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피디 마인드

피디 마인드

(진짜 피디가 되기 위한 피디처럼 생각하는 법)

김신완 (지은이)
새잎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피디 마인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피디 마인드 (진짜 피디가 되기 위한 피디처럼 생각하는 법)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85600017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4-07-11

책 소개

MBC 김신완 PD가 PD 지망생 및 초년생, 언론·방송에 관심 있는 일반인을 위해 쓴 책이다. PD가 되기 위해서는 PD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PD 마인드’가 필요하다. 『피디 마인드』는 오늘날 PD들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고민을 안고 살아가는지를 보여 준다.

목차

강의를 시작하며 006

part 1. 시사교양 PD

1강 시사교양 PD의 마인드 015
시사교양 PD란 누구인가 016
시사교양 PD는 어떻게 일하나 019
시사교양 조연출은 이렇게 산다 031
2강 이슈분석 하나: 「PD수첩」, PD저널리즘 전격 해부 035
3강 이슈분석 둘: 「아마존의 눈물」의 성공과 위기에 빠진 한국 다큐멘터리 057
4강 이슈분석 셋: 「짝」, 교양 프로그램의 미래인가, 변질인가 077

part 2. 예능 PD

5강 예능 PD의 마인드 095
예능 PD란 누구인가 096
예능 PD는 어떻게 일하나 100
예능 조연출은 이렇게 산다 118
6강 이슈분석 하나: 「무한도전」, 방송기술과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진화 123
7강 이슈분석 둘: 「무릎팍도사」와 「힐링캠프」, 방송사, 시청자, 연예인의 삼각함수 131
8강 이슈분석 셋: 「슈·스·케」부터 「나·가·수」까지,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범람 그리고

포맷 시장과 앵커 프로그램 143
프로그램 리뷰: 「히든싱어」 156

part 3. 드라마 PD

9강 드라마 PD의 마인드 167
드라마 PD란 누구인가 168
드라마 PD는 어떻게 일하나 171
드라마 조연출은 이렇게 산다 180
10강 이슈분석 하나: 사전제작 시스템이 정착되지 않는 이유 185
11강 이슈분석 둘: PPL, 예술과 돈의 불편한 동거 203
12강 이슈분석 셋: 「응답하라 1994」 그리고 지상파가 만들지 못하는 드라마 217

part 4. 편성 PD

13강 편성 PD의 마인드 237
편성 그리고 편성 PD 239
편성 PD는 어떻게 일하나 244
편성 신입 PD는 이렇게 산다 248
14강 편성기획부 그리고 편성전략 249
15강 TV편성부와 편성국의 유관 부서들 265
16강 이슈분석 하나: 편성 주도의 프로그램 제작은 효과적인가 287

강의를 마치며 294

저자소개

김신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초등학생 세 아이의 아빠이자 MBC PD. 2005년 입사하여 〈PD수첩〉, 〈생방송 오늘 아침〉, 〈판결의 온도〉, 〈출발! 비디오 여행〉,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등을 만들어 왔다. 4년간의 준비 끝에 2024년 4월 교육 대전환 프로젝트, 다큐멘터리 〈교실 이데아〉를 연출했다. 이후에는 〈PD수첩〉에서 교권 회복을 주제로 〈아무도 그 학부모를 막을 수 없다〉를 방송해 큰 반향을 일으켰고 최근에는 〈긴급취재: 서울의 밤〉 3부작을 공동 연출했다. 육아 에세이 『아빠가 되는 시간』을 썼고, 12년 동안 PD 지망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이어 가며 PD 입문 교양서 『피디 마인드』를 썼다. 육아부터 대입, 취업에 이르는 ‘성장’이라는 인생 테마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시사매거진 2580」과 「PD수첩」이 뭐가 다르냐고? 그냥 똑같은 시사 프로그램 아닌가? 「시사매거진 2580」은 기자가 만들고 「PD수첩」은 PD가 만든다는데 글쎄 무슨 큰 차이가 있나?’ …… PD저널리즘과 기자저널리즘은 생각보다 큰 차이가 있어 비교해보는 것이 흥미로울 것이다. 그리고 한국 사회의 여러 단면을 볼 수 있는 기회도 얻을 것이라 생각한다.
- 2강 이슈분석 하나: 「PD수첩」, PD저널리즘 전격 해부(36쪽)


‘「짝」이 교양 프로그램이었나요? 예능 프로그램 아니었나요?’ 많은 시청자들이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예능 같은 교양 프로그램이 등장하고 있다. 교양과 예능은 어떻게 구별해야 할까? 그리고 교양다운 교양 프로그램은 무엇일까? 시사교양 프로그램도 시청률 압박과 타사와의 경쟁 때문에 더 자극적이고 오락적으로 바뀌고 있는 이때, 우리는 진지하게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과연 교양 프로그램의 미래는 어떠해야 할까?
- 4강 이슈분석 셋: 「짝」, 교양 프로그램의 미래인가, 변질인가(78쪽)


「무한도전」은 우리나라의 대표 예능 프로그램이다. 먼 미래에 우리의 지난 10년을 얘기하게 된다면 우리는 「무한도전」을 온에어로 보며 살았던 시절이었다고 회상할지 모른다. …… 「무한도전」을 비롯한 많은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예능의 대세를 이루게 되는 과정에는 기술의 발전이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기술은 방송에 어떤 영향을 줄까? PD는 기술을 어떻게 이용해야 할까?
- 6강 이슈분석 하나: 「무한도전」, 방송기술과 리얼 버라이어티 쇼의 진화(114쪽)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