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비록에서 아멘까지

비록에서 아멘까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해설)

이성호 (지은이)
그책의사람들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비록에서 아멘까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비록에서 아멘까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해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5248363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2-12-10

책 소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한국 교회 실정에 맞게 시원하게 설명하고 탁월하게 적용한 해설서다. 지은이는 ‘고백서’ 작성자들을 따라 하나님의 진리를 성경이 말하는 데까지 말하고, 성경이 멈추는 데서는 멈추며 겸손하게, 그렇지만 큰 확신과 사랑으로 진술한다.

목차

추천의 글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둘러보기
서론 · 27
신앙과 고백 · 27
성경과 고백 · 28
고백서와 교리문답 · 29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역사적 배경 · 30
명칭 · 30
총회와 의회 · 31
잉글랜드 교회 (The Church of England) · 32
영국혁명: 총회가 모인 시기 · 34
총회 이후 · 36
신앙고백서의 구조와 특징 · 37
구조 · 37
특징 · 38

제1장 성경
서론: 신앙고백의 첫 항목 · 46
제1항 성경의 필수성 · 47
1) 일반계시의 유용성과 불충분성 · 48
2) 특별계시: 미기록계시의 한계 vs 기록계시의 필수성 · 49
논점들 · 51
제2항과 제3항 성경의 명칭과 범위 · 53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 53
성경의 영감: 신행의 준칙 (The Rule of Faith and Life) · 55
성경의 범위: 구약과 신약 66권 · 56
생각해 볼 문제 · 58
제4항과 제5항 성경의 자증성(autopistis & 성령의 내적 증거) · 58
부연 설명 · 61
제6항과 제7항 성경의 필수 교리와 성경의 명료성 · 62
필수 교리의 범위: ‘하나님의 모든 뜻’ & 명시적인 교훈 & 선하고 필연적인 추론 · 62
성령의 조명 & 지혜로운 분별력 · 64
부연 설명 · 66
성경의 명료성(perspicuity) · 66
적용 · 68
제8항 성경 본문: 원본, 사본, 번역 · 69
생각해 볼 점 · 71
제9항과 제10항 성경의 해석: 무오한 준칙 & 최고의 재판관 · 72
성경: 무오한 준칙(The Infallible Rule) · 72
성령: 최고의 재판관 (The Supreme Judge) · 74

제2장 하나님과 거룩한 삼위일체
서론: 신학 & 신론 · 77
제1항 하나님의 속성: 어떤 하나님을 믿는가? · 79
하나님의 존재와 정의 · 79
하나님의 속성(성품) · 82
하나님의 일하심 · 87
하나님의 도덕적 속성 · 88
제2항 하나님과 피조물의 관계 · 90
하나님의 자존성(aseity) · 90
제3항 삼위 하나님 · 93
부연 설명 · 96
1. 니케아 공의회 (325년) · 96
2. 개념정리: 필리오케(filioque) · 97
3. 삼위일체에 대한 흔한 오해 · 98

제3장 하나님의 영원한 작정
서론: 하나님은 어떻게 작정하시는가? · 102
제1항 작정의 정의 · 104
기본 개념 · 104
죄와 자유 의지의 문제 · 104
특강: 필연, 자유, 비연(非然, contingency) · 105
작정의 구분: 허용적 작정 · 107
칼뱅의 설명: 욥의 예 · 107
제2항 하나님의 지식 & 하나님의 작정 · 108
제3항과 제4항 이중 예정과 그 확정성 · 109
제5항 선택 · 111
제6항 선택을 실현하는 구원론적 수단 · 113
제7항 유기 · 113
제8항 예정 교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115

제4장 창조
서론: 작정과 창조 · 119
제1항 창조의 정의 · 120
제2항 인간의 창조 · 123
1. 하나님의 형상 · 123
2. 가변적 존재 · 126
3. 하나님의 언약 동반자: 선악과를 주신 이유 · 127

제5장 섭리
제1항 섭리의 정의 · 132
제2항 섭리와 제2원인들 · 134
제3항 섭리와 기적 (일반 섭리 vs 특별 섭리) · 135
제4항 섭리와 죄 · 136
제5항과 제6항 신자들을 향한 섭리 & 악인들을 향한 섭리 · 139
제7항 교회를 향한 섭리: “교회 중심” · 140
결론 · 141

제6장 인간의 타락, 죄, 그리고 죄에 대한 형벌
서론: 타락을 알아야 하는 이유 · 145
제1항 첫 번째 죄 · 146
제2항 타락과 그 결과 · 150
제3항 원죄 · 152
제4항 전적 부패 (total depravity) · 155
제5항 중생한 자들 안에 남은 부패 · 157
제6항 죄에 대한 형벌 · 159

제7장 인간과 맺으신 하나님의 언약
서론: 개혁신학의 가장 탁월한 공헌 · 164
제1항 언약의 필요성: 하나님과 인간의 거리 · 167
제2항 행위언약: 첫 번째 언약 · 169
제3항 은혜언약: 두 번째 언약 · 172
제4항 유언으로서의 언약 · 173
제5항과 제6항 언약의 시행: 구약과 신약의 차이 · 174

제8장 중보자 그리스도
서론: 중요하지만 무시된 개념 · 181
제1항 중보자의 정의 · 184
제2항 중보자의 위격 (참 하나님, 참 인간) · 188
제3항 중보자의 은사와 자격 (성령) · 192
제4항 중보자의 직무 (사도신경) · 195
1. 비하 상태에서 중보자의 직무 · 195
2. 승귀 상태에서 중보자의 직무 · 199
제5항 중보 사역의 효과: 만족과 속량 · 202
제6항 속량(redemption)의 효력: 예수님 탄생 이전의 택자들은? · 204
제7항 중보 사역과 속성의 교류 (communicatio idiomatum) · 205
속성의 교류 · 205
제8항 속량의 확정성 (제한 속죄) · 207
부연 설명 · 210
조건적 보편 속량(hypothetical universalism) · 210
속량(redemption) · 211

제9장 자유 의지
서론: 자유 의지는 하나님의 주권과 반대되는 개념인가? · 215
제1항 자유 의지란? · 217
4중 상태(제2~5항: 무죄 상태, 죄의 상태, 은혜의 상태, 영광의 상태) · 221
이 교리의 중요성 · 224

제10장 효과 있는 부르심
서론: 구원의 서정(Ordo Salutis) · 227
제1항 효과 있는 부르심이란? · 233
기본 정의 · 233
지성, 마음, 의지 · 235
효과 있는(effectual) 부르심 & 불가항력적(irresistible) 은혜 · 236
제2항 부르심의 원인 · 238
왜 누구는 믿고, 누구는 믿지 않는가? · 238
부르심과 중생 · 239
제3항 택함 받은 유아들은? · 241
제4항 선택받지 않은 이들은? · 243

제11장 칭의
서론: 하나님의 의 · 247
제1항 칭의의 정의 · 249
제2항 “오직 믿음이란?”: 제한성과 확장성 · 254
제3항 칭의의 목적: “엄정한 공의” & “풍성한 은혜” · 255
제4항 칭의의 시점: 영원 전, 때가 찼을 때, 정하신 때 · 257
제5항 칭의 안에서의 죄 문제 · 259
제6항 칭의의 일관성: 구약과 신약 · 260

제12장 양자 됨
서론: 양자 됨 교리의 자리매김 · 264
해설 · 266
자녀의 자유와 특권을 누림 · 267

제13장 성화
서론: 거룩 실종 · 271
제1항 성화의 정의 · 273
사(死, mortification) & 생(生, vivification): 성화의 두 측면 · 276
제2항 성화의 전체성과 불완전성: 영적 전쟁 · 278
제3항 성화의 최종 완성 · 279

제14장 구원하는 믿음
서론: 여러 종류의 믿음 · 282
제1항 구원하는 믿음의 정의 · 284
제2항 믿음의 기능 · 287
1) 계시된 내용이 참이라는 것을 믿음 · 287
2) 말씀의 유형에 따라 달리 행동함: 명령, 경고, 약속 · 288
3) 믿음의 주된(principal) 행위 · 289
제3항 믿음의 정도 · 290
부연 설명: 약한 믿음과 강한 믿음 (로마서 15장) · 291

제15장 생명에 이르게 하는 회개
서론: 종교개혁의 시발점 · 296
제1항 회개를 설교해야 할 필요성 · 298
제2항 회개의 정의: 돌이킴 · 302
1) 죄로부터 돌이킴 · 302
2) 하나님을 향하여 나아감 · 303
제3항 회개와 죄 사함의 관계 · 304
제4항 죄의 크기: 죄에도 경중이 있는가? · 305
제5항 구체적 회개의 필요성 · 306
제6항 피해자의 중요성 · 307
부연 설명: 죄의 크기에 대하여 (대교리문답 151문답) · 310

제16장 선행
서론: 도대체 왜 논란이 되는가? · 315
제1항 선행이 무엇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 · 317
제2항 선행이 가져오는 엄청난 유익 · 319
제3항 선행을 할 수 있는 능력은 어디서 오는가? · 323
제4항 선행의 가치: 많이 부족할 수밖에 없음 · 325
제5항 선행이 공로가 될 수 없는 이유 · 326
제6항 흠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이유 · 327
제7항 중생하지 않은 자들의 선행: 유익하지만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지 못함 · 328

제17장 성도의 견인
서론: “한 번 구원은 영원한 구원인가?” · 331
제1항 성도의 견인이란? · 333
제2항 견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 335
제3항 은혜의 상태에 있더라도 · 338

제18장 은혜와 구원의 확신
서론: 확신과 소망 · 342
제1항 누가 확신할 수 있는가? · 344
소망의 두 결과 · 348
제2항 확신은 어디서 오는가? · 349
확신의 기초 · 350
제3항 모든 신자에게 이 확신이 필요한가? · 351
1) 확신을 얻는 방법 · 351
2) 확신의 열매 · 354
확신과 교회 성장 · 356
제4항 흔들릴 수 있으나 완전한 절망에 이르지 않음 · 357

제19장 하나님의 율법
서론: 율법을 즐거워할 수 있을까? · 363
제1항 행위언약으로서의 율법: 타락 이전 · 366
제2항 타락과 십계명 · 367
제3항, 제4항, 제5항 의식법 & 시민법 (한시적), 도덕법 (영구적) · 370
제6항 율법이 주는 큰 유익 · 373
남아 있는 부패를 억제함: 율법의 경고 & 율법의 약속 · 377
제7항 율법과 복음의 관계: 서로 “달콤한” 사이 · 378

제20장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양심의 자유
서론: 자유의 중요성 · 383
제1항: 자유의 소중함 & 자유의 정의 · 385
1. “~~로부터의 자유” · 386
2. “~~를 향한 자유” · 389
3. 신약과 구약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유 · 390
제2항 양심의 자유 · 391
제3항 자유의 목적: 죄를 짓지 않고 주님을 섬김 · 393
제4항 울타리 안에서의 자유: 위에 있는 권세, 사상과 표현의 자유, 교회의 질서 · 394
“경건의 능력” · 396
부연 설명 · 398

제21장 종교적 예배와 안식일
서론: 예배, 교회의 얼굴 · 402
역사적 배경 · 405
제1항 예배의 규정적 원리(regulative principle) · 407
제2항 예배의 대상: 성부, 성자, 성령 삼위일체 하나님 · 412
제3항 예배의 요소: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 · 414
제4항 기도의 내용: 무엇을 위해서 그리고 누구를 위해서 기도해야 하는가? · 417
“죽은 자를 위한 기도” · 418
“죽음에 이르는 죄” · 419
제5항 예배의 요소 · 420
1) 통상적인 경우 · 420
2) 특별한 경우 · 429
제6항 예배의 장소, 시간, 종류 · 432
제7항 안식일: 예배의 시간 · 433
제8항 안식일을 거룩하게 지키는 방법 · 435

제22장 합법적 맹세와 서약
서론: 역사적 배경 · 441
제1항 맹세(Oath)의 정의 · 444
제2항 맹세의 방법 · 446
제3항 맹세의 범위 · 447
제4항 맹세의 속성 · 448
제5항, 제6항, 제7항 서약(Vow)에 대하여 · 448
적용: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 450
결혼 서약 · 450
유아 세례 서약 · 452
입교(세례 )서약 · 453
임직 서약 · 454
유언(유산) · 455
부연 설명: 서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 · 456

제23장 국가 위정자
서론: 정치 무관심 & 정치 중독 · 460
제1항 국가 위정자를 세우신 이유 · 462
제2항 신자가 위정자가 될 수 있는가? · 465
제3항 위정자와 교회의 관계(칼의 권세 vs 열쇠의 권세) · 469
제4항 국가 위정자에 대한 신자의 의무 · 472

제24장 결혼과 이혼
서론: 결혼 & 잉글랜드 종교개혁의 시작 · 477
제1항 합법적 결혼이란? · 479
제2항 무엇을 위해 결혼하는가? · 482
제3항과 제4항 누구와 결혼할 수 있는가? · 485
제5항과 제6항 이혼과 재혼 · 488

제25장 교회
서론: “교회를 믿습니다” · 493
제1항과 제2항 가톨릭(보편적 교회: 불가시적 & 가시적) · 495
불가시적 vs 가시적: 선택 vs 고백 · 498
제3항 교회를 세우는 수단 · 501
제4항과 제5항 참교회의 표지(Marks of the True Church) · 503
제6항 그리스도는 교회의 유일한 머리 · 506

제26장 성도의 교제
서론: “성도의 교제를 믿습니다” · 509
제1항 성도의 교제란? · 512
제2항 어떻게 & 얼마나 서로 도와야 하는가? · 516
제3항 성도의 교제에 대한 거짓 교훈 · 518
부연 설명: 만나와 성도의 교제 · 522

제27장 성례
서론: 성례에 대한 무관심 · 525
제1항 성례란? “은혜언약의 표와 인” · 528
제2항 성례적 연합 (sacramental union) · 530
제3항 성령과 말씀의 능력 · 532
제4항 성례의 가지 수: 성례 vs 거룩한 예식 · 534
제5항 구약의 성례와 신약의 성례 · 538

제28장 세례
서론: 제자훈련의 허상 · 541
제1항 세례의 정의 · 542
은혜언약으로서 세례의 4가지 표와 인 · 544
제2항과 제3항 세례의 방식 · 548
제4항 세례의 대상자: 유아에게도 세례를 주어야 하는 이유 · 551
제5항 세례와 중생의 관계: 세례의 중요성 · 553
제6항 세례의 효력: “정하신 때” · 554
제7항 세례의 횟수 · 555

제29장 주님의 만찬 (성찬)
서론: 장례식 vs 혼인식 · 561
제1항 성찬이란? · 563
제2항 거짓 성찬(로마 교회의 미사에 대한 반박) · 568
제3항 성찬을 어떻게 시행할 것인가? · 569
제4항 성찬을 잘못 시행하는 예 · 572
제5항과 제6항 성찬의 요소와 실체와의 관계 · 573
제7항 성찬을 어떻게 받을 것인가? · 575
제8항 부당한 자들의 식사 (manducatio indignorum) · 577

제30장 권징 (교회의 책벌)
서론: 권징 없는 교회, 과연 성장할까? · 580
제1항 신적 규범 (Jus Divinum) · 582
제2항 천국의 열쇠들 (교회의 권세) · 585
제3항 권징의 목적과 그 필수성 · 587
제4항 권징의 종류 · 590

제31장 공의회
서론: 성경적 사례들 · 594
제1항 공의회의 필요성: Being & Well-Being · 597
제2항 누가 공의회를 소집할 수 있는가? · 598
제3항 공의회의 기능 · 600
제4항 공의회의 권위 · 602
제5항 정치적인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602

제32장 인간의 사후 상태와 죽은 자들의 부활
서론: 마지막 · 605
제1항 지금 당장 죽는다면... · 606
특강: 죽음에 대한 대교리문답의 가르침 · 611
제2항과 제3항 마지막 날에 있을 몸의 부활에 대하여 · 612

제33장 최후의 심판
서론: “심판하러 오시리라”: 심판을 사모할 수 있을까? · 617
제1항 의로운 심판 · 619
제2항 심판의 목적 · 621
특강: 부자와 나사로 · 623
제3항 그날의 성격 · 625

나가면서 · 629

저자소개

이성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신학은 교회를 섬기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확신하는 신학자이자 목회자다. 성도가 성경과 교리를 바르게 알아야 막연한 믿음에서 분명한 믿음으로 나아갈 수 있고, 그래야 진정으로 삶이 변화될 수 있다고 믿기에 쉽고 구체적인 언어로 설교하고 글 쓰는 데 힘쓰고 있다. 서울대학교(서양사학)와 고려신학대학원(목회학)을 졸업하고, 미국의 칼빈신학교에서 리처드 멀러(Richard A. Muller) 교수의 지도 아래 “존 오웬의 교회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광교장로교회를 개척하여 말씀 봉사자로 10년 넘게 섬겨 왔으며, 모교인 고려신학대학원에서 역사신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 『다짜고짜 질문으로 시작하는 성도생활백과』 『직분을 알면 교회가 보인다』 『예배를 알면 교회가 보인다』 『요한복음, 복음으로 읽기』 『누가복음, 복음으로 읽기』 『설교는 생각보다 쉽게 늘지 않는다』(이상 좋은씨앗) 『특강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흑곰북스) 『결혼한 자들에게 내가 명하노니』 『비록에서 아멘까지』(그책의사람들)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