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85882116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5-08-20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서문1(자즈팡)
서문2(리어우판)
해제: 중국 ‘근현대’ 문학사
서론
제1장 중국현대통속소설의 맹아
제1절 중국현대통속소설 최초의 작품_<해상화열전>
제2절 상하이 사람이 쓴 상하이 이야기 <해상번화몽>
제3절 협사소설‘책망’단계의 대표작 <구미귀>
제4절 <홍루몽>에 도전장을 던진 <루주연>
제2장 19세기 말 20세기 초 상하이의 소형 신문들
제1절 리보위안의 새로운 개척
제2절 ‘소형신문의 시조’_<유희보>
제3절 19세기 말 20세기 초 소형신문 개관
제3장 1902~1907년: 중국 현대문학 정기간행물의 첫 번째 물결
제1절 중국 현대화 문학 정기간행물의 준비기
제2절 <신소설>-중국 현대 문학 정기간행물의 첫 제비
제3절 <수상소설>, <월월소설>, <소설림> 개관
제4절 중국 소설 정기간행물의 첫 번째 물결 속의 다른 잡지 순례
제4장 1903년: 만청 견책소설 시작의 해
제1절 풍자 견책 흑막
제2절 관장소설의 사료적 가치와 현실적 의의-<관장현형기>와 <20년간 목도한 괴현상>
제3절 미완의 두 작품: 청 말 소설의 걸작-<라오찬 여행기>와 <얼해화>를 논함
제4절 계승 갱신 발전-<부폭한담>·<시성> 및 <신중국>을 논함
제5절 통속사회소설 현대화의 전인傳人-리한추
제5장 1906년 이후: 애정소설과 비극애정소설의 출현
제1절 ‘예법 수호’에 대한 타격과 ‘혼인제도’개혁의 호소
제2절 쑤만수-그 영원한 비애
제3절 세 편의 변려체 비극애정 명작 <옥리혼>, <얼원경>, <운옥원>
제6장 1909~1917년: 중국 현대 문학 정기간행물의 두 번째 물결
제1절 정격, 변격과 아속 매체의 흥망
제2절 ‘각성’이 목적이 된 <소설시보>
제3절 바오톈샤오가 독자적으로 창간한 <소설대관>과 <소설화보>
제4절 ‘보수의 보루’가 아닌 전기前期 <소설월보>
제5절 현대 정기간행물 두 번째 물결의 기타 문학잡지 개관
제7장 청淸의 멸망과 궁궐역사연의소설宮闕歷史演義小說의 흥성
제1절 쉬즈옌 등의 장고야문掌故野聞
제2절 ‘황제의 둘째 아들’-필기소설의 작가이자 소재였던 사나이
제3절 위안스카이의 칭제를 비판한 장편소설 <신화춘몽기>
제4절 백성에게 대저작을 선사한 차이둥판
제8장 1916년: ‘문제소설’의 도입과 ‘상하이 흑막’모집
제1절 <소설월보>의 ‘문제소설’도입
제2절 <시사신보>의 ‘상하이 흑막’모집
제3절 ‘5.4’전후의 흑막류 작품에 대한 비판
제4절 ‘고발’에 관한 동시대의 참조 작품
제9장 1921년: <소설월보>의 개편과 통속 정기간행물의 세 번째 물결
제1절 청사와 성사의 창립과 간행물 수량의 급증
제2절 <신성>, <홍잡지>와 <붉은 장미>
제3절 <토요일>의 복간 그리고 <반월>, <요일>, <바이올렛>의 창간
제4절 <소설세계>가 야기한 문제에 대한 단상
제10장 인정화人情化, 인도화人道化의 새로운 길- 1920년대 협사소설狹邪小說
제1절 ‘미화 - 핍진 - 매도’로 이어지는 변화과정
제2절 지옥의 언저리에서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그려낸 비이홍
제3절 창문소설 속에서 인도적인 광채를 띠게 한 허하이밍
옮긴이 후기
지은이 / 옮긴이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