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86711118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19-11-04
목차
서 문 … 005
제 1 장 들어가는 말
1. 연구 목적 … 017
2. 연구 방법 … 023
제 2 장 틸리히 속죄론 형성에 관한 원인적 고찰
1. 틸리히의 생애: 그 우울하고 쓸쓸한 초상
1) 1차 세계 대전: 생명 충격 … 029
2) 미국에로의 망명: 문화 충격 … 032
2. 조정신학, 그리고 심층심리학과 실존주의의 영향
1) 마틴 켈러(Martin Kahler)의 조정신학 … 035
2) 심층심리학과 실존주의 … 038
3. 역사와 신화에 대한 전이해
1) 역사적인 것과 비역사적인 것 … 043
2) 신화와 신화학 … 047
제 3 장 틸리히의 속죄론 형성에 관한 근인적(近因的) 고찰
1. 틸리히의 루터 읽기
1) 신학적 루터 이해 … 055
2) 루터의 속죄론에 대한 틸리히의 심리학적 해석 … 059
2. 기독교 속죄론사(基督敎 贖罪論史)에 대한 틸리히의 이해
1) 기독교 속죄론사에 대한 회고와 전망 … 067
2) 속죄의 원리 … 074
제 4 장 "존재의 용기"로서 틸리히의 속죄론 전망하기
1. "존재의 용기" 해명
1) 플라톤에서 아퀴나스까지: 용기(courage)와 용맹(fortitude)의 변증법 … 081
2) 스토아 철학: 용기와 지혜 … 086
3) 스피노자의 용기: 용기와 자기 확신 … 089
4) 니체: 용기와 생명 … 094
2. 불안의 극복으로서의 존재의 용기
1) 불안의 존재론 … 099
2) 불안의 유형과 극복 … 104
제 5 장 틸리히 속죄론으로서 "존재의 용기"에 대한 삼중분석
1. 부분으로서의 존재의 용기
1) 존재: 개별화와 참여 … 115
2) 집단주의자와 반집단주의자의 반론표명 … 120
3) 부분으로서의 존재의 용기에 대한 신(新) 집단주의의 입장표명 … 124
2. 자기 자신으로서의 존재의 용기
1) 부분에서 자기 자신으로: 현대 개인주의, 낭만주의, 그리고 자연주의 … 127
2) 실존주의의 입장 … 133
3) 실존주의와 절망에 대한 용기 … 138
3. 용납받은 것을 수용하는 용기: 부분, 그리고 자기 자신으로서의 존재의 용기
1) 용기의 재정의 … 145
2) "존재의 용기"의 근거로서 "존재의 힘" … 147
3) 존재 그 자체의 열쇠로서의 존재의 용기 … 159
제 6 장 나오는 말
1. 요 약 … 167
2. 평 가 … 171
3. 제언: 신앙은 늘 속죄함이다 … 175
부록 / 타종교를 향한 두 가지 태도 : 폴 틸리히(Paul Tillich)와 네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
1. 들어가는 말 … 179
2. 타종교 이해를 위한 전제의 차이
1) 종교와 문화의 이해 차이 … 182
2) 신학적 전망의 차이 … 193
3. 타종교에 대한 접근 형식
1) 틸리히: “회심이 아니라 대화” … 201
2) 뉴비긴: “대화가 아니라 복음화” … 205
4. 나가는 말 … 209
참고문헌 … 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