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심리학
· ISBN : 9791187124214
· 쪽수 : 856쪽
· 출판일 : 2017-02-25
책 소개
목차
◆ 『교정의 심리학(교정 교육 상담 포럼 +1)』
제1부 범죄인CRIMINAL MAN
서 장
1. 치료적 사법의 이념 8
범죄 원죄론
제1장 유전과 범죄 19
1. 롬브로소의 범죄인류학 • 19
2. 현대의 범죄생물학 : 변연계 기능 • 27
3. 유전과 범죄의 관계 • 29
제2장 환경과 범죄 39
1. 환경과 인간발달의 관계 • 39
2. 치료적 사법의 이념 역기능적 가족환경 • 42
3. 빈곤 환경과 발달적 위기 • 47 | 4. 건강한 환경의 회복 • 50
교정심리학 기초이론
제3장 학습이론 계열 57
1.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 57 | 2.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 59
3. 사회학습이론 • 63
제4장 정신분석이론 계열 67
1. 프로이드 이론 • 67 | 2. 아이호른의 정신분석적 범죄이론 • 70
3. 볼비의 애착이론 • 74
제5장 인지 및 정보처리이론 계열 77
1.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 • 77 | 2. 인지적 신연합주의 • 81
3. 습관화 가설 • 84
제6장 범죄적 성격이론 계열 86
1. 성격 신경과학(Personality Neuroscience)의 출현 • 86
2. 아이젠크 성격이론 • 89 | 3. 그레이의 충동성 동기 이론 • 93
범죄인의 특성
제7장 내분비계와 신경계 99
1. 범죄인의 내분비계 이상 • 99 | 2. 범죄인의 신경계 이상 • 101
3. 미래 교정과 신경생물학(Neuro-Biology) • 105
제8장 성격과 정서 112
1. 성격을 보는 관점 • 112 | 2. 충동성 • 113
3. 감각추구 성향 • 115 | 4. 분노와 증오 • 117
제9장 인지와 사고 123
1. 사회적 역능의 결핍 • 123 | 2. 범죄적 사고양식 • 124
3. 폭력범의 분노와 인지 왜곡 • 128 | 4. 성폭력범의 인지 왜곡 • 129
제10장 정신장애 136
1. 정신장애 정의 및 분류 • 136 | 2. 정신장애와 범죄와의 관계 • 141
3. 범죄관련 주요 정신장애 • 146
(후략)
◆ 『교정의 심사평가론(교정 교육 상담 포럼 +2)』
제 1장. 범죄인 심리평가 및 측정 (집필 이명숙)
제1절. 심리측정과 평가 10
1. 심리측정의 정의 10
2. 심리검사 11
제2절. 과학적 교정처우의 이념 14
1. 분류의 과학화 15
2. 처우의 개별화 20
제3절. 과학적 교정처우와 심리평가 26
1. 재범위험성 평가의 시대적 변천 26
2. 교정적 심리평가의 R-N-R모델 31
3. 비행청소년의 위험성 평가 34
제4절. 우리나라 위험성 심사평가의 실제 42
1. 학교의 위기학생 평가 42
2. 경찰의 청소년 비행위험성 평가 49
3. 검찰 및 법원의 조사 54
4. 소년보호기관의 진단 및 평가 64
5. 교정시설의 심사 평가 79
참고 문헌 82
제 2장.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 특성 및 치유 (집필 김설희)
제1절. 성폭력의 정의 90
1. 성폭력과 피해자 개념 90
2. 성폭력의 유형 91
3. 성폭력 피해 실태 95
제2절. 성폭력 피해자의 심리 특성 106
1. 피해자의 심리 단계 106
2. 피해자의 후유증 111
제3절. 성폭력 피해자의 치유 113
1. 성폭력과 치유 113
2. 피해자 치유의 이론적 배경 114
3. 피해자 치유회복 과정 116
4. 피해자 치유회복 상담 118
제4절. 정책적 제언 132
참고 문헌 135
(후략)
◆ 『교정의 복지학(교정 교육 상담 포럼 +3)』
제1장 교정복지의 이해
제1절. 교정복지의 이해 14
1. 교정복지의 의의 14
2. 교정복지 대상자 14
3. 교정복지 종사자 15
4. 교정조직의 이해 19
제2절. 수용자 범죄원인 모델 23
1. 생물학적 원인 23
2. 심리학적 원인 24
3. 사회학적 원인 27
제3절. 형사사법제도의 이해 30
1. 형사사법제도의 발전 30
2. 우리나라 형사사법 체계와 형벌 31
제4절. 교정시설의 교정복지 실제 37
1. 수용자의 처우원리 37
2. 범죄인 처우의 유형과 종류 39
3. 모든 수용자에게 적용되는 공통처우 40
4. 수용자별 처우 43
5. 수용의 종료와 사회복귀 준비 46
6. 수용자의 법적지위와 권리구제 48
제5절. 수용자 교육과 교화프로그램 52
1. 교육프로그램 52
2. 교화프로그램 56
제6절. 교정복지의 새로운 동향 66
1. 미국의 리엔트리(Re-entry) 전략 66
2. 회복적 사법의 교정단계 도입 72
3. 유엔의 최근 교정 전략 73
참고 문헌 75
제2장 교정복지와 사례관리
제1절. 교정복지의 개념 78
1. 교정복지의 정의 78
2. 교정복지에 사례관리의 적용 79
제2절. 사례관리의 이론적 배경 82
1. 사례관리의 정의 82
2. 사례관리 등장 배경 84
3. 사례관리의 이론적 관점 86
4. 사례관리의 주요 구성요소 87
5. 사례관리의 기능 및 기본 원칙 88
제3절. 사례관리의 실천 및 예시 89
1. 사례관리 모델 89
2. 사례관리 실천 과정 95
3. 실천과정 예시 100
제4절. 소년원 청소년 부모-자녀 사례관리 실천사례 107
1. 프로그램 개요 107
2. 각종 기록양식 108
제5절. 소년원생의 TSL부모-자녀 공동개입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120
1. 양적 분석 : 자기통제력 120
2. 질적 분석 :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정적 정서 해소 121
참고 문헌 124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