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합성생물학 기술동향

합성생물학 기술동향

(4차 산업혁명 시대 바이오경제의 핵심 프레임)

하연 편집부 (엮은이)
하연
30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합성생물학 기술동향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합성생물학 기술동향 (4차 산업혁명 시대 바이오경제의 핵심 프레임)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바이오테크놀로지
· ISBN : 9791185497181
· 쪽수 : 282쪽
· 출판일 : 2019-05-15

목차

제1장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과 유전공학
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등장 배경 및 개요
1-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기술 개요
1-1-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등장 배경
1-1-2.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개요
1-2.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의 발전 배경
1-2-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역사
(1) 합성생물학의 시작
(2) 합성생물학의 역사
1-2-2.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의 발전
1-2-3.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의 장단점
가. 장점
나. 단점
1-3.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과정
1-3-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과 DNA
(1) DNA 구조
(2) DNA와 합성생물학
1-3-2.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과 유전자 배열
(1) 유전자 배열
가. 유전자 개념
나. 유전자 기능
(2) 유전암호와 단백질 합성
가. 유전암호(Genetic code)
나. 단백질 합성
나-1. 전사(transscrption)
나-2. 번역(Translation)
(3) DNA, RNA 단백질의 기능
가. DNA(deoxyribonucleic acid) 단백질
나. RNA(RiboNucleic Acid) 단백질
나-1. RNA 간섭(RNA interference, RNAi)
나-2. 작은 간섭 RNA(small interfering RNA, siRNA)
나-3. 마이크로RNA(microRNA, miRNA)
나-4. RNA 간섭과 질병 치료
(4) 합성유전자 배열
2.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과 생물학
2-1.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
2-1-1.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의 개요
(1)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의 개요
(2)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과 유전체 공학(genomic engineering)의 차이
2-1-2. 유전자가위,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
(1) 유전자가위 개요
가. 유전자가위 개념
나. DNA 절단 및 복구 과정
나-1. DNA 절단(Excision)
나-2. DNA 복구(DNA repair) 과정
다. 유전자 편집(Gene Editing) 기술
(2) 제3세대 유전자가위 크리스퍼-카스9(CRISPR-Cas9)
2-2. 시스템 생물학(systems biology)
2-2-1. 유전체(genome)
2-2-2. 전사체(transcriptome)
2-2-3. 단백질체(proteome)
2-2-4. 대사체(metabolome)
3. 합성생물학 기술 개요
3-1. 유전자 합성
3-1-1. 유전자 합성 개요
3-1-2. 유전자 합성 기술
3-2. 게놈 엔지니어링(genome engineering)
3-2-1. 합성생물학과 게놈 해독
(1) 바이오 융합
(2) 게놈분석(Genome sqence)
가. 게놈분석(Genome) 개요
나. 게놈 분석 기술 동향
나-1. 개인 유전 정보 분석
나-2. 유전체 기능 분석(functional genomics)
3-3. DNA 클로닝(cloning)
3-4. 차세대 시퀀싱(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3-4-1.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3-4-2.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기술의 종류
3-5.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Site-Directed Mutagenesis, SDM)

제2장 합성생물학 기술동향
1. 합성생물학 활용 기술
1-1. 합성생물학의 분야별 기술동향
1-1-1. 의료 용도
가. 전염병
나. 게놈백신(Genomic vaccines)
다. 종양 제거
라. 바이오센서
1-1-2. 바이오연료, 재생에너지
1-1-3. 바이오소재, 그린 화학제품
가. 바이오 플라스틱(bioplastic)
나. 유전자 조작 거미실크
다. 바이오 화장품
1-1-4. 농업
1-2.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안보
1-2-1. 바이오안보의 개요
1-2-2. 바이오 안전 및 안보의 중요성
가. 생명윤리(bioethics) 논란나. 생물안전성(biosafety) 논란
다. 생물안보(biosecurity) 논란
다-1. 감염병(Infectious Diseases)
다-2. 바이오테러(Bioterror)
다-3. 생물학무기(Biological Weapons)2. 국내외 산업동향 및 시장 전망
2-1. 국내외 산업동향
2-2. 시장 전망

참고문헌

그림목차

[그림 1]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의 응용 분야
[그림 2]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의 개념과 프로세스
[그림 3] 합성생물학 프로세스
[그림 4] 유전자 합성, 조립을 이용한 미생물 개발
[그림 5] 크레이그 벤터 연구진의 인공 DNA 미생물
[그림 6] 미 UC샌디에이고 연구진의 플라스틱 소재 인공세포
[그림 7] DNA 합성과 조립의 대략적인 과정
[그림 8]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그림 9] 인공 DNA로 박테리아 제작하는 원리
[그림 10] 인공생명체 만드는 과정
[그림 11] 새로운 인공생명체(artificial life) 탄생[그림 12] JCVI-syn3.0 합성 과정 모식도
[그림 13] DNA 3차원 구조
[그림 14] DNA 염기서열
[그림 15] 뉴클레오티드(nucleotide) 구조
[그림 16] DNA 복제과정
[그림 17] 유전학의 기본
[그림 18] 유전암호(Genetic code) 읽기
[그림 19] 코돈(codon)-안티코돈(anticodon)의 상호 작용
[그림 20] DNA와 RNA의 차이점
[그림 21] 단백질 합성 과정
[그림 22] 전사(transscrption)
[그림 23] tRNA 구조
[그림 24] 번역(Translation)
[그림 25] DNA와 RNA 기본 구조
[그림 26] DNA 매카니즘
[그림 27] DNA 나노 구조체 제조 과정 모식도
[그림 28] 세포내 히스톤의 구조와 기능
[그림 29] RNA(RiboNucleic Acid)
[그림 30] RNA 간섭(RNA interference) 메커니즘
[그림 31] RNA 간섭 경로
[그림 32] siRNA 메커니즘
[그림 33] RNAi 경로
[그림 34] miRNA 생합성 및 관련 유전자 침묵 메커니즘
[그림 35] 마이크로RNA 생합성 과정
[그림 36] mRNA의 번역 억제 또는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miRNA의 기능
[그림 37] 중추 신경계 질환 RNAi 메커니즘
[그림 38] 합성세포를 생산하는 프로세스
[그림 39] 합성유전자 메커니즘
[그림 40] 인슐린 생산을 위해 사용된 유전공학(genetic engineering)
[그림 41] CRISPR-Cas9 시스템을 사용한 염기 편집
[그림 42] 차세대 시퀀싱을 활용한 유전체 정보 분석 프로세스
[그림 43] DNA를 추출하는 기술
[그림 44]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
[그림 45] 유전자가위 작동 원리
[그림 46] 제한 효소(restriction enzyme)에 의한 DNA 절단
[그림 47] DNA 손상 복구(damage repair)
[그림 48] DNA 손상 및 복구 메커니즘
[그림 49] DNA 손상을 복구하기 위한 DNA 손상 반응
[그림 50] DNA복구의 두 방식과 유전자가위의 작동
[그림 51] 절단 회복 메커니즘
[그림 52] 유전자 교정치료 방법(In vivo·Ex vivo형)
[그림 53] 크리스퍼와 유전자 편집의 역사
[그림 54] 크리스퍼(CRISPR) 작동
[그림 55] 네불라 지노믹스(Nebula Genomics)의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 기반 유전체 분석 기술
[그림 56] 만성질환 연관 유전변이 발굴 및 기능 검증
[그림 57] 일반적은 RNA-seq 방법
[그림 58] 메타 유전체학
[그림 59] DN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과정
[그림 60]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그림 61] 메타프로테오믹스(metaproteomics) 개요
[그림 62] Metaproteomics workflow
[그림 63] 메타볼로미스는(Metabolomics) 개요
[그림 64] Metabolomics workflow?
[그림 65] 인공유전자 합성 응용
[그림 66] 지노(XENO) 및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그림 67]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oligonucleotide) 합성
[그림 68] DNA 해독 기술
[그림 69] 생명공학 기술
[그림 70] 복제 및 시퀀스 적용 범위
[그림 71] 게놈 분석
[그림 72] 개인 유전 정보 분석
[그림 73] 만성질환 연관 유전변이 발굴 및 기능 검증
[그림 74] 클로닝(Cloning) 실험의 기본적인 흐름
[그림 75] 유전자 복제
[그림 76] 기존 방식 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방식의 비교
[그림 77] 차세대 DNA 시퀀싱
[그림 78] NGS분석 진행과정
[그림 79] 표적 염기서열 분석(targeted NGS)의 과정과 필요 시간
[그림 80] Inverse PCR을 이용한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Site-Directed Mutagenesis)
[그림 81] 합성생물학 시스템
[그림 82] 아르테미시닌 기반 병용 요법(artemisinin-based combination therapies)
[그림 83] 역 병균학의 개요
[그림 84] 암세포의 신진대사 모식도
[그림 85] 바이오 연료(biofuel) 개발 과정
[그림 86] 세포공장 기반의 바이오화학 산업
[그림 87] 인간과 생태계를 위협하는 플라스틱 순환 과정
[그림 88] 미생물을 이용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그림 89] bioprinting 작동 방식
[그림 90]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그림 91] 합성생물학과 농업
[그림 92] 바이오안보의 범위
[그림 93] 생명윤리(bioethics) 시스템
[그림 94] 바이오 안전성 및 생물 보안성 위험 평가
[그림 95] 생물학무기(Biological Weapons)
[그림 96] 글로벌 합성생물학 시장 현황과 전망

표목차

[표 1] 합성생물학의 패러다임 변화
[표 2] 유전자 연구 역사
[표 3] 합성생물학의 발전 배경
[표 4] 인류가 당면한 난제
[표 5] 합성생물학의 긍·부정적 영향 및 비전
[표 6] DNA 역사와 구조
[표 7] 유전공학의 역사와 유전자 변형 방법의 예
[표 8] 유전자가위 세대별 특성 비교
[표 9] 크리스퍼(CRISPR)의 역사 및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작동 원리
[표 10] 크리스퍼 Cpf1 유전자가위 vs. 크리스퍼 Cas9 유전자가위 비교
[표 11] 대사체학 연구 응용 분야
[표 12] NGS 플랫폼
[표 13] 합성생물학의 적용 분야
[표 14] 합성생물학 활용범위 및 적용 분야
[표 15] 응용산업별 합성생물학 시장 현황 및 전망(단위: 십억달러)
[표 16] 기존 백신과 DNA 백신의 비교
[표 17] 바이오 플라스틱 종류 및 생산과정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