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85111056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13-11-12
책 소개
목차
이복형제의 역사
신들의 나라
1. 동이의 원형신화와 일본신화
신화의 의미
일본신화의 탄생
배달신과 태조신
2. 태초의 일본신들
일본 신들의 조상신
태초의 신
두 번째로 태어나는 태양신
직녀신
일본서기에 처음 나타나는 신
일본서기에 두 번째로 나타나는 신
하늘을 떠받치는 신
전욱고양이나 중여곤에 대응하는 신
3. 이서국의 왕 ‘이자나키’
아마데라스의 아버지 ‘이자나키’
멸망한 이서의 이자나키 이세에 정착
주인 없는 일본 땅을 평정한 ‘이자나키’
이서의 신이 된 ‘이서왕’이 일본신이 되다
화재를 당하여 불타죽은 ‘이자나미’
4. 최고의 여신 ‘아마데라스’
태양여신 ‘아마데라스’
‘아마데라스’에 대한 일본 학자들의 견해
‘아마데라스’는 천왕과 무관한 별개의 신화
태양신이 될 수 없는 사내 ‘스사노오’
일본 천왕가의 조상신 ‘아마데라스’
일본의 태양신은 동이의 태양신
칠성숭배가 태양숭배로
한반도에서 건너간 태양신
‘아마데라스’ 명치의 국가신도에 의해 절대신으로
5. ‘아마데라스’와 ‘타카미무스비’
일본을 다스리는 ‘타카미무스비’
황실의 진정한 조상신 ‘타카미무스비’
신들의 변용
사자의 임무를 망각한 ‘아메노호시’
돌아오지 않는 두 번째 사자 ‘아메노와카히코’
세 번째 사자 ‘타케미가쓰지’
양족의 무녀를 죽인 ‘아메노와카히코’
‘아메노와카히코’의 죽음
세 번째 사자 ‘다케미가즈치노오’
6. 멸망한 가야사람 ‘스사노오’
고천원에서 추방당한 ‘스사노오’
‘스사노오’에 대한 일본의 신학적 해석
멸망한 가야의 사람 ‘스사노오’
‘야마타노오로치’는 세력가 소씨의 상징
‘스사노오’를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역과 음양오행
7. 일본에서 낳은 ‘스사노오’의 후예들
고향으로 돌아간 ‘스사노오’
일본 땅으로 돌아온 ‘스사노오’
‘스사노오’의 조상 고시
혈구에 모를 꽂는 대국주신
8. 갑비고차에서 일본 땅으로 건너가는 신
‘오호쿠니누시’가 미호에서 벌이는 굿판
조상신 ‘칸무스비’의 공수
소호금천의 도움
9. 갑비고차와 ‘아시하라노 나카쯔쿠니’
오오야로 ‘스사노오’를 찾아간 ‘오오아나무지’
뱀과 함께 주무셔요
‘스사노오’가 아시하라를 불태우다
‘오오아나무지’가 풍이와 싸우다
‘오오아나무지’의 탈출
‘스사노오’가 내리는 공수
‘오호쿠시누시’와 두 아들
‘오호쿠시누시’ 위원중국을 천신에게 양도
10. 벌거숭이가 된 토끼
‘오호쿠니’의 장자계승과 나라 건설
‘오호쿠니’의 흰 토끼
강화도의 옛 이름 갑비고차
‘아카미’와 ‘오오아나무지’의 결혼
11. 농업경제를 여는 ‘니니기’
여자 정보원 ‘사루타비코’
오가에서 선발한 이민
‘니니기’가 푸나루아
롱선籠船을 타고 진주晉州로 가는 ‘야마사찌비코’
소풍蘇豊의 후손 풍옥비매豊玉?賣
어렵시대의 종언
니니기가 손을 잡는다는 뜻의 화이어和邇魚
물고기가 가마우지를 낳다
12. 가마우지의 아들 신무천왕
‘우가야’와 ‘다마요리’의 아들 신무천왕
화살을 맞고 전사하는 ‘이쯔세’
13. 천왕가의 신산인 미와산
미와산
삼신신앙을 낳은 일석삼극의 원리
일석삼극의 원리를 지상화
숭신崇神하는 스진천왕
웅녀의 신체를 모신 웅신리
‘이소노카미’ 신궁에 전해오는 칠지도
일본 땅으로 건너가 천일의 시대를 연 연오랑
스진천왕이 단군왕검의 어머니 ‘웅녀’를 모시다
신라 출신 정복자의 뒤를 이은 백제 출신 정복자
웅신리 앞에 꿇어앉은 일본 사람
일본인 정신의 비극
마쓰리의 수수께끼
1. 원형종교로서의 신도
신도가 나오기 전의 태초의 종교
마고시대의 종교 삼신신앙
한웅천왕시대의 태백진교
2. 신도의 근원종교 덕교
한인천제시대부터 있었던 덕교
태백진교의 뒤를 이은 덕교
천덕에서 나온 덕교
3. 덕교에서 나온 신도
조선에서 생격난 계절맞이굿
일본의 신도에 남아 있는 단군신앙의 흔적
덕교의 유습으로 보이는 일본의 4대 마쓰리
춘분맞이굿과 동지맞이굿을 하는 히라노신사
대상제로 불리는 신상제는 농신제
천왕죽위식을 하기 전에 올리는 해맞이
마을 제사의 정점에 모셔지는 단군왕검
4. 삼신산에 근원을 둔 태산부군제
태산에서 천제를 지내기 전에 천제를 지낸 삼신산
삼신산은 마고가 세운 나라 마고지나의 제사 터
『역경』에 나타나는 선시시대
일본에서의 태산부군제
5. 덕교를 선포한 단군왕검 그는 누구인가
단군왕검에 대한 후손들의 몰상식한 행태
단군왕검의 탄생
유망집안과 황제집안의 누비혼인
유망집안에서 떨어져 나온 단군왕검의 가계
화백회의에서 공론으로 왕검을 추대
치효존??尊에 나타나는 단군상
술두루미 중여존의 명문에 숨겨진 단군조선의 역사
6. ‘왔소이’와 ‘마쓰리’
‘왔소이’와 ‘마쓰리’를 외쳐대는 일본 사람들
3대 마쓰리의 나라 일본
신궁에 모시는 고신타이
7. 일본 마쓰리를 대표하는 기온마쓰리
우가의 우두천왕을 부르는 기온마쓰리
우두국 출신의 우두천왕
일본 최고의 마쓰리인 기온마쓰리의 실체
8. 인류의 시조를 밝히는 칠석제
인류의 시조 나반과 아만
장마를 그치게 하기 위하여 천하를 건너는 나반
견우직녀 신화를 벽화로 그린 덕흥리 고분
견우직녀의 후손 까막까치
여자가 제관이 되는 칠석제
격우직녀신화를 축제화한 타나바타마쓰리
기복신앙의 표현 타나바타마쓰리
9. 단군축제 모모타로우마쓰리
오카모도현 기비의 모모타로우축제
삼한시대의 변진제국
오자모타로우신화의 문자학적인 의미
아사하기와에서 탄생하는 모모타로우
청년으로 성장한 모모타로우
귀신이 사는 섬을 정벌
기비당고를 가지고 떠나는 모모타로우
계속해서 일본 땅을 정벌하는 단군왕검의 후예들
10. 일본 무속 엿보기
일본의 첫 무당 신공황후
일본 무당의 공수와 푸닥거리
신공황후 빙의기도
수험도와 음양도
신을 받는 발이 신발
빙의와 탈혼
입신
토리모노
제령-의뢰자의 빙물을 떼는 방법
성문사-광대로 전락한 무격
구찌요세-공수무녀
재궁을 울리며 신빙하는 재무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