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86351338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0-12-1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01. 창원시 성산구 사파동
조용한 주택가 문화공간서 잔잔한 여유를
사파동에서 만난 사람들
02. 통영시 봉평동
요즘 대세 아랫마을과 예스러운 윗마을 공존
봉평동에서 만난 사람들
03. 산청군 원지
걷기만 해도 기분 좋은 강변에 젊은 감각은 덤
원지에서 만난 사람들
04. 진주시 망경동
세월 머금은 골목길에 사람 향기 물씬
망경동에서 만난 사람들
05. 김해시 봉황동
‘신의 거리’라 불리던 곳 ‘힙’한 감성 입고 활기
봉황동에서 만난 사람들
06. 창녕군 우포늪
광활한 습지 위 감성 충전할 문화 공간이 콕콕
우포늪에서 만난 사람들
07. 밀양시 내일동·내이동
가야시대 흔적부터 항일 운동 역사가 발 아래에
내일·내이동에서 만난 사람들
08. 창원시 진해구 군항마을
한국 근현대 100년 역사 발 닿는 거리마다 숨쉬네
진해에서 만난 사람들
09. 창원시 마산합포구 창동예술촌
다시 태어난 도심 골목, 세월 흔적 정겨워라
창동에서 만난 사람들
10. 사천시 삼천포 해안
그리움 품은 항구변 아기자기한 매력이 넘실
삼천포에서 만난 사람들
11. 거제시 거제면
난개발 피한 마을, 시간의 발자국 오롯이
거제면에서 만난 사람들
12. 함양군 지곡면
고택 멋에 반하고 정겨운 일상에 취하고
개평마을에서 만난 사람들
13. 양산시 물금읍
시골·도심 함께 하는 이 마을에 즐거움도 아기자기
물금읍에서 만난 사람들
14. 함안군 함안면
선비들 거닐던 무진정 연못가 고요한 풍경 여전
함안면에서 만난 사람들
15. 남해군 삼동면 지족마을
멸치만 떠올리면 섭섭… 젊은 취향 입은 옛 거리
지족마을에서 만난 사람들
16. 합천군 용주면
고령 박씨 집성촌엔 화백도 반한 풍경이
용주면에서 만난 사람들
17. 고성군 동해면
고대역사 잠든 뭍에 없는 듯 조용한 고인돌 하나
동해면에서 만난 사람들
18. 의령군 정곡면 장내마을
마음 걸림 없이 걷는 길 그곳이 바로 명당
정곡면에서 만난 사람들
19. 진주시 문산읍
기차소리 저문 곳 유유히 걷다
문산읍에서 만난 사람들
20. 창원시 의창구 도계동
도심 속 카페골... 풍미 유혹
도계동에서 만난 사람들
21. 통영시 정량동
걸어가는 나폴리 새단장
정량동에서 만난 사람들
22. 김해시 관동동
율하천 문화공간… 가야유적 공원서 ‘꿀휴식’
관동동에서 만난 사람들
23. 거창군 거창읍
거창 발전 자양분 된 헌신
거창읍에서 만난 사람들
24. 하동군 악양면
가을 끝자락에 앉아 쉬어가는 하루
악양면에서 만난 사람들
25. 남해군 남해읍
마을 지키는 고목 아래 젊은 감성 활기
남해읍에서 만난 사람들
책속에서
통영 미륵산 등산로 가는 길에 있는 봉평동이 최근 통영 여행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전혁림미술관과 봄날의 책방을 중심으로 여행객들이 늘어나면서 주변으로 아기자기하고 개성 있는 카페와 식당들이 속속 생기기 시작했다. 주민들과 등산객이 오가던 봉수로가 어느새 젊은이들이 많이 찾는 예쁜 거리로 변신했다.
봉평동의 옛 지명은 봉수동烽燧洞, 토박이말로는 봉숫골인데, 봉수가 있는 마을이란 뜻이다. 여기서 봉수는 미륵산에 있는 봉수대를 말한다. 주민들에게는 이 봉숫골이란 이름이 더 친숙하다. 통영 봉숫골은 4월이면 벚나무 가로수가 꽃망울을 터뜨려 벚꽃터널 이 장관을 이루는 명소다. 용화사거리에서 시작해 봉평주공아파트 지나 용화사 주차장까지 600m 정도 되는 벚나무 길을 따라 걸어봤다.
(2. 통영시 봉평동 中)
최근 망경동에 젊은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졌다. 바로 2020년 4월 문을 연 한옥 카페 은안재 덕분이다.
은안재는 은혜롭고 편안한 집이라는 뜻으로 남은숙(31·사진) 대표가 1954년 지어진 집을 카페로 고쳤다. 한옥과 일본식 건축 양식이 섞인 이곳은 손님이 발 내딛는 순간부터 사진을 찍게 만드는 마술을 부린다. 옛 감성이 물씬 풍기는 인테리어가 한몫한다.
부산에서 나고 자란 남 대표는 남자친구가 있는 진주에 레트로복고 감성이 묻어나는 카페를 차리고 싶었다. 여러 동네를 수소문하다 망경동이 눈에 들어왔다. 그는 “촉석루가 보이고 오래된 집들이 많아 할머니 집에 온 것 처럼 편안했다”며 “70년 동안 한 자리를 지킨 이 집을 새롭게 리모델링하기보다는 그대로 보존하며 역사의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고 말했다.
(4. 진주시 망경동 中)
우포생태체험장에서 다시 차로 5분을 달려 창녕군 이방면 안리에 있는 우포시조문학관을 찾았다. 우포늪 4개 습지 중에서 목포늪 한쪽에 있는 2층 건물이다. 원래는 우포늪 보전을 위해 오랫동안 노력해온 환경단체 ‘푸른우포사람들’ 사무실 건물이다. 물론 지금도 1층은 사무실로 쓰고 있고, 2층을 문학관으로 쓰고 있다.
2016년 처음 개관할 때는 이우걸문학관이었다. 창녕에서 태어나 40여 년 현대시조의 길을 개척한 이우걸 시조시인 이름을 붙였다. 우포시조문학관으로 바꾼 지금도 관장은 이우걸 시인이 맡고 있다. 문학관에는 이우걸 시인이 낸 책들과 작품들이 전시돼 있다. 또 시인이 쓰는 조그만 작업실도 있다. 작은 문학관이지만, 매년 여름의 끝자락이면 입구 나무 그늘서 운치 있게 우포시조문학제가 열린다. 우포늪에서 가까운 창녕군 이방면 안리에 산토끼노래동산을 둘러봐도 좋다. 국민 동요 ‘산토끼’ 발상지가 창녕인데 이를 주제로 만든 공원이다. 이곳은 아이들하고 가면 즐거운 게 많다.
(6. 창녕군 우포늪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