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지구과학 > 지구
· ISBN : 979118703895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3-06-23
책 소개
목차
2016년판 서문
2000년판 서문
1. 서론
2. 태초에는
3. 가이아의 인식
4. 사이버네틱스
5. 대기권
6. 해양
7. 가이아와 인간
8. 가이아와의 공존
9. 마무리
옮긴이 해제
용어 해설
참고 문헌
책속에서
하지만 당시에는 아직 가이아 가설(Gaia Hypothesis)이라는 이름도 붙여지지 않은 그저 검증되지 않은 아이디어에 불과했다. 몇 년 후 노벨상 수상자인 윌리엄 골딩(William Golding)이 이 가설은 고유한 이름이 필요할 만큼 중요하다고 말하며 가이아라고 부르자고 제안했다. 골딩이 가이아란 이름을 선택한 이유는 고대 그리스어로 그것이 ‘땅’, 곧 ‘대지’를 지칭하는 단어였고 과학자들 역시 지구를 줄여 부르는 표현인 Ge를 지구과학 분야, 즉 지질학(geology), 지리학(geography) 등의 학문을 이르는 명칭의 뿌리로 받아들여 왔기 때문이다.
-「2016년판 서문」 중
예전의 가이아는 스스로를 보호하고 태고의 세월 동안 안온한 삶을 유지해왔던 존재였다. 그녀는 대기와 해양, 토양 등을 두루 살피며 모든 조건이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조절해왔다. 그런 가이아의 존재는 그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리라. 나는 가이아에 관한 이 첫 번째 책을, 우리가 이제까지 한 번도 가보지 못한 한적한 시골길을 걸을 때의 기분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생생하고 흥미롭게 쓰고자 노력했다. 이 책에서는 명백히 임의로 발생한 대규모 산불이 어떻게 지구 대기권의 산소 농도를 21%로 유지하는 데에 기여하는지, 그리고 그 농도가 우리에게 얼마나 안전한 것인지를 가급적 쉽게 설명하고 있다.
-「2000년판 서문」 중
그로부터 우리는 가이아를 지구의 생물권, 대기권, 대양 그리고 토양까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복합적인 실체(complex entity)로 정의하기 시작했다. 가이아는 이 지구상의 모든 생물들이 살기 적합한 물리·화학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피드백 장치나 사이버네틱 시스템을 구성하는 거대한 총합체라고 할 수 있다. 능동적 조절에 의한 비교적 균일한 상태의 유지라는 것은 ‘항상성(homeostasis)’이란 단어로 표현할 수 있다.
-「1. 서론」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