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왕릉, 왜 그곳인가?

왕릉, 왜 그곳인가?

(왕릉 조성 경위를 통해 본 조선 왕릉 비사)

황용선 (지은이)
청어람M&B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2,400원 -10% 0원
1,800원
30,600원 >
34,200원 -5% 0원
720원
33,480원 >
32,400원 -10% 0원
1,800원
30,600원 >
34,200원 -5% 0원
1,440원
32,760원 >
11st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왕릉, 왜 그곳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왕릉, 왜 그곳인가? (왕릉 조성 경위를 통해 본 조선 왕릉 비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91186419700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21-03-30

책 소개

저자는 2009년 조선 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후, 우리나라에 있는 조선 왕릉을 모두 돌아보았다고 한다. 왕릉을 둘러보며 생긴 궁금증 중 왕릉의 자리가 어떻게 정해졌으며, 그곳에 위치하기까지의 과정은 어떠했는지 집요하게 추적하였다.

목차

서문
도움말

무학대사가 점지했다는 신후지지
건원릉(建元陵, 태조)
태종에 의해 강제 이장된 능
정릉(貞陵, 태조 계비 신덕왕후)
262년 만에 칭종된 왕의 능
후릉(厚陵, 정종, 정안왕후)
왕릉 최초 수릉지에 조성된 능
헌릉(獻陵, 태종, 원경왕후)
조선 왕조를 100년 연장시켰다는 능
영릉(英陵, 세종, 소헌왕후)
72년을 구천에서 돌다 잠든 능
현릉(顯陵, 문종, 현덕왕후)
몰래 묻힌 무덤에서 진봉된 능
장릉(莊陵, 단종)
시누이 문중 땅에 묻혔다 177년 만에 추복된 능
사릉(思陵, 단종비 정순왕후)
신하의 조상 묘 터에 묻힌 늑장 능
광릉(光陵, 세조, 정희왕후)
조선조 최초 추존왕 능
경릉(敬陵, 추존왕 덕종, 소혜왕후)
남의 묘를 이장시키고 조성된 능
공릉(恭陵, 예종 원비 장순왕후)
위차가 바뀌었다는 논쟁이 있는 능
창릉(昌陵, 예종, 계비 안순왕후)
생사를 언니와 함께하는 능
순릉(順陵, 성종 원비 공혜왕후)
작은할아버지 묘 터에 조성된 능
선릉(宣陵, 성종, 계비 정현왕후)
귀양지 강화에서 이장된 묘
연산군묘(燕山君墓, 연산군, 거창군부인)
서인 묘에서 182년 만에 진봉된 능
온릉(溫陵, 중종 원비 단경왕후)
정적 제거 수단으로 이용되어 천릉된 능
희릉(禧陵, 중종 제1계비 장경왕후)
여인의 욕심과 질투심 때문에 천장된 능
정릉(靖陵, 중종)
남사고가 잡았다는 능
태릉(泰陵, 중종 제2계비 문정왕후)
계모 때문에 효행을 훼방 당한 능
효릉(孝陵, 인종, 인성왕후)
모후의 그늘을 벗어나지 못한 능
강릉(康陵, 명종, 인순왕후)
사실상 유일한 동원삼강릉
목릉(穆陵, 선조, 원비 의인왕후, 계비 인목왕후)
세 모자가 서로 의지하고 있는 묘
광해군묘(光海君墓, 광해군, 문성군부인)
아들 덕에 추봉된 능
장릉(章陵, 추존왕 원종, 인헌왕후)
뱀과 전갈 때문에 천릉한 능
장릉(長陵, 인조, 원비 인렬왕후)
이유없이 지아비와 가장 멀리 있는 능
휘릉(徽陵, 인조 계비 장렬왕후)

조선 왕릉 최초의 동원상하릉
영릉(寧陵, 효종, 인선왕후)
광중과 봉분의 방향이 다른 능
숭릉(崇陵, 현종, 명성왕후)
시신도 식기 전 후비 간택 꼴을 본 능
익릉(翼陵, 숙종 원비 인경왕후)
애틋한 계비와 함께한 능
명릉(明陵, 숙종, 제1계비 인현왕후, 제2계비 인원왕후)
세자빈 묘에서 진봉된 능
혜릉(惠陵, 경종 원비 단의왕후)
조선 왕릉 두 번째 동원상하릉
의릉(懿陵, 경종, 선의왕후)
아직도 지아비를 기다리고 있는 능
홍릉(弘陵, 영조 원비 정성왕후)
왕릉 최초로 천장지에 조성된 능
원릉(元陵, 영조, 계비 정순왕후)
세자에서 황제까지 오른 능
영릉(永陵, 추존왕 진종, 효순왕후)
아버지 때문에 못한 왕, 자식 덕분에 오른 능
융릉(隆陵, 추존왕 장조, 헌경왕후)
흉지에서 겨우 벗어나 천릉한 능
건릉(健陵, 정조, 효의왕후)
세도정치의 희생물로 천릉된 능
인릉(仁陵, 순조, 순원왕후)
두 번 천장한 유일한 능
수릉(綏陵, 추존왕 문조, 신정왕후)
목릉 천장지에 조영된 삼연릉
경릉(景陵, 헌종, 원비 효현왕후, 계비 효정왕후)
318년 전 구정릉(舊靖陵) 자리에 조성된 능
예릉(睿陵, 철종, 철인왕후)
초혼장 능을 천장하여 합장한 능
홍릉(洪陵, 고종, 명성황후)
일제가 정한 삼합장릉
유릉(裕陵, 순종, 원비 순명효황후, 계비 순정효황후)

[더 읽어 보기]
변고를 겪은 선릉과 정릉
[부록]
조선 왕릉 조성 경위와 변천 일람

참고문헌
이미지 출처

저자소개

황용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9년 파주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향교의 전교를 역임하신 ‘할아부지’께 『 명심보감(明心寶鑑)』을 배우면서, 옛것을 중히 여기는 정신을 갖게 되었다. 학업을 마친 후 평생 공직에 봉직해 오신 ‘아부지’의 뒤를 이어, 36년간 경기도와 도내 지자체에서 근무했다. 정년 후에는 고향 파주에서 영농을 하면서, 시간적 여유가 생겨 평소 관심을 가졌던 분야의 책과 자료를 접하며, 나름 기록한 글들이 많이 부족한 이 책을 잉태하는 계기가 됐다.
펼치기

책속에서



세종은 자신의 산릉지로 택정해 놓은 곳에 소헌왕후의 능지를 정하도록 명한다. 그러나 그곳은 물길(물이 흐르는 곳)이 있고, 물길은 풍수적으로 불길한 곳이라고 음양가들이 만류하였으나 “다른 곳에 복지(福地)를 얻는 것이 선영 곁에 장사하는 것만 하겠는가? 화복(禍福)의 설(說)은 근심할 것이 아니다. 나도 마땅히 같이 장사하되 무덤은 같이하고 실(室)은 다르게 만들라.”고 하교하며, 부모의 곁에 묻히는 걸 고집하였다.


광중에 묘에 성종의 능을 만든다면 인수대비의 입장에서 시숙부(媤叔父=媤三寸)의 묘를 파내는 것은 둘째이고, 작은아들의 묘를 위해 큰아들의 묘도 파내야 하는 상황이니 어머니로서 어찌 통절함이 없겠는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