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육아 > 자녀 심리
· ISBN : 9791185952666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17-01-23
책 소개
목차
PROLOGUE 아이가 예민한 이유는 불안감 때문이다
CHAPTER 01. 정해진 일상만 고집하는 아이
부모의 고민 … 칼라와 톰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샘의 이야기
부모의 서로 다른 양육 태도가 불러온 불안감 | 늘 똑같은 일상을 좋아하는 아이 | 아이가 보내는 고통의 신호 | 아이가 고집을 부릴 때, 이렇게 해보세요
CHAPTER 02. 막무가내로 떼쓰는 아이
부모의 고민 … 아만다와 존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애슐리의 이야기
‘안 돼’라는 말을 받아들일 수 있게 | 낮잠 후에 떼를 쓴다면 | 상황을 무시하고 막무가내로 떼를 쓴다면 | 변화를 싫어하며 고집을 피운다면 | 지나치게 흥분하거나 피곤해서 생기는 감정 폭발 | ‘내가 할 거야!’와 ‘해줘!’ | 불안감에 기인한 떼 부림
CHAPTER 03. 힘겨운 식사 시간
부모의 고민 … 수전과 리처드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케이트의 이야기
음식을 거부하는 다양한 불안증 | 식감에 과민한 반응을 보인다면 | 까다로운 편식쟁이에게 필요한 것 | 음식을 먹기가 두려운 다양한 이유들 | 식사 시간에 자기 방식만 고집한다면 | 바동바동, 나 웃는 거 좀 봐요! | 간식을 주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CHAPTER 04. 엉망진창 취침 시간
부모의 고민 … 모니카와 조지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태너의 이야기
수면 습관이 자립심을 길러준다 | 영아기 때 형성되는 수면 습관 | 밤이 무서운 이유와 대처 방법 | 잠들기 전에 꼭 치러야 하는 의식들이 있다면 | 분리 불안 때문이라면 | 불안감이 불러오는 수면 장애 | 침대에 눕히기가 힘들다면
CHAPTER 05. 악전고투 배변 훈련
부모의 고민 … 캐럴과 짐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엠마의 이야기
화장실을 무서워하는 이유는 무궁무진하다 | 삶을 통제하고 싶은 욕구 | 감각 문제를 점검하기 | 고통을 회피하려는 몸짓
CHAPTER 06. 전쟁 같은 목욕 시간
부모의 고민 … 타미와 릭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헤이든의 이야기
목욕을 싫어하는 이유에 주목하자 | 즐거운 목욕 시간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들
CHAPTER 07. 두려움과 공포증
부모의 고민 … 메리와 데이비드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켈리의 이야기
두려움에 맞서는 적응 기술 키우기 | ‘꼬마 스토커’에 대처하는 법 | 그림자와 어둠이 무서워요 | 괴물이 나타나요 | 벌레, 새, 동물이 무서워요 | 에어바운스 놀이터와 구름다리가 무서워요 | 병원이나 치과에 가기 싫어요 | 가면이 무서워요 | 폭풍우와 날씨에 대한 두려움 | 수집하는 행동도 불안감의 다른 표현 | 차 타기가 무서워요 | 물에 대한 두려움 | 자동 장난감 무섬증 | 시끄러운 소리에 예민하다면 | 낯선 사람을 힘들어한다면 | 사람 많은 곳을 싫어한다면 | 완벽주의 성향과 좌절감 | 먼지가 무서워요 | 계단에서 넘어질까 봐 두려운 아이 | 트라우마 때문에 생기는 두려움 | 아이의 두려움을 다스리는 방법 | 아이의 작은 귀를 의식하자
CHAPTER 08. 놀이 시간과 사회 불안
부모의 고민 … 비키와 던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제이크의 이야기
사회 불안과 분리 불안 구분하기 | 낯선 사람과 말하기가 싫어요 | 가족, 친지와 상호작용하기 | 또래 친구와 어울리기
CHAPTER 09. 걱정 많은 부모가 아이를 망친다
부모의 고민 … 샤론과 헨리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마고의 이야기
기질 대 환경, 문제는 양육 방식이다 | 어린 시절에 받은 상처 회복하기 | 독립심 길러주기 | 혼자 놀 수 있는 기술 가르치기 | 건전한 경계선을 만들어주자 |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독려하자
CHAPTER 10. 부모를 괴롭히는 분리 불안
부모의 고민 … 클로이와 잰더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알렉시스의 이야기
분리 불안에도 대응 기제가 필요하다 | 집 안에서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는 행동 | 부모의 외출을 받아들일 수 있게 | 어린이집에 가기 싫어요
CHAPTER 11. 아이가 어쩌지 못하는 감각 문제
부모의 고민 … 에밀리와 잭의 이야기
아이의 속마음 … 라이언의 이야기
감각 문제는 불안감의 공통 요소 | 감각 처리 장애의 치료법
CHAPTER 12. 위험할 수 있는 극단적인 행동 문제
극단적인 행동 구분하기 | 초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징후들
epilogue 아이의 회복력을 믿어줄 때
책속에서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혼내는 육아법을 고수하는 부모 또한 아이가 스스로 불안감을 다루는 적응 기술을 배우도록 가르칠 기회를 놓치고 있다. 아이의 불안 행동을 훈육으로서 다루는 것은 아이를 제대로 교육할 좋은 시기를 완전히 놓쳐버리는 일이다. 그렇다. 엄격한 육아법은 단기적으로 볼 때 효과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생각해보면 여러 가지 이유로 그렇지 못하다. 아이는 권위적인 부모를 두려워하고 겁내게 된다. 불안해하는 아이는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을 기쁘게 하는 것을 좋아하므로 엄격한 부모에게 착한 아이가 되려고 노력한다.
아이는 일부러 까다롭게 구는 것이 아니다. 대부분의 예민한 아이는 부모를 기쁘게 해주고 싶지, 화나게 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 기싸움을 하는 대신, 문제의 근원을 찾아 고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생산적이다. 아이는 “어떻게 하면 내가 부모님을 속상하게 만들 수 있지?” 하는 마음이 아니다. 문제는 바로 두려움에 있다.
어린 시절 수많은 다양한 도전에 직면하는 동안, 두려움은 찾아왔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할 것이다. 고맙게도 대개 유아기 아동은 매 순간 찾아오는 불안 단계를 거치면서 발전하여 결국은 다음에 찾아오는 두려움이나 장애로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결국에는 지나가버릴 두려움이 계속되기를 원하지 않으므로, 아이가 느끼는 두려움에 전적으로 영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반대로 아이가 자신이 직면한 두려움을 스스로 다룰 수 있도록 속도는 존중해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