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5602028
· 쪽수 : 310쪽
· 출판일 : 2014-06-14
목차
개정 증보판에 부쳐 / 3
한국 번역에 부치는 말 / 4
출판자의 말 / 6
개정자의 말 / 10
역자의 말 / 12
제1부 칼빈주의의 신학적인 견해들
제1장 칼빈주의의 기본 원리 21
1. 통일성 있고 포괄적인 사상 체계 / 21
2. 칼빈주의의 기본 원리 / 22
3. 칼빈주의 원리에 대한 오설 (취맛클8) 들 / 27
4. 이 기본 원리를 기반으로 한 체계 / 31
제2장 칼빈주의 체계에서의 성경의 위치 33
1. 하나님의 계시로서의 자연 / 33
2. 하나님의 계시로서의 성경 / 35
3. 정경(유)으로서의 성경 / 37
제3장 칼빈주의 체계에서의 신앙의 위치 39
1. 신신학과 신앙 / 39
2. 칼빈주의자와 신앙 / 40
3. 신신학자의 과학적 방법 / 42
4. 칼빈주의자의 과학적 방법 / 45
5. 신앙적 방법 / 48
제4장 칼빈주의 체계의 균형 53
1. 적당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 53
2. 칼빈주의 균형의 실례 / 54
제5장 칼빈주의 신학의 요점 57
1. 하나님과 성경 / 57
2. 인간 / 50
3. 교회와 성령 / 61
4. 윤리 / 63
제6장 일반 은총 66
1. 불신자의 선행에 대한 칼빈주의자의 전해 / 67
2. 일반 은총의 열매도 선행인가? / 69
3. 일반 은총의 열매를 하나님이 죄인에게 주신 은총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까? / 71
4. 일반 은총에 대한 칼빈주의 견해의 유익한 점 / 74
제7장 칼빈주의 문화관 75
1. 무죄 세계에 있는 문화 / 77
2. 문화와 과학 / 79
3. 문화와 예술 / 80
4. 죄악이 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 81
5. 그리스도교와 문화 / 85
제2부 칼빈주의의 정치적 견해
제8장 칼빈주의와 정치학과 성경 93
1. 정치적 칼빈주의에 대한 역사적 고찰 / 93
2. 성경과 정치학의 관계 / 97
제9장 국가의 기원과 기능 101
1. 국가의 기원 / 101
2. 무죄 세계에 있는 국가의 기능 / 104
3. 죄악 세계에 있는 국가의 기능 / 104
제10장 최상의 국가 형태 108
1. 무죄 세계와 죄악 세계에 있는 국가들의 비교 / 108
2. 국가는 반드시 기독교 국가이어야 될까? / 111
제11장 정부의 형태 118
1. 어떤 일정한 정부 형태를 가르치지 않고
정치상의 원리들만 지시함 / 118
2. 권위의 옹호 / 119
3. 국민의 자유 옹호 / 120
제12장 정부의 직무 125
1. 정부의 첫째 직무는 정의의 실현이다 / 125
2. 정부와 하나님의 율법 / 126
3. 정부의 영역 / 128
4. 국민의 총체적 복리를 도모할 것 / 131
5. 칼빈주의자와 자유주의자의 차이점 / 132
6. 칼빈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차이점 / 133
제13장 정부의 권위 137
1. 정부 권위의 기원 / 138
2. 집정자에 대한 국민의 의무 / 139
3. 정부 권위의 성격 / 140
4. 권리의 오용 / 141
제14장 국민의 자유 148
1. 국민이 누릴 자유 / 148
2. 전제적 지배자들 앞에서 취해야 할 국민의 자유 옹호 / 150
3. 칼빈주의와 정치적 자유 / 152
제15장 사회 모든 영역의 주권 158
1. 역사적 서론 / 158
2. 사회 모든 영역의 주권 / 160
3. 정부와 사회 제 영역 / 163
제16장 교회와 국가의 관계 167
1. 성경은 교회와 국가의 규범 / 167
2. 국가와 교회의 차이 / 169
3. 교회에 대한 국가의 의무 / 170
4. 국가에 대한 교회의 의무 / 173
제17장 국제주의 175
1. 고대와 중세기 / 175
2. 현대 / 177
제18장 국제주의와 국제 연합 183
1. 칼빈주의자가 보는 국제 관계 / 183
2. 칼빈주의자가 보는 국제 연합 / 188
제19장 국제법 191
1. 국제 법정이 있을 필요 / 191
2. 국제 법정에 대한 칼빈주의자의 태도 / 192
3. 국제법의 기초 / 193
4. 국제법의 내용 / 197
제3부 칼빈주의의 전쟁관
제20장 전쟁사 203
1. 전쟁의 기원 / 203
2. 그리스도교 안의 호전주의자와 평화주의자 / 204
3. 인생관과 전쟁관/ 205
4. 전쟁 문제에 대한 관심의 최근 부흥 / 208
제21장 성경과 전쟁 210
1. 두 영역 / 212
2. 정당한 전쟁 / 217
3. 교전자들의 정당한 행동/ 220
제22장 그리스도인과 전면전 222
1. 신무기들에 대한 판단 / 224
2. 현대 세계에서의 전쟁 / 225
3. 그리스도인의 의무/ 226
4. 지속되는 위험 / 229
제23장 기독교인 된 국민과 전쟁 230
1. 전쟁 이전의 신자의 의무/ 230
2. 전쟁 중에서의 신자의 의무/ 232
3. 양심적 참전 거부자 / 234
제4부 칼빈주의의 정치적 조망
제24장 해방 신학(Dr. Paul A. Marshall) 243
1. 해방 신학의 강점들 / 246
2. 해방 신학의 약점들 / 248
제25장 정치적 소망(Dr. Paul A. Marshall) 253
1. 죄의 지속적인 영향/ 254
2. 정치적 소망 / 256
3. 소망 가운데의 사역/ 258
후주 / 261
참고 문헌 / 267
부록
박세환 편
칼빈주의 관련 저서 목록
ㆍ 칼빈 작품의 연대순 목록 / 289
ㆍ 칼빈 사후에 출판, 보급된 설교집 / 292
ㆍ 칼빈과 칼빈주의에 대한 도서 목록(외국 서적) / 294
ㆍ 칼빈과 칼빈주의에 대한 도서 목록(국내 서석) /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