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5·18과 기념의 공간

5·18과 기념의 공간

정현애 (지은이)
미디어민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5·18과 기념의 공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5·18과 기념의 공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91186094457
· 쪽수 : 370쪽
· 출판일 : 2024-08-15

책 소개

5·18을 기념하는 공간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되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활용해야 할 것인가에 관해 쓴 글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 4
추천의 글 · 8
일러두기 · 20
여는 글 · 24

1부 기념의 공간
역사와 기억 · 32
기억과 장소의 관계 · 34
기억과 기념공간 · 39
5·18의 의미 · 41
국가가 주체가 된 기념공간 조성 · 44
항쟁공간의 배제와 방치 시기(1980~1992) · 47
항쟁기억의 재현과 기념 시기(1993~2007) · 65
국립5·18민주묘지의 조성과정 · 67
상무대 옛터의 기념공간 조성과정 · 74
옛 전남도청의 기념공간 조성과정 · 82
전라남도의 기념공간 · 118
그 밖의 기념공간 · 127
기념공간의 훼손과 왜곡 시기(2008~현재) · 137

2부 기념의 주체
기념의 주체 · 156
항쟁공간의 배제와 방치 시기의 주체(1980~1992) · 159
항쟁기억의 재현과 기념 시기의 주체(1993~2007) · 170
기념공간의 훼손과 왜곡 시기의 주체(2008~현재) · 180
담론과 기념공간의 형성 · 187
광주사태론과 민중항쟁론 · 191
광주민주화운동과 민주성지론 · 194
전국화 · 세계화론 · 197
인권도시 · 문화도시론 · 198
항쟁기억투쟁론 · 209
기념공간의 형성 담론 · 212
기념공간의 변화 · 215
주체성의 재구성 · 219
기념의 주체와 담론의 변화 · 238

3부 기념의 미래
기념공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 246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 248
기념의 공간-망월동 · 257
문화의 공간-옛 전남도청 앞 광장 · 263
체험의 공간-오월길 · 266
교육의 공간 · 271
지역정체성 확립과 표지석 · 277
문제점은 없나 · 280
기념공간의 활용 · 290
기념공간이 가야 할 길 · 295

맺음말 · 306
닫는 글 · 317

[부록] 못다 한 이야기 : 정현애의 5·18
운명이 된 5·18 · 324
5월 18일 · 325
5월 19일 · 326
5월 20일 · 328
5월 21일 · 330
5월 22일~26일 · 332
5월 27일~31일 · 335
내란죄? · 337
9월 5일, 석방 그리고… · 339
5·18 진상규명운동과 재판 · 341
전두환의 광주방문 · 343
마지막 판결과 구속자 석방운동 · 347
이후의 활동 · 349

광주광역시 · 전라남도 5·18사적지 모음 · 353
참고문헌 · 364

저자소개

정현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3년생. 전남여자고등학교, 광주교육대학교를 졸업했다. 1974년 전남지역 민청학련 사건의 주역이었던 김상윤이 1977년 광주에 세운 ‘녹두서점’에 고교 동창의 소개로 당시 금서였던 리영희 교수의 『8억인과의 대화』를 사러 갔다가 그 인연으로 1978년 11월 김상윤과 결혼하게 되었다. 그 후 서점은 김상윤과 정현애 그리고 윤상원이 맡아 운영했다. 1980년 5월 17일 자정 직전, 남편 김상윤이 예비검속을 위해 권총을 들고 들이닥친 합동수사본부 요원들에 의해 불법으로 체포·연행되었다. 다음 날인 5월 18일 새벽부터, 신혼집이자 삶의 터전이었던 정현애의 ‘녹두서점’은 지역사회와 전국에 긴박한 광주의 상황을 전파하는 상황실이자 항쟁의 구심점 역할을 했다. 5·18 기간 동안 중학교 역사교사였던 정현애는 학교로 출근하지 못하고 서점을 지키면서 항쟁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항쟁 직후, 상무대 합동수사본부로 끌려가 모진 고문을 견뎌야 했다. 그러나 고문보다 더 무서운 것은 남편을 비롯한 가족들은 물론이고 동지, 시민들의 고통을 지켜봐야 했던 일이었다. 이후 기소유예(2023년 4월, 5·18 당시 받았 던 ‘기소유예’는 결국 ‘죄가 성립되지 않음’이란 판결로 결론 났다)로 석방되고 나서 녹두서점으로 모여드는 구속자 가족들의 고통을 같이 나누기 위해 5·18구속자석방운동에 전념 하였고 진실규명을 위해 오래도록 애썼다. 당시 직장이었던 학교에서는 직위 해제되었다. 후에 다시 복직되었으나 1989년 전교조 파동 때 다시 해직되었다가 1994년 복직되었다. 2002년 제4대 광주광역시의원으로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저지운동에 동참하며 사퇴하였다. 2010년 다시 제6대 광주광역시의원을 역임하였다. 이후에도 5·18 진상규명, 지역교육문제, 여성문제 등에 관심을 갖고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고, 지금은 식민사관으로 왜곡된 우리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활동에 전념하고 있다. 전남 담양군 수북면에서 남편과 함께 살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