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86256091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5-11-13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서론
제1부 | 복음주의의 역사
제1장. 영국 청교도 혁명
제2장. 복음주의와 미국: 신 이스라엘 건설 프로젝트
제3장. 개신교 근본주의의 출현: 종교의 정치화
1. 1차 세계대전과 모더니즘 논쟁
2. 1970~80년대 근본주의와 정치 우익의 동맹
3. 9/11 사태와 근본주의의 미국 패권주의와의 동맹
제2부 | 부시의 테러와의 전쟁: 정치와 종교의 반동적 지형 변화
제4장. 부시의 근본주의적 정책: 정치의 종교화
1. 부시의 종교 체험
2. 9/11 테러와 선악 대립 구도 재등장
3. 선악 구도의 전통과 정치적 활용
4. ‘공동체 종교’의 부활과 국가 비극의 치유
5. 보복 전쟁을 통한 미국의 도덕성과 정치적 우월성 회복
제5장.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와의 성전(聖戰)
1.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권에 대한 선제적 공격
2. 악의 축 이라크 후세인 정권과의 종교전쟁
3. ‘테러와의 전쟁’은 ‘의로운 전쟁’이었는가?
제3부 | 오바마의 종교 친화 정책과 보수 우익의 반격
제6장. 오바마와 종교의 공적 담론으로의 초대
1. 오바마의 복음주의 수용과 포용
2. 오바마와 라인홀드 니버: 미국에 대한 성찰과 비판
제7장. 오바마의 종교성 논란과 우파의 도전
1. 오바마의 포스트모던적인 신앙 여정
2. 오바마의 멘토 라이트 목사의 반미 발언 논쟁
3. 티파티 운동과 정치·종교 우익의 도전
제4부 | 진보적 복음주의의 정치 사회적 동력
제8장. 복음주의의 사회 참여로의 성대한 복귀
1. 신복음주의의 등장과 시카고 복음주의 선언
2. 평화를 위한 오순절 행진과 복음주의 갱신 운동
3. 진보적 복음주의의 사회적 부상과 민주당과의 제휴
제9장. 미국 국가주의에 대한 진보적 복음주의의 도전
결론
※부록: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종교와 정치·경제의 긴장과 타협
B. 현대 사회에서의 종교의 사회적 위치와 역할
1. 종교와 세속화 논쟁: 분화론과 사유화론
2. 종교의 공적 재등장과 탈사유화
주(註)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왔고,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갈등 구조는 정치와 종교의 결합이 만들어낸 갈등 구조이다. 특히 정치와 종교가 연루된 갈등은 미시적 차원에서는 물론 거시적 차원에서는 더욱 해결하기가 힘들다. 최근 잔인한 테러로 전 세계를 위협하는 ‘이슬람국가(IS)'나, 9/11 사태를 일으킨 알 카이다 조직, 그에 대한 보복의 일환으로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일으킨 미국의 전직 대통령 부시의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 머리말 중에서
중요한 것은 매사추세츠 만에 식민지를 건설한 청교도들이 (…) 이스라엘에 대한 신의 통치 모델을 바탕으로 신이 부여한 이 세상에 대한 새로운 사명, 즉 세상을 구원하는 역할을 위한 나라를 세워야 한다고 확신하였던 것이다. (…) 신으로부터 선택된 국가로서의 이상은 20세기 들어 미국이 세계 강대국의 하나가 되면서 미국 외교 정책의 중요한 논리로 발전하였다.
- 제2장 복음주의와 미국: 신 이스라엘 건설 프로젝트 중에서
미국은 국가 대 국가의 전쟁을 전개했다. 테러와의 전쟁이 수사에 그치지 않았던 것이다. 전쟁에 종교적 의미와 도덕적 의미가 가미되면서 아프가니스탄은 물론 이후의 이라크 침공 작전은 성전으로 승격했고, 전쟁을 이데올로기 차원이 아니라 선과 악의 대립 구도를 상정하는 종교적 차원으로 격상시켰다.
- 제4장 부시의 근본주의적 정책: 정치의 종교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