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의 진로선택
· ISBN : 9791185488196
· 쪽수 : 203쪽
· 출판일 : 2014-05-14
책 소개
목차
□ 제과·제빵·떡의 세계
1. 제과·제빵·떡과 우리의 생활
식생활과 문화 | 주식과 간식 | 전쟁과 간편식
2, 빵과 떡 그리고 과자의 종류
빵과 과자의 종류 | 떡과 한과의 종류
3. 세계의 유명 빵과 과자
유명한 빵과 과자 | 유명한 떡과 한과
4. 제과·제빵 산업 현황
국내 제과·제빵·떡 산업 현황 | 제과·제빵·떡 소비 상황과 미래 전망
□ 직업으로서의 제과·제빵떡사
1. 제과·제빵 떡의 기술
제과·제빵의 제조 과정 | 떡과 한과의 제조 과정
2. 제과·제빵, 그리고 떡과 한과의 도구
제과·제빵의 도구 | 떡과 한과의 도구
3. 제과·제빵떡사의 직업 활동
제과·제빵사의 공통적 기본 업무 | 근무 형태에 따른 업무 활동
4. 제과·제빵 떡점 설립 절차
창업 형태 결정 | 상호 및 입지 선정 | 개업 준비 | 영업 신고 | 사업자 등록
□ 제과·제빵떡사가 되는 길
1. 제과·제빵 관련 교육기관
전문대학의 제과·제빵학과 | 기타 관련과 개설학교 | 관련학과와 유사한 학과
2. 제과·제빵 및 떡·한과 자격제도
제과·제빵 및 떡·한과 자격제도와 준비 기관 | 자격시험 내용
3. 떡과 한과에 관한 자격증
자격제도와 시험
□ 참고자료
저자소개
책속에서
밀가루 또는 그 외 곡물에 이스트, 소금, 물 등을 가미해 반죽을 만든 후 발효시켜 구워낸 것을 빵이라고 한다. 기원전 7,000년경 스위스 호숫가에 살던 사람들이 모래처럼 굵게 빻은 곡물을 반죽하여 빵을 구웠는데 이것을 빵 제조의 효시로 보는 견해가 있다.
오늘날 일반적으로 빵은 밀가루, 물, 설탕, 이스트(yeast, 빵을 부풀릴 때 쓰는 효모균)로 만들지만 그 외에 유지, 계란, 소금, 베이킹파우더와 그 밖에 초콜릿, 건포도, 술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래서 우리는 빵을 만드는데 사용하는 원료에 따라 빵의 종류를 나누기도 한다.
오늘날 제과제빵사가 되려는 사람들의 숫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퇴직한 사람들 중에서 이런 길로 다시 생활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다. 왜냐하면, 음식과 관계되는 직업이라서 수요가 항상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재미나는 직업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나이가 든 사람이나 여성들이 하기에 그다지 위험한 작업 공정이 없어서 더욱 그러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제과제빵 작업이 수월한 것은 절대 아니다.
자격시험은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이 있다. 필기시험은 제조이론, 재료과학, 영양학, 식품위생학 등 4과목으로 각각 60문항이 출제되고 그중 36문항을 맞으면 즉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필기시험 합격자와 제과기능사나 제빵기능사 둘 중 1개의 자격증이 있으면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고 제과.제빵 각각 24가지 중 1종목이 무작위로 출제되며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필기시험은 꼭 학원에 다니지 않아도 공부할 수 있으나 이론이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에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열심히 외우면서 공부해야 한다. 필기시험에 합격하였다면 횟수와 상관없이 2년 동안 실기시험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