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현대사회문화론
· ISBN : 9791186256398
· 쪽수 : 720쪽
· 출판일 : 2016-09-10
책 소개
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미국 사회의 변화
제2부 시민적 참여와 사회적 자본의 변화 경향
제2장 정치참여
제3장 단체 활동
제4장 종교적 참여
제5장 직장에서의 연계
제6장 일상생활에서의 사회적 연계
제7장 이타심, 자원봉사, 자선심
제8장 호혜성, 정직, 신뢰
제9장 소규모 단체, 사회운동, 인터넷
제3부 사회적 참여의 쇠퇴 원인
제10장 서론
제11장 시간과 돈의 압박
제12장 잦은 이사와 도시의 팽창
제13장 기술과 매스 미디어
제14장 세대에서 세대로
제15장 무엇이 시민 참여를 죽였는가? 요약
제4부 사회적 자본의 기능
제16장 서론
제17장 교육과 어린이의 발전
제18장 안전하고 유익한 동네
제19장 경제적 번영
제20장 건강과 행복
제21장 민주주의
제22장 사회적 자본의 어두운 면
제5부 무엇을 할 것인가?
제23장 역사의 교훈: 금박시대와 진보의 시대
제24장 사회적 자본가를 위한 실천 의제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시민으로서의 품성은 풍부하게 갖추고 있지만 서로 연결되지 못한 고립적 개인들로 이루어진 사회는 사회적 자본이 풍부하다고 보기 어려운 것이다.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한 1987년의 면접 조사에는 응답자의 53퍼센트가 ‘높은 사회정치적 의식을 갖고 공동체에서 다른 사람들을 열심히 돕는 시민’이라는 면에서는 자신들의 부모 세대가 더 훌륭했다고 대답했던 반면, 자기 세대가 더 낫다고 생각한 응답자는 21퍼센트에 불과했다.
… 1992년에는 미국 실제 취업 노동자의 4분의 3이 ‘공동체의 붕괴’를 이야기하면서 ‘이기심’이 미국의 ‘심각한’ 혹은 ‘극히 심각한’ 문제점이라고 응답했다. 1996년에는 ‘일반 미국인의 정직성과 성실성’은 향상하고 있다고 대답한 사람은 전 미국인의 8퍼센트에 불과했다. 지난 10년 동안 시민으로서 미국인의 관심과 참여가 떨어졌다고 대답한 사람은 무려 80퍼센트였지만, 그 반대의 긍정적 대답을 한 사람은 12퍼센트에 불과했다. 1999년의 여러 조사에서도 미국인의 3분의 2가 미국인의 시민적 삶은 최근 몇 년 동안 쇠퇴해왔으며, 지금보다는 자신들이 성장하던 시기에 사회적ㆍ도덕적 가치가 더 높았고, 미국 사회는 공동체보다는 개인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고 대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