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91187124320
· 쪽수 : 402쪽
· 출판일 : 2018-03-22
책 소개
목차
책을 시작하며 4
01. 전통공예의 역사 _8
02. 금속공예와 장인 _30
03. 도자공예와 장인 _58
04. 목공예와 장인 _80
05. 칠공예와 장인 _110
06. 죽세공예와 장인 _134
07. 짚풀공예와 장인 _164
08. 염직공예와 장인 _188
09. 복식과 장인 _218
10. 피모골각공예와 장인 _250
11. 한지공예와 장인 _280
12. 옥석공예와 장인 _302
13. 악기공예와 장인 _326
14. 채화공예와 장인 _344
15. 회화 속 전통공예 _368
참고문헌 400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방 이후 급속한 근대화와 산업화 속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각종 공예기술이 사라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이에 국가에서는 흙을 빚어 그릇을 만드는 장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96호 옹기장, 조선 백자를 만드는 장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05호 사기장 그리고 기와를 만드는 장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91호 제와장, 그 기와를 지붕 위에 얹는 장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21호 번와장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이들 도자공예 장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시다.
장인이 완성한 당시의 부린활로 돌아가고 싶어하는 활. 이것이 우리의 활이 가진 비밀입니다. 물론 사람의 신체를 닮게 쇠뿔로 뼈를 만들고, 쇠심줄로 근육을 만들고, 민어부레풀로 이것을 연결시킨 과학과 기술의 조화가가 세상 어디에도 없는 강력한 활을 만들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동쪽에서 큰 활을 만들어 쏘던 동이족의 DNA. 그것은 오늘도 우리에게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양궁으로 세계를 제패할 수 있는 우리의 저력. 그 DNA를 활에서 찾아봅니다.
백번을 작업한 백지(百紙)이든, 눈처럼 하얀 백지(白紙)이든, 닥종이는 바로 우리 선조들로부터 물려받은 귀중한 유산인 ‘한지’인 것입니다. 언급한 바와 같이 〈전통한지의 제조과정〉은 닥 섬유 제조, 통물제조, 종이뜨기, 마무리 공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를 다시 세부 공정으로 분류하면 〈닥 섬유 제조과정〉처럼 주원료 만들기와 종이뜨기, 가공과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거두기 → 닥 찌기(닥무지) → 닥 껍질 벗기기(흑피 → 백피) → 불리기 → 닥 삶기 → 세척 및 표백 → 티 고르기의 순서로 진행됩니다.