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노후 설계 전문가 핸드북

노후 설계 전문가 핸드북

박성희 (지은이)
박영스토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540원
17,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노후 설계 전문가 핸드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노후 설계 전문가 핸드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85754314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14-09-15

책 소개

좋은 노후설계전문가가 되기 위하여 스스로를 성찰해 보는 기회를 갖도록 노인 리더의 역할과 기능을 소개하였고, 또래 노인들의 정다운 벗이 되어 줄 수 있도록 노인 이해의 기초와 노인상담 이론을 안내하였다.

목차

제1장 좋은 노후설계전문가 되기
1. 성공적 노화 2
2. 6가지 노후설계전문가 유형 3
1) 예술형 노후설계전문가 3
2) 현장형 노후설계전문가 4
3) 탐구형 노후설계전문가 5
4) 사회형 노후설계전문가 6
5) 진취형 노후설계전문가 7
6) 관습형 노후설계전문가 8
3. 인생 2모작을 지원하는 노후설계전문가 9
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소지 10
2) 높은 자아존중감 소지 10
3) 의사소통 능력 소지 11
4) 취업 지원 및 삶의 질 향상 능력 소지 11
5) 건강 증진 및 사회활동 참여 능력 소지 11
6) 공동체 사회 만들기 능력 소지 12
토의 거리 12

제2장 노후설계전문가의 역할
1. 인간의 전 생애 발달 이론 16
2. 노후설계전문가의 역할 17
1) 새로운 정체성 만들기를 지원 17
2) 자기결정력 향상을 위한 임파워먼트 지원 19
3) 삶의 주체가 되도록 지원 20
4) 풍부한 경험에 의한 문제해결 능력 함양을 지원 20
5) 품위있는 노년을 지원 20
3. 세대 간의 균형 23
1) 지속가능발전의 원칙 24
2) 정의로운 고령 사회의 건설 24
4. 새로운 삶의 기회가 되도록 생애설계 안내하기 26
1) 영성의 발달을 지원 26
2) 생애설계 안내하기 27
토의 거리 28

제3장 노인 이해의 기초 I
1. 노인상담의 개념 32
1) 노인상담의 개념 및 목표 32
2) 상담, 코칭, 멘토링, 힐링의 개념 33
3) 노후설계 상담의 영역 35
2. 상담 기법 45
1) 관심 집중 45
2) 무조건 공감 45
3) 무조건 존중 46
4) 일치성 46
5) 구조화 46
6) 성찰 46
7) 명료화 47
8) 요약 47
9) 직면 47
10) 해석 48
11) 질문 48
3. 상담 지침 49
1) 노인상담의 특수성 49
2) 역전이 49
4. 좋은 상담가의 조건 50
1) 높은 자존감을 소지 50
2)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소지 52
3) 노년기의 변화를 예견하고 문제해결능력 개발 54
토의 거리 56

제4장 노인 이해의 기초 II
1. 노인의 특징 60
1) 수면 상태의 변화 60
2) 체온의 변화 61
3) 시각, 청각, 지각의 변화 61
4) 식사 및 배설 상태의 변화 62
5) 감정의 변화 62
2. 상담의 과정 62
1) 상담의 준비 62
2) 첫 만남 63
3) 상담 초기 63
4) 상담 중기 67
5) 상담 후기 70
6) 종결과 추후 상담 70
3. 인간의 동기 71
1) 동기 이론 71
2) 동기의 유형 74
3) 동기의 강화 74
4. 정서 75
1) 치매 노인과의 의사 소통 76
2) 독거 노인과의 의사 소통 77
토의 거리 78
제5장 노인상담 이론
1. 정신분석적 심리상담 85
1) 프로이드의 심리성적발달 이론 85
2)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 86
3) 융의 분석심리 심리학 87
2. 경험적/관계 지향적 심리치료 90
1) 로저스의 인본주의 상담 90
2) 실존적 상담 94
3) 게슈탈트 상담 95
3. 활동지향적 상담 97
1) 행동주의 상담 97
2) 합리?정서적 행동상담 97
4.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99
1) 상담자에게 요구되는 능력 99
2) 의사소통 기법 101
5. 노인상담 102
토의 거리 104

제6장 행복한 부부관계 만들기
1. 노년기 부부관계 현황 108
1) 증가하는 황혼 이혼 108
2) 부부 갈등의 유형 109
3) 노년기 부부의 생활 만족도 109
2. 행복한 노년기 만들기 112
3. 부부 상담 방법 114
1) 노년기부부 교육상담 현황 115
2) 행복한 노년기부부 집단상담 115
3) 행복한 노년기 부부관계 만들기 교육 상담의 내용 117
4) 노년기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내러티브적 생애사 상담 사례 118
5) 행복한 노년기 부부 만들기 상담의 효과 126
토의 거리 128

제7장 노인 공동주택: 시니어 코하우징
1. 노인 공동주택의 의의 132
1) 노인 코하우징의 역사 134
2) 코하우징의 설립 과정 136
3) 노인 코하우징 거주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137
2. 노인 공동주택 운영 사례 138
1) 독일 괴팅겐의 노인 공동주택 138
2) 오스트리아의 노인 공동주택 140
3) 스웨덴의 시니어 코하우징 143
4) 덴마크의 시니어 코하우징 144
5) 핀란드의 로푸키리 145
6) 미국의 글래시어 서클 146
3. 한국형 노인 주택 사례 147
1) 전라남도 147
2) 은퇴자 전원마을 조성 148
토의 거리 150

제8장 노년기 취업 및 상담
1. 일하는 노년기 152
1) 60세 정년연장법과 문제점 152
2) 유럽의 정년사례 153
3) 고령 근로자의 장점 155
2. 노인 일자리 통계 156
1) 우리나라 노인인구 현황 156
2) 노인인구의 증가 158
3) 일본의 고령화 추세 159
3. 진로 및 직업진로 상담 161
1) 진로 및 직업 상담 161
2) 취업 준비 162
3) 진로 및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62
4. 근로자 유형 및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 163
5. 직업진로 상담의 과정과 전략 164
1) 관계수립과 내담자 분석을 통한 문제의 진단 164
2) 진로 계획을 위한 준비 단계 165
3) 목표의 설정 170
4) 문제해결을 위한 개입 170
5) 취업과정 지도, 종결 및 추수지도 172
토의 거리 173

제9장 사회참여와 자원봉사
1. 자원봉사의 개념 178
1) 노인 자원봉사의 역사 178
2) 시민사회와 자원봉사의 개념 179
2. 노인 자원봉사 현황 182
1) 자원봉사활동 현황 182
2) 자원봉사 영역 183
3. 독일 노인 자원봉사 사례 186
1) 스포츠클럽에서의 노인 자원봉사 186
4. 노인복지법 및 자원봉사법의 발달과 추진 체계 189
1) 노인복지법의 제정 및 노인복지의 발달 189
2)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의 제정 및 발달 191
3) 추진체계 현황 192
5. 노인 자원봉사 활성화 방안 194
1) 자원봉사에 대한 인식 전환 194
2) 봉사자 모집을 위한 홍보의 활성화 194
3)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을 지원 195
4) 자원봉사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시스템 부재 195
5) 교육과 배치 196
6) 보상 196
토의 거리 198

제10장 노년기 건강 생활
1. 노년기 건강의 변화 202
1) 수면 상태의 변화 202
2) 체온의 변화 203
3) 시각, 청각, 지각의 변화 203
4) 식사 및 배설 상태의 변화 203
5) 감정의 변화 204
2.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 능력 지표 및 운동 204
1) 노인의 일상생활 활동능력 지표 및 신체기능 수준 204
2) 운동 심리학 205
3. 노년기 질환 및 식이요법 208
1) 노년기 질환 예방 및 관리 208
2) 식이요법 213
토의 거리 217

제11장 알코올 중독 및 우울?자살 상담
1. 노인상담의 원칙 220
1) 노년기 정신건강 220
2) 노인상담의 지침 220
2. 알코올 중독 223
1) 노인알코올 중독의 원인 및 특징 223
2) 노인알코올 중독의 치료 223
3. 노인 우울증의 개념 및 상담 224
1) 노인 우울증의 개념 224
2) 노인우울증 영향 요인 225
3) 우울증을 위한 상담 226
4. 우울에 대한 증상 및 대처 방법 231
5. 노인 자살 232
1) 자살 현황 232
2) 노인자살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 234
3) 노인자살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234
4) 노인자살 의심현황 235
5) 현대판 고려장과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 235
6. 자살 상담 238
토의 거리 240

제12장 삶의 의미 찾기와 생애사 만들기
1. 의미치료 244
1) 의미요법 244
2) 인간 이해 246
3) 의미요법의 핵심적 개념 246
2. 인간은 의미를 추구하는 존재 248
1) 삶의 의미 248
2) 죽음의 의미 248
3) 노동의 의미 249
4) 고난의 의미 249
5) 불안을 극복하기 249
3. 삶의 의미 찾기와 생애사 상담 250
1) 생애사 학습 250
2) 생애사적 상담을 통한 자기 성찰의 지지 251
3) 삶의 의미를 찾은 사람들 254
4. 공허를 치료하는 실존적 대화 257
5. 나의 인생나무 그리기: “나를 찾아서” 258
토의 거리 260

제13장 마을만들기와 비영리단체 활동
1. 마을만들기 264
1) 전주의 마을만들기 사례 265
2) 도시연대의 마을만들기 운동 269
3) 일본의 마을만들기 성공 사례 270
2. 사회복지 법인 만들기 272
1) 인가 신청 서류 273
2) 등기에 관한 사항 274
3) 설립 등기 274
4) 설립 절차 275
5) 노인 상담소 275
6) 한국노인의 전화 278
3. 협동조합 만들기 278
1) 발달 279
2) 협동조합의 정의 279
3) 협동조합의 역사 280
4) 협동조합의 분류 282
5) 협동조합의 분류 283
6) 사업계획 수립 284
7) 정관과 규약의 작성 286
8) 설립 절차 287
9) 사업자 협동조합 사례 287
토의 거리 289

제14장 인생 2모작을 위한 노후설계
1. 인생 2모작과 새로운 인생 설계 292
1) 삶의 질을 높이는 학습 293
2) 자기결정 능력의 향상 294
3) 새로운 삶의 기회 294
2. 노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 295
1) 공공시설 프로그램 295
2) 노인복지관 교육 프로그램 295
3) 교육 프로그램 개발 영역 297
4) 사회참여 영역 300
5) 건강 영역 302
3. 교육 기관 및 노후설계 서비스 지원 302
1) 노인복지관 및 사회복지관 302
2) 노인교실 303
3) 평생학습관 304
4)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306
5) 종교기관 306
6) 경 로 당 307
7) 국민연금공단 308
8) 민간 협동에 의한 교육 308
4. 인생 2모작을 위한 인생 설계 308
토의 거리 310

참고문헌 311

찾아보기 319

저자소개

박성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여자대학교 학사 ·독일 Georg-August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 석사 ·독일 Georg-August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 강원대학교, 공주대학교 연구교수 현) 공주대학교, 인하대학교 출강 【주요저서】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생애사 연구를 중심으로(2004). 원미사. ·교육사회학(2011, 공저). 양서원. ·평생교육론(2010, 공저). 양서원. ·노인교육론(2011). 양서원. ·성인학습 및 상담(2012, 공저). 양서원. ·평생교육방법론(2013, 대표저자). 학지사. ·독일교육 왜 강한가?(2014). 살림터. ·Individuelle Modernisierungsprozesse im Alter und Generationsbeziehungen der Fraeun in Sudkorea(한국 여성의 노년과 세대관계로 살펴본 여성노인의 현대화과정) 【논문】 1. 소외 중학생의 직업 선택 과정 및 진로 탐색 교육 방안(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227-245. 2. 청소년 가해자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방안(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20(1), 35-58. 3. 노인자서전 쓰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2011). 한국노년학, 31(2). 4. 노년기의 자기정체성 만들기와 비판적 제라고지의 의의(2010). 평생교육학연구, 16(4). 5. 노인의 학습경험에서 도출한 노인완성학습으로서의 노인학습 개념에 대한 질적 연구(2009). 평생교육학연구, 15(1). 6. 직업생애사에 기반한 고령층여성의 고용가능성 지원을 위한 교육복지 방안(2009). 안드라고지 투데이, 12(4). 7. 여성노인의 젠더불평등 경험과 인식전환에 대한 연구(2008). 한국여성학, 24(4). 8. 평생학습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생애사 연구(2006). 평생교육학연구, 12(3). 9. 평생교육으로서의 연구방법론/생애사분석법(2003). 안드라고지 투데이, 6(1). go42431@hanmail.net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