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8658871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지은이의 말
Part 1 정치편_중국정부 정책의 배경을 이해하라
중국 정치회의 타임테이블을 보면 매타이밍을 알 수 있다
반부패정책과 중국증시의 관계
정책을 결정한 시진핑의 한마디 / 호랑이 사냥꾼, 시진핑 / 백주 관련 기업의 주가를 떨어뜨린 호랑이 잡기 / 정치 상황에 따라 투자기간을 달리하자
중국을 이해하기 위한 정치현황 브리핑
중국의 권력, 집단지도체제 / 인맥에 다른 파벌, 당파 / 집단지도체제 7인방의 정책 방향성 / 중국의 권력기구 / 시진핑 정권 1기, 그들의 성향을 파악하자
Part 2 경제.정책편_시진핑 정부의 정책을 파악하자
중국정부는 무슨 회의가 이렇게 많은 것일까
중국 연간회의의 중요성 / 중국 연간회의 일정부터 파악하라
수급보다 정책이 우선하는 국가, 중국
2015년의 정책, 개혁 / 2016년 주목 키워드, 13차 5개년 계획 / 가장 눈여겨보아야 할 개혁, 금융시스템 / 농민공 문제 해결의 시작, 호구제도 개혁
2015년, 광역화 정책에 발동이 걸린다
신도시화 정책 / 징진지 프로젝트와 장강경제통합권 / 해상과 육상을 잇는다, 일대일로 정책 / 광역화의 핵심은 철도
숨쉬기의 절박함, 중국의 환경오염
최악에 최악을 거듭하는 중국의 하늘 / 신에너지 자동차 분야, 대기오염의 수혜산업 / 못사게 하면 빌린다, 렌터카 시장
바쁜 엄마들의 수요 충족, 온라인산업
건강하고 아름다운 노후에 대한 욕망, 안티에이징 산업
Part 3 기업편_기업의 이해가 투자의 시작이다
테마 1_ 정치개혁 수혜주 삼공경비 통제에도 틈새는 있다
관용차로 지정된 홍치 H7, 이치자동차
테마 2_ 2016년의 핫이슈, 상하이디즈니랜드
상하이의 하늘을 맡고 있는 상하이공항 / 상하이에 가면 누구나 들리는 관광지 예원상성 / .유통업계의 강자 백연구분
테마 3_자본시장 개방의 가장 큰 수혜주, 증권주
업계 1등이자 정부와 뜻을 같이하는 중신증권
테마 4_ 선강통의 대표주 부동산과 엔터테인먼트 산업
중국 부동산계의 대부 반케만과 부동산 / 중국 엔터테인먼트계의 대부 화이브라더스
테마 5_ 광역화 정책의 양대산맥 수처리 산업
오폐수처리 업계 선두인 비수이위안
테마 6_ 삼공경비 통제와 대기오염, 이슈 강화에도 틈새는 있다
중국 1등 렌터카 기업이자 업계 대부, 션저우렌터카 / 디즈니랜드 수혜를 노리는 창셩 / 대기오염과 관광확대로 수익증진이 기대되는 우통버스 / 광명식품이 최대 주주인 상하이의 택시회사 해박
테마 7_ 광역화와 일대일로, 그리고 그 중심의 철도
철도 인프라의 대부 중국철도건설
테마 8_ 13억 인구의 중국, 당연하지만 무시할 수 없는 소비
대기오염과도 밀접한 클렌징시장의 선두 상해가화 / 온라인 및 의료 분야 유망 기업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중국의 수장 시진핑은 2013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국가주석에 올랐다. 폐막식은 그의 발표로 마무리되었는데, 국가주석으로서 첫 공식석상 발언이었다. 시진핑은 ‘중국의 꿈’을 강조했다. 그가 내세운 슬로건인 ‘중국의 꿈’은 구체적으로 말하면 모두가 의식주를 걱정하지 않고 살 수 있는 ‘소강사회’의 건설이다. 어떻게 보면 너무 광범위한 개념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시진핑은 소강사회를 만들기 위해, 즉 국부를 민부로 나누기 위한 방향성을 키워드로 제시했다. 바로 ‘개혁’이었다. 그는 지역 간의 격차와 소득격차를 줄이는 데 앞장설 것이고, 정치부문과 금융부문 개혁에 힘쓸 것이라 언급했다.
중국의 권력기구는 중국 공산당, 전국인민대표대회, 인민정치협상회의,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 5개로 나누어진다. 사실 중국주식 투자를 하는 데 5개의 권력기구 모두를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다만 1년 중 가장 이슈가 많은 전인대와 모든 정책이 행해지는 공산당 정도는 알아둘 필요가 있다. 중국 권력기구 중 전인대는 우리나라로 치면 국회에 해당하고, 정협은 정치 보조적인 성격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권력기구는 공산당과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로 압축할 수 있다.
2015년 현재 언급되고 있는 개혁의 구체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가격결정구조, 금융시스템, 재정세제, 토지, 호구제도, 행정체제, 총 6개 항목이다. 전력, 철도 등 정부가 독점해 온 산업을 민간으로 분산시켜야 하는 과제와 수도나 가스, 정유 등 정부가 수급을 고려하지 않고 임의로 가격 책정을 해왔던 것을 시장화시키는 과제 등이 있다. 금융영역의 시장화와 토지 유통 문제도 크나큰 과제다. 특히 호구제도 개혁은 가장 늦게, 그리고 천천히 진행될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가장 어려운 개혁이기 때문이다. 개혁과 관련된 세부적인 정책은 향후 3년간 ‘선택과 집중’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