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7050858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19-03-0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독서의 개념과 독자 반응 이론
문제는 독자다
로젠블랫의 독자 반응 이론
러멜하트의 상호작용 모형
김소월의 「진달래꽃」 읽는 법
2장 스스로 읽기를 위한 교실 환경
스스로 읽지 못하는 아이들
스스로 읽기를 위한 교실 환경
스스로 읽기 능력을 기르는 독서 워크숍
수업 전 10분 책 읽기
3장 학생에게 맞는 책 선택하기
교사는 어떤 책을 선택하는가?
정보 텍스트와 문학 텍스트
텍스트의 복잡도
자신에게 맞는 책 선택하기
4장 독서 지도에서 교사의 역할
교사는 전달자인가?
독서 활동을 지원하는 교사의 역할
점진적 책임 이양 수업
이육사의 「절정」 다시 읽기
5장 독해 과정 지원하기
독해력 지도의 공백
읽기 활동 지원하기
‘예측하며 읽기’ 지도하기
6장 다른 독자들과 토론하기
왜 다른 독자들과 토론해야 하는가?
협력적 대화를 위한 규칙 만들기
독서토론의 다양한 방식들
배심원식 독서토론 사례 「꺼삐딴 리」
7장 정보 텍스트 읽고 토론하기
정보 텍스트를 읽는 이유
정보 텍스트의 구조 이해하기
정보 텍스트 읽기 전략
「나비 박사 석주명」 추론하며 읽기
8장 문학 텍스트 읽고 토론하기
문학 텍스트 어떻게 읽을까?
읽기에 몰입하도록 지원하기
학생 스스로 읽고 토론하기
『돼지책』 읽고 토론하기
9장 읽기와 쓰기의 연계
읽기와 쓰기, 왜 연계해야 할까?
읽기·쓰기를 위한 작문 원리
읽기와 쓰기를 연계시키는 방법들
글쓰기 워크숍의 실제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독서 능력은 모든 교과 학습의 기초적인 능력이므로 독서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학업성취도가 높고 사회적으로도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