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영화란 하

조선영화란 하(何)오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백문임, 이화진, 김상민, 유승진 (엮은이)
창비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8,000원 -5% 0원
2,000원
3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8,000원 -10% 1400원 23,800원 >

책 이미지

조선영화란 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영화란 하(何)오 (근대 영화비평의 역사)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36472849
· 쪽수 : 780쪽
· 출판일 : 2016-06-30

책 소개

1910년대부터 해방 이전까지 조선영화를 둘러싸고 전개된 영화비평문을 엮은 해설서이자 자료집이다. 조선영화사의 윤곽을 그리는 데 가장 핵심적인 비평문 55편을 선별해 초기영화, 변사, 사회주의 영화운동, 토키, 기업화론, 전쟁과 국책 문제 등 14개 주제를 구성했다.

목차

1 활동사진의 시대와 조선영화의 출발
해제 | 김상민
1. 활동사진을 감상하는 취미 | 해동초인(海東樵人, 최찬식)
2. 조선영화의 인상 | 이구영
3. 위기에 임(臨)한 조선영화계 | 성아(星兒, 임화)
|스크랩|
서양식을 가미한 혁신단(革新團) 활동극
이제 하루 남은 본사 주최 독자 위안회
영화극으로 화(化)한 [춘향전]
[장화홍련전] 단성사의 시사회를 보고

2 변사 전성시대
해제 | 이화진
1. 영화해설에 대한 나의 천견(淺見) | 김영환
2. 관중의 한 사람으로: 해설자 제군에게 | 심훈
3. 영화해설에 대한 편감(片感) | 김윤우
|스크랩|
영화가 백면상(映畵街白面相) | 하소(夏蘇, 조풍연)
속(續) 영화가 백면상 | 하소(夏蘇, 조풍연)
토키의 비극 | 채만식

3 [아리랑]과 조선영화의 전환
해제 | 김상민
1. 신(新)영화 [아리랑]을 보고 | 포빙(抱氷, 고한승)
2. 라디오·스포츠·키네마 | 승일(최승일)
3. 조선영화 감독 고심담: [아리랑]을 만들 때 | 나운규
|스크랩|
신(新)유행! 괴(怪)유행!

4 사회주의 영화비평의 등장과 최초의 논쟁
해제 | 백문임
1. 최근 문예 잡감 | 윤기정
2. 영화예술에 대한 관견(管見) | 만년설(萬年雪, 한설야)
3. 우리 민중은 어떠한 영화를 요구하는가?를 논하여 ‘만년설’ 군에게 | 심훈
4. 영화비판: 외국 영화에 대한 오인(吾人)의 태도 | 만년설(萬年雪, 한설야)
5. [판도라의 상자]와 프로영화 [무엇이 그 여자를 그렇게 만들었는가]를 보고서 | 김유영
|스크랩|
모의(模擬) 촬영과 [카츄샤] [사람 아닌 계집] 상영
[꽃장사] [회심곡] 합평회

5 내적 심열(心裂)의 시대
해제 | 백문임
1. 조선영화의 제작 경향: 일반 제작자에게 고함 | 윤기정
2. 현실을 망각한 영화평자들에게 답함 | 나운규
3. 조선영화예술사 | 서광제
4. 서울키노 [화륜(火輪)]에 대한 비판 | 임화
|스크랩|
『화륜』 연작을 앞두고 | 서광제
메이크업에 분망, [지하촌]의 연습

6 파시즘의 도래와 조선영화의 모색: 1932-34
해제 | 백문임
1. 최근의 조선영화계 | 서광제
2-1. 유신(流新)키네마 2회작 [임자 없는 나룻배] | 허심
2-2. [임자 없는 나룻배] 시사(試寫)를 보고 | 송악산인(松岳山人)
2-3. 내외(內外) 영화계 | 김유영
3. 조선영화운동의 신방침: 우리들의 금후 활동을 위하여 | 강호
4. 영화비평: [아름다운 희생]을 보고 | 김유영
|스크랩|
신연재 영화소설 『도화선(導火線)』

7 토키(talkie)의 토착화
해제 | 이화진
1. 발성영화에 대하야 | 현해(玄海, 박완식)
2. 영화예술 본질의 파악과 기술적 전환기 | 서광제
3. 조선서 토키는 시기상조다 | 심훈
|스크랩|
조선영화 감독 고심담: [춘향전]을 제작할 때 | 이명우

8 영화의 매체적 특이성과 영상언어에 대한 고찰들
해제 | 유승진
1. 영화예술 구성문제: 영화편집 개론 | 박철민(박완식)
2. 토키 창작방법: 토키 몽따주론의 작금(昨今) | 임울천
3. 속(屬) 연극과 영화 | 주영섭

9 [나그네]라는 사건: 조선영화의 일본 진출과 ‘조선색 ’
해제 | 이화진
1. 조선영화의 최고봉 [나그네]를 보고 | 남궁옥
2. 수출영화와 현실: 장혁주, 내도설부(來島雪夫) 씨의 [나그네] 평론을 읽고 | 안철영

10 문학과 영화의 교섭 그리고 시나리오
해제 | 김상민
1. 시나리오와 촬영대본: 작품태도에 대한 소변(小辯) | 박기채
2. 문예작품과 영화: 반(反)오리지널 시나리오 문제 | 서광제
3. 문학과 영화의 교류: 이태준·박기채 양씨 대담
4. 영화와 문학에 관한 프라그멘트 | 오영진
5. 문학과 영화: 문예작품을 영화화하는 문제 | 백철
6. 문학작품의 영화화 문제 | 채만식

11 예술과 상품 사이의 거리: 영화산업의 기업화 문제
해제 | 유승진
1. 영화기업의 장래 | 최장
2. 조선 프로듀서에 대한 희망 | 박기채
3. 조선영화의 장래: 동경영화계의 근황을 보고, 조선영화의 시장문제 | 서광제
4. 만선(鮮滿)영화의 첫 악수로 제작된 [복지만리] 수(遂)완성 | 이태우
|스크랩|
조선에서의 영화 국책에 대하여(朝鮮に於ける映畵國策に就いて) | 시미즈 시게오
성봉영화원을 놓고 ‘조영’과 ‘동보’ 암투

12 조선영화령과 영화신체제
해제 | 이화진
1. 영화령의 실시와 조선영화계의 장래 | 김정혁
2. 조선영화계 전망 | 주영섭
3. 최근의 조선영화계 | 서광제
4. 대동아전과 영화인의 임무 | 안석영
5. 조선영화론〔1942〕 | 임화
6. 어느 영화인에게 보내는 편지(ある映畵人への手紙) | 오영진
|스크랩|
지원병 영화 [그대와 나(君と僕)]를 말하는 좌담회
문화영화의 정신 | 오영진

13 사단법인 조선영화주식회사의 영화들
해제 | 이화진
1. 징병영화 [젊은 자태] 좌담회
2. 각본·연출·연기: [조선해협]을 보고 | 이춘인

14 조선영화에 대한 역사적 기록들
해제 | 유승진
1. 조선영화계의 과거-현재-장래 | 이구영
2. 영화제 전기(前記) 20년 고투의 형극로: 조선영화 발달의 소고 | 안종화
3. 조선영화발달소사 | 임화
4. 조선영화론〔1941〕 | 임화
5. 조선영화사업발달사(朝鮮映畵事業發達史) | 이찌까와 사이

저자소개

백문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재직하면서 영상이론, 식민성, 남성성, 동물 등의 주제를 연구하고 있고 연구하려고 한다. 한때 여자 귀신에 폭 빠져서 《월하의 여곡성》을 썼고, 식민지 영화를 공부하면서 《임화의 영화》 《조선영화란 하오》 《할리우드와 조선영화》 등의 책을 만들었으며, 한반도에 수입, 개봉된 외화와 영화이론 자료를 정리 중이기도 하다. 《카메라 폴리티카》 《모더니티와 시각의 헤게모니》를 번역했는데, ‘이론’과 ‘아시아’를 맞세워보는 또 다른 번역도 해보려 한다. 한국영상문화센터(KOVIC)와 젠더연구소 언저리에서 만난 사람들과 얘기하는 걸 좋아한다.
펼치기
이화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한국영화 및 극장문화를 연구한다. 「‘데프’의 영화를 찾아서 : <만종>(신상옥, 1970)과 그 주변」(2021), 「프랑스 지식인들과 전후 북한의 조우, 영화 <모란봉>(1960)」(2023), 「예술적 동정과 제국적 관용, 그 사이의 비평」(2019) 등의 논문과 『소리의 정치』(현실문화, 2016), 『조선영화란 하오』(공저, 창비, 2016), 『할리우드 프리즘』(공저, 소명출판, 2017), 『원본 없는 판타지』(공저, 후마니타스, 2020) 등의 책을 썼다.
펼치기
김상민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강사. 저서로 『조선영화와 할리우드』(공저)가 있다. 근대 초기 영화와 문학을 아우르는 시각문화 전반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유승진 (엮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강사. 저서로 『조선영화와 할리우드』(공저)가 있다. 1960년대 영화검열과 냉전의 문화정치학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364053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