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고고학
· ISBN : 9791186478493
· 쪽수 : 492쪽
· 출판일 : 2015-10-19
책 소개
목차
서문 | 3
참고문헌 | 481
후기 | 489
서 론
1. 중국 현대고고학 학파 및 변화양상 | 15
2. 20세기 상반기 중국고고학사 연구 | 35
3. 고고학사 연구방법론에 대한 사고 | 58
제1장 1928년 이전의 중국고고학
1. 20세기 초 서양 고고학의 발전 및 중국에 대한 영향 | 73
2. 새 연구자료 확충 및 갑골학 연구의 의미 | 76
3. 과학사상 및 현장연구의 도입 | 80
4. 고고학에 대한 전통학자들의 인식 및 실천 | 88
5. 이제와 중국 과학적 고고학의 맹아 | 102
6. 1928년 이전의 중국 고고학의 특성 | 119
제2장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사상, 및 조직적 준비
1. 중국 현대 고고학사에서 차지하는 부사년의 지위와 역할 | 124
2. 현대 학술기관 ? 역사언어연구소의 설립 | 132
3.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 사상의 시작 | 144
4. 결론 | 157
제3장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의 탐색 단계(1928~1929)
은허 발굴의 제1단계
1. 안양발굴의 서막 | 164
2. 제1차 은허 시굴 및 그 특징 | 168
3. 이제ㆍ동작빈의 2차 발굴 및 방법 개선 | 179
4. 제3차 발굴 및 중대한 수확 | 193
5. 중앙과 하남지역의 고고학 발굴권 쟁탈 | 199
6. 결론 | 205
제4장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의 발전 단계(1930~1934)
성자바위(城子崖)에서 은허 제9차 발굴에 이르기까지
1. 성자바위 발굴과 용산문화(?山文化) 연구 | 211
2. 안양 제4차 발굴과 ‘은허표몰설(殷墟漂??)’의 해결 | 225
3. 제5차 발굴과 ‘후강3첩층’의 발견 | 236
4. 하남고적연구회 및 그 초기 활동 | 243
5. 제6차부터 9차까지의 은허 발굴 및 발굴방법의 진보 | 251
6. 유형학 탐색과 고고학 해석 | 259
7. 결론 | 264
제5장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의 전성시기(1934~1937)
은허 제10차~15차 발굴
1. 양사영이 지도한 은허 발굴 및 중대한 성과 | 273
2. 은허의 제13차~15차 발굴과 유적 발굴 방법의 성숙 | 287
3. 산동 고적회의 조사와 양성진(?城?) 발굴 | 298
4. 역사시대 고고학에 대한 하남성 고적회의 노력 | 301
5.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 활동이 안휘성으로 확대 | 307
6. 현장고고학 기술과 정리 방법의 형성과정 | 311
7. 결론 | 322
제6장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의 지속적 발전 단계(1937~1949)
항일전쟁과 국내전쟁 시기의 고고활동
1. 오금정과 서남지역 고고학의 개척 | 334
2. 서북지역에서의 하내의 고고학 활동 및 성과 | 340
3. 석장여의 현장발굴과 역사언어연구소 민족고고학 탐색 | 352
4. 전쟁시기 역사언어연구소의 고고학 연구 | 365
5. 결론 | 403
제7장 중화중화민국 시기 중국 과학고고학의 특징과 역사 유산
1. 역사언어연구소 고고학의 기본 특징 | 447
2. 학술과 사회에 미친 과학고고학의 영향 | 463
3. 비평과 반성 | 467
책속에서
근대적 시각에서 보면 중국의 과학연구는 그 시작이 늦은 편이다. 그 중 비교적 빨리 시작된 지질학 연구도 100년의 역사밖에 안 될 정도로 학문분야의 연구는 늦게 시작되었다. 지질학의 영향으로 시작된 고고학 연구는 그로부터 10여년이 지나서였다. 근대 과학의 뚜렷한 특징은 ‘시스템을 구축하고 규모를 갖춘 연구를 하는 것’으로, 이는 바로 베이컨이 말하는 ‘그룹연구’이다. 중국이 근대사회로 접어들면서 과학연구분야에서 가장 휘황한 성과를 이룩한 것이 바로 지질학과 고고학이다. 국가 전문연구기구인 중국 지질조사소(1916년)와 중앙연구원 역사언어연구소(1928년)가 설립되면서 지질학과 고고학은 짧은 시간에 중국의 자연과학과 인문과학 분야에서 눈부신 명주가 될 수 있었다.
서문 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