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환상 너머의 통일

환상 너머의 통일

(남북한에 전하는 동서독 통일 이야기)

이대희, 이재호 (지은이)
숨쉬는책공장
15,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950원 -10% 2,500원
770원
15,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850원 -10% 540원 9,220원 >

책 이미지

환상 너머의 통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환상 너머의 통일 (남북한에 전하는 동서독 통일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통일문제
· ISBN : 9791186452486
· 쪽수 : 228쪽
· 출판일 : 2019-10-02

책 소개

<프레시안> 이대희 기자와 이재호 기자가 독일 현지에서 독일 통일 당사자들과 국내외 통일 전문가, 북한 이탈 주민 등을 취재하고 인터뷰한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목차

들어가며

1장 세대별 통일 이야기
1. 동독은 통일을 바라지 않았다: 예나 플뤼겔 가족과 베어톨트 씨 이야기
자유가 중요했다 | 시민 혁명 | 서쪽에서는 샴푸 향기가 났다 |통일을 원한 건 아니다 | 통일 사회에 적응하기
뒷이야기_한국과 닮은 동독 가정
2. 독일의 재통일: 동독 1020세대의 기억
충성심을 보여라 | TV에 나오는 시계는 동그랗다 | 통일이 아니었다면? | 독재의 기억은 남아 있다
뒷이야기_한국인? 석 달 만에 처음 만났어요
3. 통일은 ‘움직이지 않는 이주’: 앤더스 씨 이야기
우리에 갇힌 동물이 된 기분 | 베를린 장벽 붕괴 20주년, 서독의 기억만 남았다 | 동독 출신이기 때문에 가지는 수치심 | 메워야 할 간극
뒷이야기_동독을 팝니다

2장 통일은 여전히 진행 중
1. 나라가 분단되자 회사도 분단됐다: 칼 자이스 스토리
한 가족이 적으로 | 재통일의 여파 | 정리해고 | 눈물의 구조조정 | 다시 하나로 | 인내심이 필요하다
뒷이야기_서울과 너무도 다른 예나
2. 통일 독일은 실패작: 오마지치 씨 이야기
서에서 동으로 | 동독의 싱글맘 | 공동체에 대한 향수
뒷이야기_베를린에서의 단상
3. 여성, 통일의 피해자: 아우가 교수와의 만남
동독 여성은 재통일의 피해자 | 동독 여성 인권 > 서독 여성 인권 | 자본주의는 절대선이 아니다 | ‘제3의 길’을 찾아야 한다
뒷이야기_역시 맥주의 나라, 독일
4. 공산 독재의 그늘: 과거사 청산 문제
탈출 실패… 슈타지에게 끌려가다 | 동독과의 싸움 | 외국 망명 그리고 귀국 | 독재의 창은 약하다 | 남북한에 전하는 통일 선배의 조언
뒷이야기_베를린 전체가 분단 박물관
5. 잔존한 동서 격차 ― 통일 독일의 그림자: 프라이당크 감독과의 만남
영화감독을 꿈꾼 동베를린 청년 | 바닥에서 상공으로 | 서독 주도 재통일의 그늘 | 베를린이라는 환상
뒷이야기_동베를린 vs 서베를린
6. 극우 현상? 한국도 다르지 않다: 힐베트르 시장 이야기
구 동독은 지금 세계와 대화하는 중 | 독일 극우 사태 | 그래도 통일이 답
뒷이야기_켐니츠의 오늘
뒷이야기_작은 프라하 같은 드레스덴

3장 미래
1. 통일 프로세스에 돌입하면, 시간이 없다: 프랑크 교수와의 만남
통일은 순식간에 다가온다 | ‘진정한’ 통일이 어려운 이유
뒷이야기_그는 왜 박근혜 ‘드레스덴 연설’을 비판했나?
2. 독일서 바라보는 한국은 아시아의 등대: 정범구 대사와의 만남
불투명한 북한의 평화 의지 | 독일 통일에서 배울 점
뒷이야기_재편되는 세계 질서가 통일에 미칠 영향
3. 우리부터 바뀌어야 미래가 다가온다: 북한 이탈 주민 이야기
‘자유의 땅’의 하층민 | 한국의 이등 국민 | 독일의 실패를 거울로
뒷이야기_힐끔힐끔

저자소개

이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6년에 기자 생활을 시작했다. 2008년부터 <프레시안>에서 일했다. 현재는 <프레시안> 사회부 소속이다. 모든 사람이 자신을 그렇게 보듯, 자신을 이른바 ‘낀 세대’ 혹은 ‘낀 존재’로 생각하며 살아왔다. 《주식 나비효과》(공저), 《한국의 워킹푸어》(공저)를 썼다.
펼치기
이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북한에 대해서는 1도 관심이 없었다. 그러다 군대에서 천안함 사건을 온몸으로 겪은 뒤 분단된 한반도에 대해 어렴풋이나마 인식하게 됐다. 2012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뒤 100% 타의로 북한 문제를 다루면서 어느새 인생의 5분의 1정도를 북한과 함께했다. 분단됐던 독일과 예전 동독 사람들이, 그래서 이제는 좀 달리 보인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는 같은 말을 쓰는 사람들의 결합은 상대적으로 쉬우리라 생각한다. 남북 합작 사업이 거론될 때마다 이 같은 신화를 자주 목격한다. 언어가 통하니 남북 교류도 더 쉽지 않겠느냐는 생각은 어찌 보면 타당해 보이지만, 실은 완전한 허구다. 언어는 사람이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생애 경험을 바탕으로 뱉어 내는 정체성의 총집합체다.
-들어가며 중에서


구 동독인들이 ‘자유’와 ‘통일’을 동일시했으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민주적 체제로의 전환과 통일은 완전히 다른 맥락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를 비롯해 우리가 현지에서 만난 이들 상당수도 베를린 장벽 붕괴 당시 동독인들이 원한 건 민주주의와 자유였지, 통일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통일 구호는 장벽 붕괴 한참 후에야 나왔다는 평가가 정설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6452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