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75400023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5-08-1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 책의 내력
이 책의 특징
이 책의 탄생
1권 교리와 신학
1부 교리에 대한 고찰
1장 교리와 그 발전 과정
1. 교리에 대한 안내
2. 신약 내 발전 단계
2장 교훈, 교리, 교의
1. 교훈과 교리
2. 교의
3. 종합적 정리
3장 교리에 대한 반대
1. “교리 공부는 지적인 것인데 너무 지적으로 나가면 영적인 면이 약해지지 않을까요?”
2. “교리는 많이 아는데 생활이 엉망인 걸 보면 무언가 교리 공부에 문제가 있는 것 같군요.”
3. “교리 가지고 논쟁하다가 싸우는 걸 본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4. “교리라는 것이 결국은 자기가 속한 특정 교파를 두둔하기 위한 수단 아닙니까?”
5. “교리를 자꾸 체계화하다 보면 성경 본래의 의도와는 다른 요소가 침투하는 것 같아 마음이 불편합니다.”
4장 교리의 필요성
1. 체계화는 인간 본성에 뿌리박은 지적 활동이다
2. 신앙 성숙에 있어서 교리 지식은 필수다
3. 기독 신앙을 교육시키려면 체계적 지식의 형태를 빌리지 않을 수 없다
4. 기독 신앙에 대한 질문이나 공격은 교리적 체계의 형성을 불가피하게 해 준다
2부 신학에 대한 개관
1장 “신학”의 의미
1. 협의적 용례
2. 통상적 용례
3. 한정적 용례
2장 신학의 분류
1. 기본적 분류 방식
2. 여타 분류 방식
3. 성경, 교리, 신학 분야 사이의 거리
3장 신학 전통
1. 자유주의
2. 신정통주의
3. 보수주의/복음주의
4. 근본주의
5. 세대주의
6. 개혁주의/칼빈주의
7. 아르미니우스주의
8. 오순절주의
(1) 고전적 오순절 운동
(2) 신오순절 운동
4장 교단 및 교파에 대한 신학적 길라잡이
1. 신학적 좌표
2. 좌표 작성의 취지
3. 친화성의 정도
참고 및 인용 문헌
2권 계시와 성경
1부 계시
1장 계시의 의미와 필요성
1. 계시의 의미
2. 계시의 필요성
(1) 존재론적 이유
(2) 인식론적 이유
2장 계시의 종류
1. 예비적 검토: 두 가지 분류법
(1) 분류법 1: 자연 계시와 초자연 계시
(2) 분류법 2: 일반 계시와 특별 계시
2. 첫째 종류: 일반 계시
(1) 일반 계시의 항목
(2) 일반 계시의 함의점
(3) 일반 계시의 의의와 부족성
3. 둘째 종류: 특별 계시
(1) 원계시
① 신현
② 의사 전달
a. 음성, b. 꿈, c. 이상/환상, d. 천사의 전언, e. 선지자의 예언, f. 글로 된 기록, g. 예수의 언사
③ 기적
(2) 성문 계시
① 모세의 율법(출 24:3-4)
② 예레미야의 예언(렘 36:32)
③ 누가가 연구하여 기술한 것 (눅 1:3)
④ 베드로가 남기고자 했던 것 (벧후 1:13-17)
⑤ 요한이 계시받은 내용(계 1:19)
3장 일반 계시의 구원적 가치
1. 극단적 비관론
2. 비관론
3. 낙관론
(1) 신중파[3A]
(2) 중도파[3B]
(3) 급진파[3C]
4. 극단적 낙관론
5. 종합적 평가
6. 일반 계시 관련 여러 입장
2부 성경
1장 원계시에서 자국어 성경까지
1. 도표에 의한 예시
2. 원본, 사본, 역본
3. 구약 성경의 형성
4. 신약 성경의 형성
5. 정경의 의미
6. 구약의 정경화
(1) 모세오경의 경우
(2) 모세오경 이외의 책
(3) 구약의 정경화 시기
7. 신약의 정경화
(1) 신약의 정경화가 필요한 이유
(2) 정경성의 기준
(3) 신약의 정경화 과정
(4) 반박받은 책들
(5) 신약 정경화의 시기
8. 자국어 성경의 출현
2장 성경의 영감
1. 영감에 대한 성경의 증거
(1) 구약의 영감
① 예언하는 이들에 대한 성령의 영감
② 기록 문서에 대한 성령의 영감
(2) 신약의 영감
2. 영감의 성격
(1) 세 가지 입장
① 기계적 영감론
② 역동적 영감론
③ 유기적 영감론
④ 영감의 성격에 대한 이론: 대조표
3. 영감의 범위
(1) 세 가지 입장
① 부분 영감론
② 사상 영감론
③ 축자 영감론
④ 영감의 범위에 대한 이론들: 대조표
4. 성경 영감론에 대한 의문과 도전
(1) 성경에 사탄의 말이나 악인의 주장도 기록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어떻게 모든 성경이 하나님의 영감을 입은 말씀이라고 할 수 있는가
(2) 성경의 영감론을 옹호하는 사람은 순환 논증의 오류를 범하는 것은 아닌가
(3) 영감 교리는 성경의 원본에만 해당하는 것인데, 원본이 상실된 현재 상황에서 이런 교리를 주장한들 무슨 가치/의의가 있는가
3장 성경의 무오성
1. 이 주제에 대한 배경적 설명
(1) 무오성 교리의 위상
(2) 무오성 교리의 필요성
(3) 무오성 교리의 성경적 정당화 문제
(4) ‘영감’과 ‘무오성’ 사이의 논리 관계
(5) 무오성 관련어에 대한 고찰
2. 성경의 유오성/무오성에 대한 다양한 입장
(1) 본유적 유오성
(2) 도구적 유오성
(3) 제한적 무오성
(4) 전폭적 무오성
3. 제한적 무오성에 대한 평가
4. 성경의 무오성 검토를 위한 예비적 사안
5. 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의혹/도전과 응수
(1) 첫째 범주: 성경의 어떤 조치/진술 내용이 윤리적으로든 사실적으로든 문제를 일으킨다는 비판과 이에 대한 응수
① 동벌법의 잔인성
② 복수심의 발로
③ 겨자씨에 대한 묘사
④ 거울의 불투명한 반사 기능
(2) 둘째 범주: 성경의 설명/진술들 사이에 모순이 있다는 지적
① 다윗의 서열
② 다니엘의 포로 시기
③ 여리고성 맹인을 고치신 일
④ 빌라도의 재판 및 십자가의 시간
⑤ 강도들의 반응
⑥ 칭의의 방도
(3) 둘째 범주의 도전에 대한 응수: 예비적 고려 사항
① ‘오류’와 그 연관어들
② 차이나 외견상 모순이 생기는 이유
(4) 둘째 범주의 도전에 대한 응수: 본격적 해명과 답변
① 사태에 대한 부분적 묘사가 성경 내용에 대해 ‘차이’ 또는 ‘외견상 모순’을 일으킨다
② 관점적 상이성 또한 ‘차이’나 ‘외견상 모순’ 문제를 초래한다
③ 성경의 교훈에 개재되는 문화적 변이 때문에 ‘차이’ 또는 ‘외견상 모순’이 발생한다
6. 성경의 무오성과 관련한 보충적 제안 사항
(1) 무오성 수용의 근거
(2) 무오성 변호의 성격
(3) 경건한 불가지론의 함양
(4) 무오성의 수단적 기능
참고 및 인용 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중에서]
“첫째, 이 책은 신학적 성격상 복음주의와 개혁파의 입장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모든 조직신학 서적은 저자 개인의 신학적 입장과 신앙 형성 배경인 복음주의적 신앙과 개혁파 전통을 반영한다.
둘째, 이 책은 교리에 있어 성경의 근거를 제시하는 데 만전을 기하고자 했다.
우선, 특정 교리의 성경적 근거가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일부터 시작했다. 또, 과연 그렇게 제시된 성경적 근거가 논리적·주석적으로 합당한지 점검하는 작업도 소홀히 할 수 없었다. 끝으로, 성경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을 때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여타 신학적·철학적 근거가 있는지, 있다면 그것이 무엇인지 찾아내고자 노력을 기울였다.
셋째, 이 책은 오늘날 한국의 그리스도인이 신앙생활에서 겪는 교리의 문제를 언급하고자 힘썼다.
우리는 우리만 느끼는 독특한 교리상 의문이나 질문이 있는데, 아무도 이런 문제를 드러내거나 해명하거나 답변을 제시하거나 하지 않는다. 나 역시 이 문제를 가지고 오랫동안 씨름해 왔고, 아직도 속 시원히 해결을 본 것은 아니다. 다만 과거부터 교회 안팎에서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제기하는 교리상 의문점을 수집하고 이것이 어떤 교리 주제에 속하는지 분류해 왔으므로, 이런 내용을 현재의 교리서에 어느 정도 반영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