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현대통속문학사 - 상

중국현대통속문학사 - 상

판보췬 (지은이), 임춘성, 유경철, 신동순, 전병석, 김봉연, 신홍철 (옮긴이)
차이나하우스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현대통속문학사 - 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현대통속문학사 - 상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중어중문학
· ISBN : 9791185882116
· 쪽수 : 544쪽
· 출판일 : 2015-08-20

책 소개

중국 현대문학 중에서도 '통속문학'의 발전 과정을 시간 순으로 개괄해 놓은 책이다. 판보췬 교수가 집필한 이 책의 문학사적 의미는 '20세기 중국문학사'가 '우파문학'을 해방시킨 것에 뒤이어, '신문학사'에서 배제시켰던 '통속문학'을 복원시킨 것이다.

목차

한국어판 지은이 서문
서문1(자즈팡)
서문2(리어우판)
해제: 중국 ‘근현대’ 문학사
서론

제1장 중국현대통속소설의 맹아
제1절 중국현대통속소설 최초의 작품_<해상화열전>
제2절 상하이 사람이 쓴 상하이 이야기 <해상번화몽>
제3절 협사소설‘책망’단계의 대표작 <구미귀>
제4절 <홍루몽>에 도전장을 던진 <루주연>

제2장 19세기 말 20세기 초 상하이의 소형 신문들
제1절 리보위안의 새로운 개척
제2절 ‘소형신문의 시조’_<유희보>
제3절 19세기 말 20세기 초 소형신문 개관

제3장 1902~1907년: 중국 현대문학 정기간행물의 첫 번째 물결
제1절 중국 현대화 문학 정기간행물의 준비기
제2절 <신소설>-중국 현대 문학 정기간행물의 첫 제비
제3절 <수상소설>, <월월소설>, <소설림> 개관
제4절 중국 소설 정기간행물의 첫 번째 물결 속의 다른 잡지 순례

제4장 1903년: 만청 견책소설 시작의 해
제1절 풍자 견책 흑막
제2절 관장소설의 사료적 가치와 현실적 의의-<관장현형기>와 <20년간 목도한 괴현상>
제3절 미완의 두 작품: 청 말 소설의 걸작-<라오찬 여행기>와 <얼해화>를 논함
제4절 계승 갱신 발전-<부폭한담>·<시성> 및 <신중국>을 논함
제5절 통속사회소설 현대화의 전인傳人-리한추

제5장 1906년 이후: 애정소설과 비극애정소설의 출현
제1절 ‘예법 수호’에 대한 타격과 ‘혼인제도’개혁의 호소
제2절 쑤만수-그 영원한 비애
제3절 세 편의 변려체 비극애정 명작 <옥리혼>, <얼원경>, <운옥원>

제6장 1909~1917년: 중국 현대 문학 정기간행물의 두 번째 물결
제1절 정격, 변격과 아속 매체의 흥망
제2절 ‘각성’이 목적이 된 <소설시보>
제3절 바오톈샤오가 독자적으로 창간한 <소설대관>과 <소설화보>
제4절 ‘보수의 보루’가 아닌 전기前期 <소설월보>
제5절 현대 정기간행물 두 번째 물결의 기타 문학잡지 개관

제7장 청淸의 멸망과 궁궐역사연의소설宮闕歷史演義小說의 흥성
제1절 쉬즈옌 등의 장고야문掌故野聞
제2절 ‘황제의 둘째 아들’-필기소설의 작가이자 소재였던 사나이
제3절 위안스카이의 칭제를 비판한 장편소설 <신화춘몽기>
제4절 백성에게 대저작을 선사한 차이둥판

제8장 1916년: ‘문제소설’의 도입과 ‘상하이 흑막’모집
제1절 <소설월보>의 ‘문제소설’도입
제2절 <시사신보>의 ‘상하이 흑막’모집
제3절 ‘5.4’전후의 흑막류 작품에 대한 비판
제4절 ‘고발’에 관한 동시대의 참조 작품

제9장 1921년: <소설월보>의 개편과 통속 정기간행물의 세 번째 물결
제1절 청사와 성사의 창립과 간행물 수량의 급증
제2절 <신성>, <홍잡지>와 <붉은 장미>
제3절 <토요일>의 복간 그리고 <반월>, <요일>, <바이올렛>의 창간
제4절 <소설세계>가 야기한 문제에 대한 단상

제10장 인정화人情化, 인도화人道化의 새로운 길- 1920년대 협사소설狹邪小說
제1절 ‘미화 - 핍진 - 매도’로 이어지는 변화과정
제2절 지옥의 언저리에서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그려낸 비이홍
제3절 창문소설 속에서 인도적인 광채를 띠게 한 허하이밍

옮긴이 후기
지은이 / 옮긴이 소개

저자소개

판보췬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31년 저장성 후저우 시에서 태어났다. 1055년 푸단대학을 졸업하고, 쑤저우대학 중문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퇴임 후 푸단대학 고대문학 연구 센터에 초빙되어 ‘고금연변(古今演變)’ 연구실의 전임연구원직을 맡고 있다. 1984년 국가 인사부로부터 ‘국가급 특별공헌 청중년 전문가 증서’를 수여받았다. 1990년 국무원 학위위원회로부터 박사생 지도교수직을 비준 받았다. <中國近現代通俗文學史>, <中國近現代通俗作家評傳叢書>등을 주편하였고, <1989~1949中外文學比較史>(공동주편), <중국현대문학사(1917~1986)>(공동 주편) 등의 저작이 있다.
펼치기
임춘성 (옮긴이)    정보 더보기
국립목포대학교 중국언어와문화학과 교수와 동 대학원 문화응용과스토리텔링협동과정 교수를 지냈다. 연구 분야는 중문학과 문화연구이고 최근 중국 비판사상 연구와 사이노폰 연구 그리고 포스트식민 번역연구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 중국현대문학학회 회장을 지냈고 동 학회 상임고문직을 맡고 있다. 『문화/과학』 편집자문위원, 상하이대학교 문화연구학부 국제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중국의 비판적 문화연구와 포스트식민 번역연구』(2024), 『동회(同懷) 40년』(2024), 『포스트사회주의 중국과 그 비판자들―개혁개방 이후 중국 비판사상의 계보를 그리다』(2021),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문화정체성과 문화정치』(2017), 『중국 근현대문학사 담론과 타자화』(2013), 『소설로 보는 현대중국』(1995), 『상하이학파 문화연구: 비판과 개입』(편저, 2014), 『상하이영화와 상하이인의 정체성』(공편저, 2010), 『21세기 중국의 문화지도: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문화연구』(공편저, 2009), 『동아시아의 문화와 문화적 정체성』(공저, 2009), 『홍콩과 홍콩인의 정체성』(공저, 2006) 등이 있다. 옮긴 책으로 『마르크스로 돌아가다: 경제학적 맥락에서 고찰한 철학 담론』(공역, 2018), 『중국현대통속문학사上』(공역, 2015), 『중국근대사상사론』(2005), 『중국근현대문학운동사』(편역, 1997), 『중국통사강요』(공역, 1991) 등이 있다. 중국어 저서로 『新世紀韓國的上海文學硏究』(편저, 2021), 『千迴萬轉: 張愛玲學重探』(공저, 2018), 『新世紀韓國的中國現當代文學硏究』(편저, 2013), 『文化上海』(공저, 2013), 『精神中國』(공저, 2013), 『視野與方法: 重構當代文學硏究的版圖』(공저, 2012) 등이 있다.
펼치기
임춘성의 다른 책 >
유경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강릉원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조교수. 2005년 『金庸 武俠小說의 ‘中國 想像’ 硏究』로 서울대학교 문학박사학위에서 취득하였다. 「“中華主義”, 韓國의 中國 想像」, 「武俠 장르와 紅色經典-양자에 관련된 ‘시간’과 ‘시간성’을 중심으로」, 「지아장커(賈樟柯)의 『샤오우(小武)』읽기-현실과 욕망의 ‘격차’에 관하여」, 「중국 영화의 상하이 재현과 해석」, 「장이머우의 무협영화, 무협장르에 대한 통찰과 위험한 시도」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신동순 (옮긴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대 중문과, 베이징대학 중문과 중국현대문학 석.박사 졸업. 현재 숙명여대 중문학부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중국 문화연구에 관심을 갖고 있다. 지은 책으로 『在“說”與“不說”之間―上海淪陷區雜誌<萬象>硏究』(中國傳媒大學出版社), 옮긴 책으로 『숨겨진 서사』(공역), 『21세기 중국의 문화지도』(공역), 『중국현대통속문학사』(상?하, 공역)가 있고, 논문으로 「중국대중문화기호 ‘공을기’의 생산과 소비」, 「<웰컴투동막골>과 <鬼子來了> 속의 문화헤게모니 양상」 등이 있다.
펼치기
전병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 중어중문학과 졸업. 단국대학 대학원 문학석사. 프랑스 파리동양어대학 중국학과 박사 수료. 북경대학 중국어언문학과 문학박사. 논문: 「중국전통미학과 경파소설」, 「중국현대문학사의 두 얼굴-서탁매」, 「중국 현대 아속문학 연구」 외 다수.
펼치기
신홍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중국학과 교수에 재직중이며 한국외국어대학교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대한중국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