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6245026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15-02-16
책 소개
목차
1부 지식의 세계에서
1 나는 누구인가___010
2 사랑하는 제자들아___ 017
3 공부 잘하기와 성공하기 ___027
4 나의 데미안을 찾아___041
5 보물찾기___056
6 나는 왜 사는 것인가___068
7 지식의 관리 능력이 지능이다___077
8 진실한 사랑을 얻는 법___085
9 기다려야 할 때___104
10 무지를 깨달아___113
2부 지식 그 너머의 세계로
11 안고 옮긴 발자국___122
12 가장 소중한 것___133
13 나의 선택, 창조주의 선택___ 145
14 받는 인생, 드리는 인생___161
15 과학과 지구 수비대___177
16 과학, 비과학과 초과학___194
17 확률과 믿음의 본질___211
18 내 목숨보다 소중한 것___ 225
19 시인이 되어___237
20 행복 방정식을 풀다___245
저자소개
책속에서
KAIST(한국과학기술원) 교수가 된 지 스물 여섯 해 된 2011년 4월 7일. 올 들어 학생 세 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어 우울한 KAIST 교정에 네 번째 학생이 자살했다는 비보가 전해졌다. 이런 아득한 일은 KAIST 설립 이래 처음 경험하는 일이다. 이 소식에 교수와 학생들은 어찌 할 바를 알지 못하였다. 학생들에게 감당할 수 없는 학업의 부담을 준 때문일까? 과학도이기 이전에 인간으로서 삶을 지탱할 수 있는 정신적인 기본을 다져 주지 못해서였을까?
교정 밖에서도 유명 연예인이 잇달아 자살하여 온 사회가 우울하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 것인가? 잘 살아 보겠다고 혼신의 힘을 다해 달려온 지난 60년. 경제 성장이 되면 행복할 것이라고 믿었던 우리나라. 세계에서 자살 1위 국가가 되었으니 우리는 과연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인가? 과학 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나 과학 기술이 우리의 행복과 생명까지 주지는 못한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은 오래 살고 싶을 뿐만 아니라 영원히 살고 싶어 한다. 영원한 생명을 얻기 위해 피라미드를 만들 만큼 엄청난 투자를 마다하지 않는 것이 사람의 본성이다. 그러나 좌절하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영원한 생명과 죽음 사이에서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번영과 행복 저 너머 우리가 찾아야 할 소망과 진리는 무엇인가?
학생들의 잇단 자살에 거친 물살에 실린 조각배처럼 떠내려가는 심정이다. 무엇을 할 수 있는 것이 없다. 노를 어디로 저어야 할까? 자신이 아무것도 할 수 없기에 간절히 기도할 수밖에 없다. 거친 물살 소리에 들리지도 않을 중얼거리는 기도이다. 떠나간 학우들을 애도하는 글을 남아 있는 학생들과 나누고 싶다.
학업 성적 때문에 자살할 위험에 대해서는 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할 수 있다고 가르쳐 주면 될까? 진정한 성공을 위해 공부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것을 가르치면 될까? 참고 연구하여 위대한 과학자가 되면 행복해질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무엇을 하면서 살아야 한다고 꿈을 줄 것인가? 교수는 과연 그 해답을 가지고 있는 것인가? 우리 사회는 그 답을 가진 현인이 있는가? 그런데 이 해답은 전공 지식만으로는 얻을 수 없을 것 같기에 '지식과 그 너머'의 진리를 탐구해야 할 것 같다. 진리를 알지 못하면서 자살 방지 대책이란 행정과 상담 기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란 말인가? 의사들은 우울증 증세를 보였다고 사후적으로 해설만 할 뿐이다. 솟구친 눈물을 억누르고 학생들에게 무슨 말을 해야 한다. 사랑한다고 말해야겠다. 평소에 날카로운 논문 지도를 하는 나의 분위기에 어울리지 않지만 사랑한다고 말해야겠다.
이 우울한 사건은 더 이상 KAIST만의 문제가 아니고, 온 국민과 젊은 이들의 관심사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자살은 우리 사회의 문제가 되었고, 전염병처럼 번져 나가는 어두운 그림자로 우리 사회를 짓누르기 때문이다.
학생들에게 전한 이 격려의 글이 TV에도 보도되었고, 블로그와 트윗에 전파되었다. KAIST 학생만의 반향이 아니었다. 모든 젊은이들에게 똑같은 위로가 필요했던 것이다. 스승의 사랑에 굶주린 젊은 이들이 사랑의 편지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제자들과 진리에 대해 못다 한 이야기를 나누고자 마주 앉고 싶다. 직업을 얻으려면 유망한 전공을 공부하라고 이야 기하고 싶다. 살아가는 지혜를 얻으려면 성현들이 기록한 책을 읽으라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영원한 생명을 얻으려면 성경책을 읽고 창조주를 만나라고 말하고 싶다. 짧다고 무시 하기엔 너무 긴 인생. 여름 옷만 입고 겨울까지 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말해 주어야겠다. 그러나 영원에 비하면 너무 짧아 지나치게 애착하지 말아야 할 인생. 그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이야기 나누고 싶다.
땅에 앉아 하늘을 바라보며 이야기하자. 살아 보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인생. 육십 년 인생길을 먼저 다녀와 젊은 제자들과 둘러앉아 이야기를 나눈다. 행복 방정식을 어떻게 풀 것인지, 생명 방정식을 어떻게 풀 것인지를. 한 번밖에 올라 갈 수 없는 등산로에 몇 개의 리본이라도 달아 줄 수 있기 바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