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다이어트
· ISBN : 979118502021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14-02-05
책 소개
목차
Prologue 다이어트, 이제는 ‘해독’에 주목해야 한다!
1. 박용우 박사의 13년 다이어트 체험기
:몸으로 직접 실험하며 만든 ‘4주 해독다이어트’
Part 1 의사와 다이어터 사이
그 누가 다이어트를 쉽다 했는가?
굶을까? 운동할까?
세상에 둘도 없는 절박함을 가졌는가
다이어트 성공자들의 비밀
나이 오십에 식스팩에 도전하다
짧고 강하게 해야 성공 확률이 높다
Special Page
해독다이어트를 통해 새로 얻은 몇 가지 팁
박용우의 8주 만에 초콜릿 복근 만드는 방법
2. 몸도 비우고 살도 빼고
:해독다이어트를 즐겨라!
Part 2 비만은 몸속 지방이 부족하다고 착각하는 질병
우리 몸엔 정교한 체중조절시스템이 있다
지방이 충분하다? 부족하다? 뇌는 헷갈린다
체중조절시스템을 망가뜨리는 나쁜 독소들
Special Page
‘간헐적 단식’에 대한 몇 가지 생각
Part 3 체중조절시스템을 회복시키는 해독다이어트
다이어트? 무엇보다 해독을 해야 한다
몸속에 독소를 쉽게 허락하지 마라
해독다이어트 1.렙틴호르몬의 작동능력을 높여라
해독다이어트 2.단백질 섭취량을 지금보다 늘려라
해독다이어트 3.마음의 독소, 스트레스를 조절하라
해독다이어트 4.영양제로 산화스트레스와 만성염증을 다스려라
해독다이어트 5.운동으로 독성지방을 배출하라
Part 4 지금 당장 시작하는 4주 해독다이어트 프로그램
짧고 강하게! 행복한 다이어트를 하자
1단계 : 도입기 탄수화물 섭취 제한으로 지방대사의 스위치를 켠다
2단계 : 가속기 본격적으로 빠르게 체지방을 연소시킨다
3단계 : 진행기 신진대사를 높여 지방이 잘 타는 체질로 바꾼다
4단계 : 안정기 감량보다 근육의 단백질을 지킨다
Special Page
해독다이어트 응용편
3. 4주 이후의 놀라운 변화들
:해독과 다이어트 효과를 만끽하자
Part 5 새로운 몸으로 다시 태어난 기쁨
즐거운 일상으로 복귀한다!
2배의 만족감, 해독 효과
4주의 적응기로 지친 몸을 달랜다
이제 감량된 체중을 평생 유지한다
Special Page
해독다이어트로 다른 인생을 살게 된 사람들
진짜 궁금한 다이어트 상식
[박용우의 다이어트 팁]
① 배고픔 신호를 견디는 나만의 노하우를 가져라!
② 다이어트에는 근육운동이 더 효과적이다
③ 살은 무조건 천천히 빼야 좋은 걸까?
④ 비만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호르몬의 종류
⑤ 빠른 다이어트 vs. 느린 다이어트
⑥ 1일 1식으로는 안 된다!
⑦ 고단백 식이요법의 장점
⑧ 유청단백의 종류
⑨ 해독다이어트 시 섭취해야 하는 영양제
⑩ 운동은 식전이 좋을까, 식후가 좋을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상황이 이런데도 나는 계속 다이어트를 미루고 있었다. 환자에게는 지금 당장 시작하라고 엄포를 놓으면서 나 자신은 “내일부터!”, 그러다 내일이 되면 다시 “내일부터!”, 그렇게 하루하루 버티며 “내일부터!”를 외쳐댔다. 어떻게든 미룰 수 있을 때까지 미루고 싶었다.
왜? 그야 물론 힘들고 귀찮으니까! 맛있는 음식과 달콤한 간식을 포기할 수 없고, 도저히 술 없이는 살 수 없으니까! 당장 다이어트를 하지 않는다고 죽는 것도 아니고, 살이야 어떻게든 감출 수 있을 때까지 옷으로 감추면 되니까!
당시 나에게도 다이어트를 실천하기 어려운 이유가 100가지쯤은 있었다. 그러니 여러분들도 다이어트가 잘 안 된다고, 혹은 늘 하다 관둔다고 해서 자신의 의지박약만을 탓하진 말라고 감히 위로하는 바이다.
실제로 나는 2001년 처음 다이어트를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꾸준히 다이어트를 해오고 있다. 직접 다이어트를 해보니 “그건 절대 드시지 말라고 했는데…”, “힘들어도 지금은 무조건 참으셔야 해요”, “그렇게 하면 또 실패할 수 있어요” 등의 단순한 말도 환자들에게 얼마나 눈물 나고 잔인하게 들리는지 알게 되었다. 그래서 무조건 참아라, 줄여라 하는 말 대신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해법을 제시해주는 데에 골몰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무조건 섭취 칼로리를 줄이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허기지지 않으면서 섭취 칼로리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게 되었고, 무조건 소비 칼로리를 높이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저절로 칼로리가 소비되는 몸을 만들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를 연구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