장기업의 경영활동에 꼭 필요합니다. 그러므로 금융상품거래법의 영향을 받는 기업은 기본적으로 상장기업이고, 그래서 재무제표라는 용어가 상장기업에서 자주 사용되는 것입니다.
재무제표(財務諸表)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재무(財務)에 관한 여러 가지(諸) 표(表)’라는 뜻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재무제표는 여러 개의 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이고, 현금흐름표 역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이 세 가지 표를 통틀어서 재무 3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