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6061206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5-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6
1부 포로의 발생과 수용
1장 공산군 포로의 획득.15
2장 포로의 수용 및 관리.19
3장 거제도 포로수용소.29
2부 반공포로의 출현
1장 포로의 분류 심사.41
2장 송환찬성 포로와 송환거부 포로.46
3장 포로수용소장 피랍사건.50
4장 대한반공청년단의 결성.53
3부 휴전협상과 포로문제
1장 휴전협상 의제 제4항.61
2장 자원송환과 강제송환 논쟁.66
3장 미국의 입장과 협상전략.70
4장 공산군 측의 입장과 태도.78
5장 한국의 입장과 태도.82
6장 협상 타결을 위한 유엔의 노력.92
4부 반공포로 석방
1장 포로의 분리.분산 수용.99
2장 이승만 대통령의 결단.109
3장 심야의 대탈출.115
4장 반공포로 석방에 대한 반응 및 영향.122
5부 휴전협상 체결과 포로송환
1장 포로송환협정 체결.131
2장 중립국송환위원회에 맡겨진 운명.136
3장 송환 설득을 이기려는 싸움.139
4장 자유의 품으로!.145
맺음말 . 149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전쟁 중에는 전사자, 부상자, 실종자, 포로 등이 발생하게 마련인데 그 중에서 전쟁포로란 일반적으로‘ 적에게 사로잡힌 군사’를 말하며, 법적으로는‘ 적군에 생포된 전쟁 당사국 일방의 군대에 소속한 전투원이나 비전투원’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개념으로는 ‘제네바 협약’ 1)의 규정에 명시되어 있는바, 이 협약은‘ 다음 부류의 하나에 속하는 자로서 적의 수중에 들어간 자’를 전쟁포로로 규정하고 있다.
또 이 시기 다수의 공산 측 조직원들도 포로수용소로 들어오기 시작했는데, 이들은 당시로서는 정체가 드러나지 않았던 북한의 특별부대 요원들이었다. 북한에서 훈련을 받은 그들은 수용소 내에서 전복과 테러 임무를 수행하라는 명령을 받고 계획적으로 포로가 되어 수용소 내로 잠입한 후 은밀히 조직을 만들고 수용소 근처의 민간인이나 피난민을 매수하여 다른 동의 포로와 정보를 교환하는 한편, 외부의 게릴라를 통해 북한과의 연락을 시도하였다.
공산군 포로의 신원과 사정은 매우 복잡했다. 그들 중에는 북한 출신이 있는가 하면, 남한 출신이 있고, 정규 인민군 출신의 포로가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포로가 있었다. 그렇지 않은 포로의 성격은 더욱 복잡했다. 공산포로 중에서 송환을 거부하는 포로는 남한 출신자 또는 적에게 잡혀 강제로 인민군에 편입되었다가 다시 유엔군에 포로가 된 국군 장병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