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경무크 : 궁금한 상속·증여

한경무크 : 궁금한 상속·증여

(김앤장 변호사들이 풀어 쓴 상속·증여 가이드북)

김동욱·김해마중·민경서·윤여정·이혜진·이은총 (지은이)
한국경제신문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000원 -10% 800원 13,600원 >

책 이미지

한경무크 : 궁금한 상속·증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경무크 : 궁금한 상속·증여 (김앤장 변호사들이 풀어 쓴 상속·증여 가이드북)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91185272856
· 쪽수 : 168쪽
· 출판일 : 2022-03-08

책 소개

일상의 궁금증들을 모아 속시원하게 풀어 쓴 ‘생활 속 상속·증여 가이드북’이다. 더구나 저자들은 국내 최대 로펌인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변호사들로 상속·증여의 핵심 쟁점만 뽑아 마치 로펌 사무실을 찾아 상담을 하듯 Q&A 형식으로 쉽게 맥을 짚어 준다.

목차

Opening
008 COLUMN GUIDE 1
이건희 회장이 우리에게 던진 질문
010 COLUMN GUIDE 2
상속·증여세, 개정 세법 체크포인트
012 THEME INTRODUCTION
상속과 증여의 차이점
014 THEME CHECKLIST 1
한눈에 보는 상속세 체크리스트
016 THEME CHECKLIST 2
한눈에 보는 증여세 체크리스트

Section 01
상속·증여 고민의 시작


020 QUESTION 1
유언장 작성 시 꼭 체크할 사항은
022 QUESTION 2
자녀 증여, 절세 효과 높이려면
024 QUESTION 3
생활비 송금도 증여세 대상일까
026 QUESTION 4
축의금도 증여세 내나
028 QUESTION 5
손자녀가 상속받는 경우 세금 문제는
030 QUESTION 6
배우자상속공제, 어디까지 가능할까
032 QUESTION 7
부모와 함께 살던 주택,
상속공제받으려면
034 QUESTION 8
부담스러운 상속세, 분할납부하려면
036 QUESTION 9
상속세 신고가 늦어지면
발생하는 문제는
038 QUESTION 10
상속세 과소신고에 따른 가산세 피하려면
040 QUESTION 11
예상치 못한 상속세 폭탄, 불복절차는
042 CASE 1
여동생에게 상속 유언…
이모와 조카의 분쟁은
044 CASE 2
증여자 잘못 신고 시 가산세 납부하나
046 CASE 3
사망 직전 이혼 시
분할재산의 증여세 문제는

Section 02
가족 불화 막을 슬기로운 상속·증여


050 QUESTION 12
자녀들이 재산 탕진할까 봐 두렵다면
052 QUESTION13
‘효도계약서’를 아시나요
054 QUESTION14
배우자 명의로 투자한 자금도
증여세 낼까
056 QUESTION 1 5
형제간 주식 교차 증여 가능한가
058 QUESTION 16
남북 가족 간에도 상속이 가능할까
060 QUESTION 17
이혼 재산분할 시 세금 문제는
062 QUESTION 18
가족 간 상속세 대납이 가능한가
064 QUESTION 19
유류분반환청구 시 세금 문제는
066 CASE 4
상속포기한 채무, 손자에게 돌아간다면
068 CASE 5
부부간 수억대 금전 거래,
증여세 내야 하나
070 CASE 6
아파트 물려받고 부모 채무 변제…
증여세 낼까

Section 03
재산별 상속·증여


074 QUESTION 20
현금 부족한 상속인,
현물로 납부하려면
076 QUESTION 21
부모가 빌려준 전세자금, 증여세 내나
078 QUESTION 22
전환사채 명의신탁 시
증여세 부과되나
080 QUESTION 23
주식 가치 증가분에 대한 증여세는
082 QUESTION 24
외국 기업 주식 상속 시 국내 과세는
084 QUESTION 25
부모 땅 빌려 임대업을 할 경우 세금은
086 QUESTION 26
시세 오른 아파트,
배우자 증여 시 공제액은
090 QUESTION 27
주식 명의신탁 시 증여세 과세는
091 QUESTION 28
비상장주식이 증여 후 상장된다면
092 QUESTION 29
생명보험금도 상속세 내야 하나
094 QUESTION 30
즉시연금보험 상속 시 상속세 신고는
096 QUESTION 31
복권 당첨금으로 산
아내 명의 아파트, 증여세는
098 QUESTION 32
외국 모교 기부도 증여세가 적용되나
100 QUESTION 33
가상화폐, 상속·증여시 과세 문제는
102 CASE 7
상속재산보다 많은 채무,
뒤늦게 신고 시 책임은
104 CASE 8
상속세 냈는데 토지 소유권 상실,
세금 돌려받나

Section 04
기업 경영과 승계의 고민


108 QUESTION 34
창업 자금에 대한 증여세 과세특례는
110 QUESTION 35
창업 형태에 따른 절세법은
112 QUESTION36
최대주주 할증은 어떻게 적용될까
114 QUESTION 37
일감 몰아주기 과세 기준은
116 QUESTION 38
가업상속공제 제대로 받으려면
118 QUESTION 39
가업상속공제, 꼭 챙겨야 할
사후 의무는
120 QUESTION 40
법인이 얻은 이익에 대한 증여세는
122 QUESTION 41
공익법인의 설립과 운영 시 주의할 점은
124 CASE 9
직계비속에게 교차 증여
vs 증여 재구성해 과세
126 CASE 10
상속세 연대납세 시
예전 납부한 증여세 빼주나

Section 05
상속·증여 난제를 풀다


130 QUESTION 42
해외에서 부담한 채무, 공제되나
132 QUESTION 43
국내 비거주자의 상속세 문제는
134 QUESTION 44
부모 사망 후 추정상속재산 주의보는
136 QUESTION 45
명의신탁 주식의 상속세는 어떻게
138 QUESTION 46
채무까지 넘겨주는
부담부증여 시 세금은
140 QUESTION 47
상속받은 부동산,
세금 납부 시 주의할 점은
142 QUESTION 48
증여세 합산과세, 어떻게 부과되나
144 QUESTION 49
자녀 증여, 추후 반환 시 세금 내나
146 QUESTION 50
자금 출처 조사에 따른 증여세 과세는
148 QUESTION 51
채무 면제해준 경우 증여세 문제는
150 QUESTION 52
상속재산 재분할 시 세무상 문제없나
152 QUESTION 53
단기간 내 재상속 시 세액공제 여부는
154 QUESTION 54
해외 이민 시 상속·증여세는
어떻게 과세될까
156 CASE 11
채무자의 상속포기, 채권자는 구제될까
158 CASE 12
일본 채무 100억+한국 부동산 100억=상속세?
160 상속·증여세 관련 주요 법령 개정 내용
164 SPECIALIST...
<궁금한 상속·증여>를 만든
스페셜리스트

저자소개

김동욱·김해마중·민경서·윤여정·이혜진·이은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내 최대 로펌인 김앤장 법률사무소의 김동욱, 김해마중, 민경서, 윤여정, 이혜진, 이은총 변호사가 집필했다. 지난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여간 한국경제매거진 MONEY에 기고한 원고 중 핵심 이슈만을 뽑아 일반 대중의 눈높이로 쉽게 풀어 썼다. 간단명료한 Q&A 형식, 가독성을 높인 일러스트와 과감한 편집 디자인 등으로 ‘상속·증여를 다룬 책들은 법률과 세무·회계용어가 많아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편견을 허물었다. 저자들이 소속된 김앤장 법률사무소 상속·증여팀은 각 분야에서 수십 년 내공을 쌓은 국내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세무 문제뿐만 아니라 재산분할, 유류분 청구, 공정거래법, 상법, 형사법 등 관련 법률문제까지 종합적인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펼치기
김동욱·김해마중·민경서·윤여정·이혜진·이은총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올해부터 농업 및 임업, 어업과 관련한 가업을 이어받을 경우 해당 재산에 대한 상속세 공제가 15억원에서 20억원으로 상향됩니다. 자녀가 계속 농사를 짓는다는 전제하에 20억원까지는 농지를 물려받더라도 상속세를 내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자녀에 대한 상속공제가 통상 5억원까지 가능한 점을 감안하면 공제 폭이 큽니다. - COLUMN Guide 상속·증여세, 개정 세법 체크포인트


납세의무자가 자기의 과세표준을 실제보다 적게 신고할 경우 과소신고가산세가 부과됩니다. 다만 성실히 신고했음에도 단순 평가 방법의 차이로 인해 과소신고한 경우에는 가산세가 면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Q10 상속세 과소신고에 따른 가산세 피하려면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522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