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화의 영화

임화의 영화

(L-082)

백문임 (지은이)
소명출판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400원 -10% 0원
1,300원
22,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화의 영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화의 영화 (L-082)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91185877266
· 쪽수 : 377쪽
· 출판일 : 2015-03-30

책 소개

시인이자 문학평론가로 더 많이 알려진 임화(1908~1953)의 영화론을 본격적으로 조명한 책이다. 임화문학예술전집(2009) 등 기존 전집이나 선집에 포함되지 않았던 임화의 영화평론과 영화소설, 대담 등의 다양한 자료도 풍성하게 수록했다.

목차

책머리에-“만들어나가는 것”으로서의 조선영화

제1장 프롤레타리아 영화와 종족지(ethnography) 사이에서
1. 병약한 사람의 살아가는 생리
2. 아메리카니즘에서 러시아니즘으로
3. “우리들의 영화”
4. 매혹적인 카니발리즘
5. 자본주의적 사실
보론 1) “발달된 반동영화”, <메트로폴리스>(1927)
보론 2) 일본 프로영화 담론의 ‘식민지 영화’-<아세아의 람(嵐)>(1928)의 경우

제2장 조선영화라는 (불)안정한 위치-「조선영화발달소사」(1941)의 생산
1. ‘조선영화’의 발견
2. ‘공식적인’ 영화사 생산과 ‘고전’의 확립
3. ‘아시아 영화’와 조선영화
4. 해방 후…

제3장 영화사(史)의 좌표와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
1. ‘예술성과 기업성’의 변증법
2. “조선영화의 예술적 성격”-농촌·묘사·정서
3. 아시아에서 ‘전시’되는 내선일체
4. “만들어나가는 것”으로서의 국민영화
보론) 대지, 전체주의, 기록성-<복지만리>(1941)가 실패한 이유

제4장 조선영화의 존재론-「조선영화론」(1941)을 중심으로
1. ‘영화령’을 전유하며 말하기
2. 조선영화의 존재론-영화는 예술‘이다’
3. 조선영화의 토대
4. 조선영화의 환경
5. 예술의 수단

부록-자료
=영화평론=
1. 「위기에 임한 조선영화계」(매일신보, 1926.6.13·20)
2. 「심심풀이로」(매일신보, 1926.8.8)
3. 「조선영화를 이렇게 성장시키자-평(評)과 감독의 대중적 감시를」(조선일보, 1928.4.29~5.4)
4. 「조선영화가 가진 반동적 소시민성의 말살-심훈 등의 도량에 항하야」(중외일보, 1928.7.28~8.4)
5. 「최근 세계영화의 동향」(조선지광 83, 1929.2)
6. 「영화적 시평(時評)」(조선지광 85, 1929.6)
7. 「조선영화의 제경향에 대하여(朝鮮映畵の諸傾向に就いて)」(新興映畵, 1930.3)
8. 「서울키노 <화륜(火輪)>에 대한 비판」(조선일보, 1931.3.25~4.3)
9. 「여배우 인상기-이월화, 신일선」(모던조선, 1936.9)
10.「기계미(機械美)」(인문평론, 1940.1)
11. 「뉴-스와 만화-경일(京日) 문화영화극장」(매일신보, 1940.2.9)
12. 「<히틀러 전(傳)>」(경성일보, 1940.3.27)
13. 「조선영화와 기술」(매일신보, 1940.4.3)
14. 「유료시사회」(매일신보, 1940.4.30)
15. 「조선영화발달소사」(삼천리, 1941.6)
16. 「조선영화론」(춘추, 1941.11)
17. 「영화의 극성(劇性)과 기록성(記錄性)」(춘추, 1942.2)
18. 「조선영화론」(매일신보, 1942.6.28~30)

=좌담회, 간담회, 대담=
1. 「종합간담회-신극은 어디로 갔나? 조선영화의 새출발」(조선일보, 1940.1.4)
2. 「영화문화인 간담회」(매일신보, 1940.2.10)
3. 「총력연맹 문화부장 시과영삼랑(矢鍋永三郞)·임화 대담」(조광, 1941.3)
4. 「좌담회-조선영화의 신(新)출발」(조광, 1942.1)

=영화소설=
1. 「신문지와 말대리」(별나라, 1929.5·7)

참고문헌
간행사

저자소개

백문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면서 영상이론, 식민성, 남성성, 동물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고 연구하려고 한다. 한때 여자 귀신에 폭 빠져서 《월하의 여곡성》을 썼고, 식민지 영화를 공부하면서 《임화의 영화》 《조선영화란 하오》 《할리우드와 조선영화》 등의 책을 만들었으며, 한반도에 수입, 개봉된 외화와 영화이론 자료를 정리 중이기도 하다. 《카메라 폴리티카》 《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를 번역했는데, ‘이론’과 ‘아시아’를 맞세워보는 또 다른 번역도 해보려 한다. 한국영상문화센터(KOVIC)와 젠더연구소 언저리에서 만난 사람들과 얘기하는 걸 좋아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