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9118513427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5-10-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7
제1장 조선 후기와 일제 점령기 역사적 상황
1. 망국 군주 고종의 부족한 리더십
2. 일제의 무단 통치
*재등실 총독 취임사
*재등실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1920)
3. 일제의 문화 통치
*조선 민족운동에 대한 대책
*조선교육조서
4. 역대 조선 총독과 그들의 만행
제2장 우리 민족의 항일독립투쟁
1. 3*1운동
2. 독립운동의 주인공이 된 모든 민중들
3. 3*1운동 이후 개인이 일으킨 최초의 항일의거
제3장 강우규의 생애와 독립사상 형성
1. 강우규의 젊은 시절
2. 우리 의학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쇠퇴
*조선시대 의학의 발전
*조선 후기 한의학 - 개항과 서양의학의 쇄도
*조선 후기 의사규칙과 개혁 시도
*국운쇠퇴와 한의학의 수난
*일제 강점기 한의학 - 일제의 식민지 의료정책
*의생규칙과 신분 격하
*학술지 발간과 의학강습
*한의학에 일기 시작한 새 기운
3. 민족운동가로의 변화*교육 및 선교 사업 시작
*이동휘와의 만남
*교육 및 선교 사업 시작
4. 강우규, 민족운동에 뛰어들다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강우규, 노인동맹단에 참여
*노인동맹단의 대표적인 활동
제4장 백발노인의 독립운동
1. 강우규 의거의 서막
*신임 총독을 맞이하는 불행했던 경성의 풍경
*강우규 의거와 사상자 명단
*어수선했던 1919년의 조선
*남대문 역에 퍼진 폭탄의 울림:
노인이 조선 총독에게 폭탄을 던지다 .
2. 거사 준비 과정과 탄생
3. 의거 후 재판 과정
*악덕 친일 경찰 김태석
*프랑스의 나치 협력자 숙청
(임기상 《숨어 있는 한국 현대사》 중에서, 2014 )
*제1회 공판
*제2회 공판
4. 애국정신이 담긴 상고취지서 요약
*의열투쟁의 배경: 재등실 총독 폭탄 투척 이유
*최자남에 대한 변론
*상고이유와 1심과 2심 판결에 대한 비판
*동양 삼국의 ‘동양평화론’을 거듭 강조하다
5. 사형 선고 후 강우규의 태도와 순국
제5장 강우규 의거가 남긴 의의
참고문헌
중요자료 1〈매일신보〉에 실린 강우규 의사 관련기사
중요자료 2 상고 취지서
연보 - 강우규가 걸어온 인생
저자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에게 위대한 영웅으로 친숙하게 기억되고 있는 안중근 의사나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탄생하도록 자극적인 계기를 안겨 준 인물도 실상은 강우규라 할 수 있다. 20대에 의거를 감행한 이들에 비해 노인이 약한 몸을 이끌고 민족을 위한 투쟁을 벌였다는 것은 감히 누구도 모방하기 힘든 용기였고, 위대한 사건이었다. 강우규는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대중들에게 생소하고 낯선 이름이지만, 그가 한의사로서 교육자로서 민족운동가로서 전반적으로 남겨준 삶의 방식과 역할은 우리에게 민족의 자부심으로 추앙될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강우규의 손녀 강영재의 증언에 따르면, 이동휘가 국권회복과 기독교 선교를 위해 고향인 함경도를 방문했을 때 두 사람이 처음 만나게 되었다고 한다. 당시 동네 사람들은 고향에 방문한 이동휘를 존경하는 마음에 극진히 대접했고, 그러던 중에 강우규의 집에도 방문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친분을 쌓아 가게 되었던 것이다. 그 시절 이동휘는 종교와 교육 활동에 이미 뼈를 태운 상태였고, 강우규는 이러한 사회 활동을 통해 민족혼을 되살리려는 열정을 가진 이동휘에게 매혹되어 새로운 인생의 노선을 설립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던 것 같다.
당시 1920년 5월 8일 〈동아일보〉에 ‘강우규의 상고문은 자기 손으로 직접 쓴 비분강개한 긴 글’이란 기사가 보도되었다. 강우규는 변호사를 선임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상고문을 작성했는데, 여기에는 재등실 총독을 처단한 배경을 비롯해 최자남에 대한 변호, 상고 이유와 1심과 2심 재판에 대한 판결에 대한 자신의 견해와 동양평화를 위한 자신의 행위에 대한 정당성을 작성하였다.
그 누구의 손과 두뇌를 빌리지 않고 자기 자신이 직접 자신의 입장을 변론한 만큼, 강우규의 애국심과 독립을 염원하는 우국충절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상고취지서에서 자신이 우리 민족 2,000만 동포를 대신해 국권을 회복하고 독립을 이루기 위해 거사를 일으켰다는 거사 목적을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