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여행 > 국내 여행에세이
· ISBN : 979118635116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7-08-28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풍경의 발전
남해바래길의 탄생
남해 섬사람들의 고단한 삶의 길 따라 느릿느릿 걸어볼까
1코스 다랭이지겟길
평산항 ~ 가천다랭이마을 16km 5시간
2코스 앵강다숲길
가천다랭이마을 ~ 벽련마을 18km 6시간
3코스 구운몽길
벽련마을 ~ 천하마을 15.6km 5시간 30분
4코스 섬노래길
천하마을 ~ 미조항 ~ 해안도로 ~ 천하마을 12.4km 4시간 30분
바래길 외전
남해대교를 지나 설천해안도로를 따르다
13코스 이순신호국길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 유허 ~ 노량마을 7.8km 2시간
7코스 고사리밭길
적량마을 ~ 동대만휴게소 14km 4시간 30분
5코스 화전별곡길
미조면 천하마을 ~ 삼동리 물건방조어부림 17km 6시간
6코스 말발굽길
삼동면 지족마을 ~ 창선면 적량마을 15km 5시간
8코스 진지리길
창선면 동대만휴게소 ~ 창선·삼천포대교 10km 3시간
바래길 외전 2
강진만을 낀 창선면 해안도로
14코스 망운산 노을길
남해군 서면 서상마을 ~ 노구마을 10.4km 3시간
에필로그
외로운 객 푸근하게 보듬어준 바래길, 다시 올게 꼭
저자소개
책속에서
2017년 8월 현재 남해바래길은 10개 코스가 열려있다. 구체적으로 1코스 다랭이지겟길, 2코스 앵강다숲길, 3코스 구운몽길, 4코스 섬노래길, 5코스 화전별곡길, 6코스 말발굽길, 7코스 고사리밭길, 8코스 동대만진지리길, 13코스 이순신호국길, 14코스 망운산노을길이다. 이 중 8코스 진지리길은 길은 연결되어 있지만 이정표 등 표지가 아직 없다고 한다.
- 남해바래길의 탄생
1코스 마지막 마을인 가천마을은 아마 전국에 가장 많이 알려진 곳일 테다. 비탈을 깎아 만든 가천마을 다랭이논은 국가가 지정한 유형문화재명승다. 유명한 관광지인 까닭에 숙박할 곳도 먹을 곳도 차를 마실 곳도 많다.
- 1코스 다랭이지겟길
남해 제1경인 금산은 소금강, 남해금강으로 불릴 만큼 절경을 자랑하는 명산이다. 산은 해발 681m로 높다고 할 수 없지만 기암괴석으로 덮여 풍경이 남다르다. 바위 형상을 중심으로 모두 38경이 볼거리로 지정돼 있다. 금산은 애초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산속에 보광사를 지으면서 보광산으로 불렸다. 그러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이 산에서 백일기도를 한 끝에 조선 왕조를 건국하게 됐다. 이성계는 산신에게 감사하다는 뜻에서 산 전체를 비단으로 두르겠다 약속했고 그래서 비단 금자를 써서 금산(錦山)이 됐다고 전한다.
- 3코스 구운몽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