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46363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2-11-1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나는 고백한다, 나는 나쁜 교사였다
1부. 나는 어떤 교사로 살았는가?<성찰>
01. 교사 23년,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만들다
02. 교사 10여 년 만에 생긴 내 별명을 공개하다
03. 화려함 뒤에 숨은 과거를 돌아보다
2부. 교육은 현실이다<진통>
01. 아이 눈물에서 내 실체를 들키다
02. 교육, 경제 논리에 잠식되다
03. 작은 학교에서 희망을 찾다
04. 화려한 특성화 교육 프로그램으로 날개를 달다
05. 학생의 재발견: 다중 지능 이론을 만나다
06. 교육을 디자인하기 시작하다
07. 교육의 정상을 맛보다
08. 단순 교육 프로그래머로 전락된 나를 발견하다
3부.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시작되다<성숙>
01. 교사 17년 차, 교육의 본질을 다시 고민하다
02. 교육의 본질, 그 시작점을 발견하다
03. 행.복.교.육.론을 만나다
4부. 배움을 디자인하다<변화>
01. 학교 속, 아이들의 사생활을 공개하다(feat. 함백초)
02. 교육 희망을 보다: 교육열 급상승, 재충전
03.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1] 교육은 부드러움이다
04.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2] 교육은 함께다
05.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3] 교육은 칭찬이다
06.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4] 교육은 지속성이다
07.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5] 교육은 인내다
08.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6] 교육은 감동이다
09.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7] 교육은 관계다
10.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8] 교육은 습관이다
11.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09] 교육은 훈련이다
12.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10] 교육은 추임새다
13.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11] 교육은 놀이다
14. [교사의 회복탄력성 프로젝트 12] 교육은 이벤트다
15.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1] 교육은 삶이다
16.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2] 교육은 모델이다
17.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3] 교육은 공감이다
18.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4] 교육은 광산업이다
19.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5] 교육은 보석 가공업이다
20.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6] 교육은 오케스트라다
21. [교사중심교육과정 프로젝트 07] 교육은 양육이다
22. [21세기 인재상 프로젝트 01] 생활 밀착형 인성 교육을 실천하다
23. [21세기 인재상 프로젝트 02] 교과 연계형 인성 교육을 실천하다
24. [21세기 인재상 프로젝트 03] 달라진 우리 아이들
<교사의 회복탄력성 톡! Talk?> 철마는 달린다
│에필로그│ 교사가 달라졌다, 그리고 아이들이 달라졌다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런 나의 과거를 굳이 표현하자면 마치 거북이 등껍질 같지 않았나 싶다. 아니 어쩌면 극심한 가뭄 끝에 메말라 결국은 쩍쩍 갈라진 논바닥과도 같이 굳어 있던 상태, 그것이 내 마음의 상태였고 생각의 깊이였고 처절한 내 모습이었다. 그렇게 말라 비틀어져 버릴 정도로 쩍쩍 갈라진 논바닥을 촉촉이 적실 농업용수와도 같은 계기를 만나게 되었다. 참으로 예기치 못한 지점에서 그 계기와 맞닥뜨렸다.
- <1부. 성찰. 나는 어떤 교사로 살았는가?>
6년 동안이나 최하위 팀을 맡고 있었던 그랜트 코치가 느낀 두려움, 낙심이라는 벽은 남의 이야기가 결코 아니었다. 언제부터인가 나에게도 무서운 거인으로 버티고 있었던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맞물렸다. 그러던 중 그랜트 코치의 중심이 바뀌기 시작했다. 내가 할 수 있는 단 한 가지는 지금까지 한 번도 해 보지 않았던 최선밖에 없다는 것, 그랬을 때 그 어떤 결과에도 만족하고 기뻐할 수 있겠다는 확신을 갖게 된것이다
- <2부. 진통. 교육은 현실이다. “믿음의 승부”라는 영화를 보고>
최근 들어 심리학을 비롯한 학계 각 분야에서는 성공한 사람이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한 사람이 성공에 이른다는 사실을 연이어 밝혀냈다. 우리가 지금까지 추구해 왔던 ‘고진감래형’ 교육 방식인 일명 ‘선 성공, 후 행복’이라는 공식에서 탈피하여, 즉 ‘미래의 행복을 위해 성공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행복을 가르쳐 성공을 불러오는 것’으로 재정립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다. 변화는 변화인데 행복한 변화였다. 그것도 외적인 것만이 아닌 내적인 행복이다. 다시 말해 마음 중심에서 정말 행복한 아이들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변화를 통한 행복 말이다. 그 행복을 내가 먼저 꿈꾸기 시작했다
- <3부. 성숙. 교사의 회복 탄력성이 시작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