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교육철학
· ISBN : 9791185754192
· 쪽수 : 443쪽
· 출판일 : 2015-08-30
책 소개
목차
제1부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1. 이성적.합리적 존재 3
(1) 플 라 톤 3
(2) 아리스토텔레스 8
(3) 칸 트 13
참고문헌 19
2. 감성적.자연적 존재 21
(1) 공자와 맹자의 仁義之心 21
(2) 루소의 자기애와 자연성 24
참고문헌 28
3. 의지적.본래적 존재 30
(1)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30
(2) 본래적인 인간, 비 본래적인 인간 34
참고문헌 38
제2부 삶의 유형과 배움
1. 정치와 배움 41
(1) 정치적 삶과 배움 41
(2)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그리고 교육 47
(3) 시민 교육의 방향 80
참고문헌 116
2. 문화와 배움 121
(1) 문화적 삶과 배움 121
(2) 다문화교육 126
참고문헌 158
3. 종교와 배움 163
(1) 종교적 삶과 배움 163
(2)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과 사고 168
(3) 맹자 사상을 통해 본 배움 201
(4)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교사상 225
참고문헌 255
제3부 바람직한 배움이란 무엇인가
1. ‘프로네시스’에 담긴 가르침과 배움 263
(1) 서 론 263
(2) 인간의 행복과 프로네시스 266
(3) 덕(德)과 프로네시스 272
(4) 프로네시스와 가르침 282
(5) 프로네시스와 배움 287
(6) 결론: 가르침과 배움의 프로네시스 294
참고문헌 298
2. 사고의 교육적 의미 301
(1) 서 론 301
(2) 듀이의 반성적 사고 개념 302
(3) 시걸의 비판적 사고 개념 310
(4) 립맨의 협력적 탐구로서의 사고 319
(5) 결 론 323
참고문헌 328
3. 관계 형성과 배움 330
(1) 서 론 330
(2) Noddings 배려 관계 이론에 기초한 교육의 본래적 관계의 준거 336
(3) 공자의 교육 실천을 통해 본 본래적 관계의 실제 344
(4) 결론 및 종합논의 354
참고문헌 359
4. 자율성과 배움 362
(1) 서 론 362
(2) 논의의 배경: 자율성의 한계에 대한 비판적 검토 364
(3) 자율성과 교육의 관련성 372
(4) 자율성에 대한 이론적 도전과 응답 376
(5) 자율성과 좋은 삶의 실현 379
(6) 결론: 한계를 초월하는 교육적 이상으로서의 자율성 387
참고문헌 392
5. 인간 본성의 교육적 의미 395
(1) 서 론 395
(2) 합리성(知)의 차원에서 본 인간과 교육 400
(3) 자연성(情)의 차원에서 본 인간과 교육 410
(4) 본래성(意)의 차원에서 본 인간과 교육 420
(5) 종합논의 및 결론: 통합성(全人)의 차원에서 본 인간과 교육 431
참고문헌 440
찾아보기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